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분석을 통한 가족치료 연구의 동향분석: 비치료연구를 중심으로 = Research Trends of the Non-Clinical Studi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Objectives: Since 1993, the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KJFT) has been publishing research of various topics and types. Research trend analyses of the studies published in the KJFT were made in 2008 to celebrate the 20th anniversary of the association. However, upon the 30th anniversary, the need to shed light on the current status of KJFT research was clear.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features and trends of studies published in the KJFT for the last 10 years (2008-2018),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non-clinical studies, and to offer useful tips for the development of non-clinical studies on family and family therapy. Methods: A total of 155 published non-clinical research articles were analyzed. These articles were classified as either empirical or review studies, and empirical studies were further classified as either studies using quantitative methods or studies using qualitative methods. Further analyses were made on studies in each group (quantitative empirical studies, qualitative empirical studies, and review studies) to illuminate characteristics in research topics/questions, targets, research methods, and analytic methods. Results: Features and trends of non-clinical studies over the last 10 years were illuminated. Conclusions: The findings gave rise to important research tip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of family therapy.

    더보기

    1993년을 시작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지는 가족치료학의 발전과 번영을 위해 다양한 주제와 종류의 논문들을 출간하여왔다. 한국가족치료학회 창립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한국가족치료학회지의 동향이 한차례 분석된 바 있으나, 30주년을 맞이한 시점에서 지난 10년간의 논문들을 다시금 되돌아볼 필요가 제기되게 되었다. 이에 2018년 학회창립 30주년 기념 학술사업으로 최근 10년의 한국가족치료학회지 논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 중 비치료연구에 집중하여 이들 연구의 동향과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한국가족치료학 비치료연구의 보완점과 향후 방향성을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2008년 2호에서 2018년 1호까지 최근 10년 동안 한국가족치료학회지에 출간된 비치료연구 총 155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들 연구는 먼저 경험적연구와 문헌연구로 분류되었고, 경험적연구는 다시 양적분석연구와 질적분석연구로 세분류되었다. 분류된 양적분석 경험적연구, 질적분석 경험적연구, 문헌연구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분석방법에 따른 특성을 상세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최근 10년간의 한국가족치료학회지에 게재된 비치료연구의 특징 및 동향을 이해할 수 있었고, 추후 한국 가족치료학 발전을 위해 이 분야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더보기
    • 1 오현주, "회피애착이 신혼기 부부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 및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525-546, 2012
    • 2 김수지, "혼전 임신 부부의 이혼 과정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863-882, 2017
    • 3 강진아, "해석의 과정으로서의 부부 정체성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451-468, 2015
    • 4 최중진, "해결중심상담의 기적질문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6 (26): 23-48, 2018
    • 5 최중진, "해결중심단기치료의 변화 여정 고찰: 서구문헌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1-24, 2017
    • 6 정문자, "해결중심단기치료사례의 특성과 효과성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8 (18): 1-25, 2010
    • 7 정혜정, "해결중심 단기 가족치료 사례에 대한 대화분석 연구 - 모자갈등 사례에 기초한 치료자 개입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85-109, 2012
    • 8 이희윤, "합의적 질적분석을 활용한 동거 가치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47-68, 2017
    • 9 노영희, "한부모의 자녀양육어려움, 고용지위,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의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167-185, 2016
    • 10 오승하, "한부모가정의 불안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부자 가정과 모자 가정의 집단 간 비교분석 -"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843-862, 2015
    • 11 고미영, "한국적 상담 현장에서의 반영팀의 활용에 대한 상담자의 경험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2 (22): 205-228, 2014
    • 12 김현수, "한국가족치료학회지 분석을 통한 가족치료 연구의 동향분석: 임상치료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6 (26): 729-760, 2018
    • 13 전혜성, "한국가족치료학회의 국제교류 추진방향과 과제 모색" 한국가족치료학회 26 (26): 627-648, 2018
    • 14 고미영, "한국 가족치료에 적용된 포스트모던 실천 원리에 대한 고찰" 한국가족치료학회 19 (19): 29-60, 2011
    • 15 구자경, "한 재혼가정 성인자녀의 내러티브 정체성 탐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207-226, 2016
    • 16 박은아, "파트너의 외도경험과 PTSD 관계에서 낙관성의 조절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761-779, 2015
