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소수의 개념 및 연산의 기본 성질에 대한 오류 분석 : 고등학교 1학년 대상으로 = (The) Error Analysis of the Concept of Complex Numbers and the Basic Features of Calculation Involving Complex Numbers
저자
발행사항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수학교육전공 , 2009. 2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형태사항
viii, 109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윤종국
참고문헌 : p.97-100
소장기관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enth grader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basic numbers and the basic features of calculation involving complex numbers, types of misconceptions and errors they make in calculation involving complex numbers and the causes of the errors. In order to achieve such aim,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in the study.
1. To what extent do tenth graders understand the concept of complex numbers?
(1). How well do tenth graders understand the concept of complex numbers?
(2). What types of misconceptions are made by tenth graders with poo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complex numbers?
2. To what extend do tenth graders understand the basic features of calculation involving complex numbers?
(1). How well do tenth graders understand the features of calculation involving complex numbers?
(2). What types of errors do tenth graders make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on the basic features of calculation involving complex numbers?
3. What are the causes of misconceptions and errors committed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on the concept of complex numbers and the basic features of calculation involving complex numbers?
For this study, four academic high school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students of eight classes (a total of 305), two from each of the four schools. The test paper used in the study contained a total of 10 questions crea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nit ‘complex number’ of high school textbook <10-Ga> published under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fter testing, the collected test papers were analyzed in detail to examine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ability of the concept of complex numbers and the basic features of calculation involving complex numbers. In addition,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were also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n such proces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 examination into tenth grader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complex numbers and the basic features of calculation involving complex numbers found that of a total of 305 students, 25.8% presented correct answers to a question of the concept of complex numbers, 20.45% to a question of the features of complex numbers and 41.15% to a calculation question that requires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and features of complex numbers.
Second, the types of misconceptions regarding the concept and features of complex feature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six types: misconception attributed to inappropriate formalization; misconception attributed to confusions over the use of terminologies and signs; misconception of failing to verify result, misconception attributed to lack of fundamental knowledge, misconception of concentrating only on the result of a theorem and ambiguous misconception. Except for ambiguous misconception, misconceptions attributed to inappropriate formalization took first place with 39.33%.
Third, the types of errors committed in conducting calculation involving complex number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ive types: error attributed to lack of fundamental knowledge, errors attributed to the use of a misunderstood theorem, error of failing to verify result, technical error and ambiguous error. Of these, technical errors took first place with 32.18%.
Fourth, the causes of misconceptions and errors the students made with regard to the concept of complex numbers and the basic features of calculation involving complex numbers were as follows. ① The students turned out to have difficulty using , the imaginary unit defined to introduce complex numbers, and newly introduced terminologies and signs. ②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failed to understand accurately inclusion relations among numerical concepts. ③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applied real number calculation rules to calculation involving complex numbers with no conflicts, and temporarily memorized only result without considering given conditions when learning certain concept or features. ④ The students did not go through the process of verifying their answers sufficiently. As a result, they produced errors attributed to mistakes in calculation process, and failed to present the correct answer to a ques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복소수의 개념 및 연산의 기본 성질에 대한 이해상태와 연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개념 및 오류의 유형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3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복소수의 개념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가?
(1) 복소수의 개념에 대한 이해 상태는 어떠한가?
(2) 복소수의 개념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한 학생들이 범하는 오개념의 유형은 무엇인가?
2. 복소수 연산의 기본 성질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가?
(1) 복소수 연산의 기본 성질에 대한 이해 상태는 어떠한가?
(2) 복소수 연산의 기본 성질에 대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이 범하는 오류의 유형은 무엇인가?
3. 복소수의 개념 및 연산의 기본 성질에 대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개념 및 오류에 대한 원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을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 4개를 선정하여 고등학교 1학년 각 2학급씩 8개 학급(총305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검사지는 우리나라 7차 수학과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교과서 <10-가>의 ‘복소수’ 단원을 분석하여 총 10문항으로 제작하였다. 검사 후 검사지를 분석하여 복소수의 개념 및 연산의 기본 성질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이해 상태와 그에 따른 적용 능력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원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복소수의 개념과 복소수의 연산의 기본 성질에 관하여 검사한 결과 전체 305명 중 복소수의 개념에 관한 영역에서 25.8%, 복소수의 성질에 관한 영역에 20.45%, 복소수의 개념과 성질을 적용하는 계산 영역에서 41.15%의 정답률을 나타냈다.
둘째, 복소수의 개념과 성질에 대한 오개념의 유형에는 개념의 부적절한 형식화에 따른 오개념, 용어 및 기호 사용의 혼동에 의한 오개념,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지 않은 오개념, 기본적인 지식 결여에서 오는 오개념, 정리의 결과에만 집중하는 오개념, 애매한 오개념으로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애매한 오개념을 제외하고 개념의 부적절한 형식화에 따른 오개념이 39.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복소수의 계산 문제에 대한 오류의 유형에는 기본적인 지식 결여에서 오는 오류, 잘못 이해된 정리의 사용에서 오는 오류,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지 않은 오류, 기술적인 오류, 애매한 오류로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 중에서 기술적인 오류가 32.1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생들이 복소수의 개념 및 연산의 기본 성질에 대한 오개념 및 오류에 대한 원인은 다음과 같다. ① 복소수를 도입하기 위해 정의한 허수단위 의 어려움과 새롭게 등장한 용어와 기호 사용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수 개념 사이의 포함관계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실수에서의 연산의 규칙을 복소수에서도 아무런 갈등 없이 그대로 받아들이며 사용할 뿐만 아니라 어떤 개념이나 성질을 학습할 때 조건을 무시한 채 결과만을 단편적으로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④ 자신이 제시한 답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과정이 많이 부족하였으며, 이로 인해 계산과정에서 실수로 인한 오류를 보였으며 문제가 요구하는 정확한 답을 표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