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퇴계 「심통성정도」의 인성교육적 의의 =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Character Education in Toegye’s 「Diagram for the Saying, ‘The Mind Combines and Governs the Nature and the Feeling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43(19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agram for the Saying, ‘The Mind Combines and Governs the Nature and the Feelings’」 among Toegye Yi Hwang's The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 find the significance of character education contained in it, and examine the academic foundation for making meaningful proposals even today. The emotion Toegye understood is that not only the Sadan(四端) but also the Chiljeong(七情) are good. Toegye’s philosophy does not simply negatively misunderstand and remove the feeling of 'hate', but can be the beginning of the Confucian study method of learning and thinking.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various methodologies for character education will emerge to take care of and understand emotions.
더보기본 연구의 목적은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의 『성학십도(聖學十圖)』 가운데 제6도인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를 분석하여, 그 안에 담긴 인성교육적 함의를 찾아보고, 오늘날에도 유의미한 제안을 할 수 있는 학문적 토대를 살펴보는 것이다. 퇴계는 어린 선조 임금에게 성군(聖君)이 되기를 희망하며 올린 그림과 글인 『성학십도』를 시작하면서 마음이 갖는 문제점과 해결의 열쇠를 동시에 말하고 있다. 『성학십도』는 ① 인성교육의 근본과 교육의 내용, ② 교육내용을 통한 삶의 가치 구현, ③ 인성교육의 단초, ④ 인성교육의 결실의 모든 구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인성교육의 단초가 되는 것은 사람의 마음에 있는데, 「심통성정도」가 그 시작이다. 퇴계는 「심통성정도」를 고치면서 사람 사이의 마주보는 관계성을 말하고 있다. 특히 지(智)는 성(性)에 가까운 거리에 두고 예(禮)는 정(情)에 가까운 위치로 삼아서, 주인에게 있어서 앎[智]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시키고, 서로를 바라보면서 서로를 알아[智] 본다는 의미를 확인시켰다. 이때 손님과 주인이 마주 보고 알게 되는 것은 다름 아닌 상대방의 감정이다. 퇴계가 이해한 감정은 사단 뿐만 아니라 칠정도 선(善)하다는 것이다. 이런 구도가 가능한 것은 퇴계의 이발기수(理發氣隨)라는 독특한 이론 덕분이다. 기존 연구에서 ‘이발기수’와 상대적인 지위에 놓인 기발이승(氣發理乘)은 실재하는 사태를 말하는 것이 아닌 잘못된 오해를 지칭하는 개념이었다. 이러한 퇴계 철학은 ‘싫음’이라는 감정을 단순히 부정적으로 오해하여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배움과 생각이라는 유학적 공부 방법이 쓰일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감정을 돌보고 이해하는 다양한 인성교육의 방법론이 나올 것을 기대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