    • 17 이현주, "통합적 가족놀이치료를 통한 ADHD 아동 가족의 가족체계 변화 및 치료적 요인"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439-470, 2017
    • 18 조은숙, "초국적 분거부부의 섹슈얼리티와 친밀성 -기러기 가족현상을 통해 본 한국인의 부부관계 일 특성-" 한국가족치료학회 18 (18): 135-160, 2010
    • 19 조성희,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초기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801-818, 2015
    • 20 김갑숙, "청소년의 부모 애착, 자아분화,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209-224, 2009
    • 21 김정은, "청소년의 디지털 기기 중독 예방과 치료를 위한 중독 상호작용 분석: 종단 연구를 통한 기기 간 상호작용 고찰" 한국가족치료학회 26 (26): 185-203, 2018
    • 22 최정아,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및 개인, 부모, 또래 영향요인 검증"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431-455, 2012
    • 23 최정아, "청소년기 우울의 발달적 변화에 대한 부모인지 및 자기개방의 종단적 영향: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이용한 분석"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57-83, 2012
    • 24 최지원, "지혜로운 중년 부부의 부부관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6 (26): 77-107, 2018
    • 25 구혜진, "중년기 여성의 애착손상이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용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401-418, 2017
    • 26 임춘희, "중년 여성의 이혼 후 재혼 노모에 대한 용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555-593, 2017
    • 27 김경희, "중년 남녀의 내러티브에 나타난 부부정체성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253-274, 2012
    • 28 장은경, "중․고생 휴대전화 고의존군과 저의존군에서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학교생활 변인, 가족기능의 차이" 한국가족치료학회 18 (18): 193-212, 2010
    • 29 천미영, "조손가정 아동의 적응유연성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9 (19): 159-182, 2011
    • 30 서미아, "정서안정성 및 정서조절력과 부-자녀 애착 관계에서 긍정정서의 매개효과-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361-384, 2016
    • 31 양정훈, "절제술 받은 여성유방암 생존자의 부부적응에 대한 경험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275-300, 2017
    • 32 장온정, "재가 미혼모의 홀로서기 경험 연구: 탈시설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497-528, 2017
    • 33 이경미, "자살자 유가족의 애도과정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655-687, 2015
    • 34 변지영, "자기자비와 부부관계의 질: 부부 조망수용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매개변인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6 (26): 1-22, 2018
    • 35 나남숙, "자기분화, 결혼만족도, 헌신간의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적용"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115-136, 2017
    • 36 이미영, "자기개방과 공감반응이 신혼부부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529-552, 2016
    • 37 양소남, "일하는 어머니의 일-가족생활 양립을 위한 전략" 한국가족치료학회 19 (19): 103-126, 2011
    • 38 강희숙, "이혼위기에 처한 부부들의 부부갈등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183-199, 2012
    • 39 유명숙, "이혼위기를 극복한 중년기 남편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6 (26): 133-155, 2018
    • 40 김금자, "이혼위기 부부의 가족치료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275-301, 2012
    • 41 임춘희, "이혼 후 동거 교육 및 상담에서의 이슈"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819-842, 2015
    • 42 유선영, "이주자 부모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주자 부모의 적응유연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233-254, 2016
    • 43 고미영, "이야기치료의 변천과 발전: 이야기확장을 추구한 마이클 화이트의 이야기치료의 여정" 한국가족치료학회 18 (18): 83-106, 2010
    • 44 이선혜, "이야기치료 문화의 이해를 위한 모건서베이(Morgan Survey)의 적용"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1-30, 2009
    • 45 원아름, "이성교제 중인 미혼남녀가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및 이성교제 관계의 질과 결혼이미지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145-166, 2016
    • 46 김병훈, "의사소통 과정의 치료적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605-626, 2015
    • 47 장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취업에 대한 신념과 역할만족도,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 취업 여부에 따른 차이"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599-619, 2016
    • 48 유희남,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여성의 자아분화와 부부갈등 대처행동 및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19 (19): 141-158, 2011
    • 49 김혜선, "옹서(장모-사위)관계에서 여성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547-571, 2012
    • 50 조성희,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505-524, 2012
    • 51 장영애, "어머니의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및 부부갈등이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357-373, 2012
    • 52 정장수,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및 아버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505-527, 2016
