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약물 난치성 간질환자의 임상적 특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Medically Intractable Epilepsy
저자
이성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0.4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3-90(8쪽)
제공처
소장기관
연구목적 : 약물 난치성 간질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파악하고 약물 난치성 간질로 이행할 가능성을 높인다고 제시된 인자들을 재평가함으로써 간질환자를 처음 대하였을 때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방침을 정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충북대학교 병원 신경과의 간질환자 등록지에 등록된 간질 환자 중 조사 시점에서 전문가에 의해 악물 치료를 받은 경력이 2년 이상이면서 한 달에 최소한 1회 이상 발작이 있는 23명의 약물 난치성 간질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임상양상(발병연령, 발착의 빈도, 발작 유형, 간질 증후군 등)과 약물 난치성 간질로 이행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제시된 인자 중 중추신경계 내의 해부학적 병변의 존재 유무, 뇌파소견상의 이상 소견, 신경학적 결손 등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 약물 난치성 간질환자는 충북대학교 병원 신경과의 간질환자 등록지에 등록되어 투약을 받고있는 317명의 환자 중 23명으로 7.3%였다. 최초 발작의 평균 발생연령은 16세였고, 대부분이 독립적인 생활이 불가능한 상태로 주위의 도움을 필요로 하였으며, 2개에서 6개(평균 3.5개)의 항경련제가 시도되었다. 부분발작이 21명(91.3%)으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전신발작은 2명(8.7%)에 불과하였다. 부분발작 중 단순부분발작이 8명(38.1%)이었고, 복합부분발작이 13명(61.9%)이었다. 간질 증후군에 따른 분류에서는 증후성 간질이 15명(65.2%), 잠재형 간질이 7명(30.4%), 특발성 간질은 1명(4.4%)이었다. MRI 혹은 CT상의 국소적 병변은 18명(78.3%)에서 발견되었는데, 허혈성 뇌병변으로 생각되는 경우가 6례로 가장 많았고 이 중 5례는 주산기 허혈성 뇌손상이 원인으로 생각되었다. 그 밖에 외상성 뇌병변이 3명, 해마위축이 3명, 동정맥 기형이 2명, 기타의 원인 4명 등이었다. 21명(91.3%)의 뇌파에서 이상소견이 발견되었고, 신경학적 결손은 12명(52.2%)에서 관찰되었는데 정신지체가 8명으로 가장 빈번하게 존재하는 이상 소견이었다.
결론 : 중추신경계 내의 국소성 병변의 존재, 뇌파상의 이상 소견, 신경학적 결손 특히 정신지체의 존재 등은 약물 난치성 간질로 이행할 가능성을 높이는 인자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소견을 갖고있는 환자는 약물 난치성이 될 가능성이 높음을 예측할 수 있고 치료 초기에 대상이 되는 경우 수술과 같은 좀 더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 To know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medically intractable epilepsy and evaluate the factors known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intractability, I performed this study.
Materials and Methods : I analysed clinical characteristics(onset age, seizure frequency, seizure type, epilepsy syndrome, etc.) and the variables(the presence of focal lesion on brain MRl or CT, abnormalities in EEG, and focal neurologic deficits) propose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medical intractability in the 23 patients with medically intractable epilepsy in the epilepsy registry of the department of neur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ll 23 patients had been treated for more than 2 years by specialists and had at least 1 seizure per month.
Results : The patients with medical intractable epilepsy were 23 (7.3%) of the 317 patients in the registry. Mean onset age of seizure was 16, most patients could not live independently, and 2 to 6(mean : 3.5) antiepileptic drugs had been tried. Patients with partial seizures were 21 (91.3%) and those with generalized seizures only 2 (8.7%). Among the patients with partial seizures 8 (38.1%) patients had simple partial seizures and 13 (61.9%) complex partial seizures. In the epilepsy syndrome classification symptomatic seizures were 15 (65.2%), cryptogenic 7 (30.4%), idiopathic 1(4.4%). In the 18 patients (78.3%), brain MRI or CT revealed focal lesions : ischemic lesions in 6 patients ; traumatic lesions 3 patients ; hippocampal atrophy 3 patients ; arterio-venous malformation 2 patients ; and other lesions 4 patients. Twenty-one (91.3%) had some abnormalities in EEG and 12(52.2%) had focal neurologic signs among which mental retardation (8 patients) was most frequent.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esence of focal lesions in the brain, abnormalities in EEG, and focal neurologic signs especially mental retardation might be the factors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medical intractability. Therefore, when we treat epilepsy patients with these variables it is advisable to consider more active treatment in early stage such as epilepsy surgery if it is indicated.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