    • 53 송혜란, "어머니의 대상관계와 자녀양육행동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2 (22): 373-389, 2014
    • 54 장영애, "어머니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유아 간 애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213-232, 2009
    • 55 박영현, "어린 시절 상처 치유 경험과 부부관계 변화과정 연구 - 내면아이치유 집단상담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239-271, 2015
    • 56 이정인, "양육미혼모의 가족경험에 관한 연구 -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269-296, 2016
    • 57 장영애,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19 (19): 183-205, 2011
    • 58 장은화, "아동의 자아개념 및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 한국가족치료학회 21 (21): 289-305, 2013
    • 59 김사라,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815-837, 2017
    • 60 정선이, "섹스리스 부부의 결혼유지 과정: 중년남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89-113, 2017
    • 61 윤명숙, "성학대 피해 아동의 생존과정" 한국가족치료학회 19 (19): 95-121, 2011
    • 62 최혜정, "성폭력 생존자의 적응유연성에 관한 고찰" 한국가족치료학회 22 (22): 75-95, 2014
    • 63 최혜정, "성폭력 경험 여성의 용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187-216, 2015
    • 64 도은숙, "상담자 소진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125-143, 2009
    • 65 오세은, "상담관련 종사자의 이혼상담 경험과 미래 사용 의사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97-123, 2009
    • 66 Padgett, D. K, "사회복지 질적연구 방법론" 나남출판사 2001
    • 67 김세련, "사티어성장모델의 일치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18 (18): 87-107, 2010
    • 68 고영수, "사티어 변형체계치료를 경험한 내담자의 변화과정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115-134, 2015
    • 69 홍경선, "사이버불링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학부모의 사이버불링 인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2 (22): 347-372, 2014
    • 70 양준석, "사별가족 치료 프로그램 연구동향과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645-670, 2017
    • 71 정연자, "사고사로 자녀를 잃은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 경험"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471-495, 2017
    • 72 노미화, "비혼 여성의 가족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9 (19): 77-101, 2011
    • 73 엄혜정, "비만 여대생의 원가족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9 (19): 93-121, 2011
    • 74 최혜정, "부부폭력을 목격하고 자란 자녀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157-182, 2012
    • 75 박우철, "부부폭력가족에서 부모자녀친밀유형에 따른 아동학대의 차이"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211-225, 2017
    • 76 장희숙, "부부폭력 가해여성의 체험: 생존폭력의 맥락적 의미"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883-909, 2017
    • 77 안창현, "부부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및 가족 응집성․적응성과 갈등대처방식간의 관계" 한국가족치료학회 16 (16): 115-132, 2008
    • 78 박수진, "부부의 원가족건강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381-400, 2015
    • 79 정복자, "부부의 마음챙김, 내외통제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형(APIM) 적용"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301-326, 2017
    • 80 이진아, "부부관계의 비합리적 신념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자기분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385-408, 2016
    • 81 연규진,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다층모형을 이용한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 분석-" 한국가족치료학회 21 (21): 57-80, 2013
    • 82 곽민하, "부부갈등과 부부적응의 관계에서 탈중심화 및 용서의 조절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339-359, 2016
    • 83 박우철, "부부갈등가족에서 부모자녀친밀유형에 따른 청소년자녀의 불안의 차이"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101-118, 2016
    • 84 손고은, "부모화된 자녀의 정서회복과정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595-619, 2017
    • 85 임금옥, "부모의 과잉기대, 과잉간섭, 비일관적 양육방식과 청소년 우울과의 관계: 청소년 공격성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251-274, 2017
    • 86 하상희, "부모와 자녀세대의 원가족 건강성이대학생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16 (16): 115-132, 2008
    • 87 이승진, "부모애착과 자녀 문제음주와의 관계에서 원가족 건강성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273-289, 2015
    • 88 윤명숙, "부모상실 대학생의 외상 후 성장 영향요인-사별, 이혼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1 (21): 177-201, 2013
    • 89 양혜원, "부모 이혼에 대한 아동기 자녀의 경험 -지역사회복지관 이혼가족 자녀 집단 프로그램 참여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2 (22): 173-204, 2014
    • 90 김경희, "베이비부머 은퇴 남성의 내러티브 정체성 탐구: 고학력 중산층 은퇴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839-862, 2017
    • 91 박선영, "배우자의 분노조절 문제에 대한 중년부인의 경험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621-643, 2017
    • 92 이은진,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APIM 모델 적용"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761-785, 2017
    • 93 고미지, "맞벌이 가족 내 부부적응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조모 양육행동의 조절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6 (26): 109-131, 2018
    • 94 최연실, "동료 수퍼비전에서의 평가도구 활용 가능성 탐색: 미시적 상담 수퍼비전 모델(MSM)에 근거한 상담면접평정양식(CIRF)의 사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303-328, 2012
    • 95 신새봄,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건강성과 자아분화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활적응을 매개변인으로 -"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553-557, 2015
    • 96 황미진,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 수준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195-212, 2009
    • 97 문지혜, "대학생이 지각하는 성장기 폭력 경험과 폭력허용도 및 데이팅 폭력의 관계"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627-653, 2015
    • 98 손인봉,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대한 가족의사소통과 대학환경의 영향 검증"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553-571, 2016
    • 99 김진희, "대학생의 성인애착 유형과 이성관계: 관계중독, 친밀감 두려움, 대인관계 유능성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911-929, 2017
    • 100 김진성, "대학생의 내재화 정서행동문제가 부-자녀 갈등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의 순기능적인 대면 의사소통과 모바일 메신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25-46, 2017
    • 101 박일환, "당뇨병 환자의 질병체험에서 나타난 당뇨병 관리를 위한 가족관계의 특성"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297-314, 2016
    • 102 신영화, "다문화가족의 역량강화접근" 한국가족치료학회 18 (18): 161-192, 2010
    • 103 최연실, "다문화가족의 복지욕구와 복지서비스의 현황 분석 및 통합적 개선방안 탐색-가족상담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19 (19): 61-93, 2011
    • 104 최연실, "다문화가족상담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181-209, 2017
    • 105 오지훈, "다문화가정 이주민 어머니의 문화적응과 유아자녀의 언어 및 사회 능력과의 관계"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687-708, 2017
    • 106 이혜숙, "농인의 언어와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기술지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8 (18): 105-126, 2012
    • 107 고경자, "농인(聾人)의 부부적응 유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787-813, 2017
    • 108 전영주, "녹화 슈퍼비전에서 가족치료 훈련생의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111-133, 2012
    • 109 김은자, "노인의 자기분화와 신체적 건강 및 성인자녀관계가 노년 초월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435-457, 2016
    • 110 고정은, "노인의 우울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족요인과 지역사회 요인 분석"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363-380, 2015
    • 111 문수경, "노인의 근로활동 참여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487-504, 2012
    • 112 문수경, "노부모와 비동거 자녀와의 만남 빈도, 상호 호혜적 정서지원, 그리고 우울과의 관계"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671-686, 2017
    • 113 김병수, "남편의 외도를 경험한 아내의 이혼에 대한 태도 사례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167-185, 2009
    • 114 서미아, "남편과 아내의 애착손상 및 정서조절력이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을 활용하여-"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327-345, 2017
    • 115 이영숙, "남성 한부모 가정 자녀의 적응과정: 20대 자녀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709-734, 2017
    • 116 조성경, "남·녀 대학생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22 (22): 53-74, 2014
    • 117 남순현, "기혼여성의 성과 심리적 행복감간의 관계 -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 비교 -"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187-207, 2009
    • 118 하지승, "기혼남녀의 성인애착 유형과 가족상담 기대" 한국가족치료학회 16 (16): 67-94, 2008
    • 119 김승옥, "기혼남녀의 마음챙김과 일치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21 (21): 203-229, 2013
    • 120 오은희, "기혼 남녀의 내외통제성과 일치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135-156, 2012
    • 121 최중진, "근거이론을 통해 살펴본 해결중심치료의 실천: 통합접근의 등장"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1-26, 2016
    • 122 강부자, "군 장병이 인지한 가족건강성이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137-153, 2017
    • 123 김민정,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가정폭력이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19 (19): 1-28, 2011
    • 124 박정희, "국내외 가족치료 학술지에 나타난 성과연구 분석: 2005년에서 2010년까지 발표된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2 (22): 253-273, 2014
    • 125 조성봉, "관계 내 헌신(commitment)의 개념적 고찰: 동거 및 결혼 관계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735-760, 2017
    • 126 이은정, "고등학생이 지각한 스트레스, 충동성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1-22, 2015
    • 127 임현선, "결혼초기 부부의 부부관계신념 지각과 적용이 배우자의 긍정적행동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135-156, 2015
    • 128 김효숙, "결혼생활에서의 섹스리스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579-604, 2015
    • 129 송미화, "가트먼 부부치료와 정서중심 부부치료에 대한 비교 및 이혼 전 상담에서의 통합적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1 (21): 307-330, 2013
    • 130 조은숙, "가족행복지수 개발 및 시범적용 연구 -건강가정사업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119-144, 2016
    • 131 최희정, "가족탄력성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175-194, 2009
    • 132 박우철, "가족치료의 한국적 적용에 대한 문헌분석"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687-710, 2015
    • 133 최연실, "가족치료와 긍정심리학의 연계: 기반과 활용의 탐색" 한국가족관계학회 401-419, 2014
    • 134 박정희, "가족치료 임상에서 가계도 활용의 다양성 고찰"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31-55, 2009
    • 135 서진환, "가족치료 연구: 실천의 통합을 위한 성과연구 분석 - 한국 가족치료학회지에 발표된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치료학회 18 (18): 1-25, 2010
    • 136 박현미, "가족지지와 청소년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1 (21): 1-21, 2013
    • 137 정혜정, "가족의 위기 대처를 위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상담 서비스 강화방안"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421-449, 2015
    • 138 박정윤, "가족생활주기별 부부관계신념 지각, 유사성, 적용이 부부간 긍정적 행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335-362, 2015
    • 139 김성희, "가족상담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69-87, 2017
    • 140 조은숙, "가족상담사의 국가자격제도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469-498, 2015
    • 141 양준석, "가족사별 중년여성의 애착유형이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 가족탄력성, 스트레스 적극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6 (26): 49-76, 2018
    • 142 박진희, "가족기능평가를 위한 임상평정척도 개발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1 (21): 257-287, 2013
    • 143 서지은,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가족치료학회 20 (20): 457-486, 2012
    • 144 송자경, "가족강점이 간질아동 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145-165, 2009
    • 145 신혜종, "가족 상담 및 치료의 현황과 과제: 일 학회 발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781-800, 2015
    • 146 남수경, "‘부모화된 자녀’ 경험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315-338, 2016
    • 147 Silverman, W. K, "The second special issue on evidence-based psychosocial treatment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A 10-year update" 37 : 1-7, 2008
    • 148 김정은, "Self-efficacy and Perceived Parental Support/Affection as Mediators of Stressor Risk Factors for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in South Korea"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483-504, 2016
    • 149 정혜정, "Reflecting on “Independence” of Korean Youth from a Family Systems Perspective" 한국가족치료학회 22 (22): 407-433, 2014
    • 150 Hays, D. G, "Qualitative inquiry in clinical and education settings" Guilford Press 2012
    • 151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Sage 2012
    • 152 김덕일, "PREPARE/ENRICH 커플관계 검사 내 SCOPE 성격 소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3 (23): 315-333, 2015
    • 153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1985
    • 154 이선혜, "Narrative Therapy: Korea's Turn to New Possibilities in Health and Human Services" 한국가족치료학회 22 (22): 391-405, 2014
    • 155 김정은, "Life Stresses in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Media Use: The Role of Anger Management in Cyberbullying"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227-249, 2017
    • 156 최중진, "Insoo Kim Berg의 해결중심단기치료에 대한 미시분석"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529-553, 2017
    • 157 Tolin, D. F, "Empirically supported treatment : Recommendations for a new model" 22 : 317-338, 2015
    • 158 Creswell, J. W, "Determining validity in qualitative inquiry" 39 : 124-130, 2000
    • 159 Duncan, M, "Autoethnography: Critical appreciation of an emerging art" 3 : 28-39, 2004
    • 160 서진환,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연구경향 분석 연구 -창간호부터 2008년 상반기까지-" 한국가족치료학회 16 (16): 1-30, 2008
    • 161 최중진, "2018 한국 가족치료 및 상담 전문인력양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6 (26): 649-680, 2018
    • 162 박정윤, "20-30대 미혼남녀의 동거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249-268,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가족과 가족치료
                외국어명 : 미등록 -> Family and Family Therap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후보
                2006-09-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KCI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8 1.12 1.275 0.11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