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우리말 소리의 ‘맺고-푸는’ 리듬에 관한 시론적 연구 - 말과 음악을 이어주는 ‘형태리듬(Gestalt Rhythm)’과 관련하여 - = A Preliminary Study on ‘Vocal Folds Tense-Release Rhythm’ of Korean Speech Sound - With the Focus on ‘Gestalt Rhythm’ which Connects Speech Sound with Music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음악사학보(Journal of the Society for Korean Historico-Musicolog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17-276(60쪽)
제공처
인간의 언어 습득과정에서 말소리 리듬을 먼저 지각하고 체화한다면 말소리 리듬은 자신의 고유한 전통음악 리듬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영어권 영아는 혼돈의 말소리 흐름에서 강한 앞소리와 약한 뒷소리가 일정 간격으로 이어짐을 감지할 것이고 한국인 영아는 ‘국밥’의 말소리처럼 앞소리와 뒷소리가 중간에 순간적인 멈칫에 의해 묶여 있음을 감지할 것이다. 이렇게 특정한 관계로 형성된 소리 단위체가 혼돈의 말소리 흐름에서 돌출되고 주기적으로 들려오면, 그 단위체는 리듬으로 기능하고 앞소리와 뒷소리의 특정 관계는 그 단위체의 내적 조직화 원리로 작용할 것이다. 이는 언어 습득에서 말의 의미 이해보다 말소리 리듬과 발성에 대한 이해가 먼저임을 암시한다. 왜냐하면 앞소리와 뒷소리의 특정 관계는 양육자의 발성 과정에서 실현되고, 발성 원리에 의해 앞소리와 뒷소리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형태이론을 수용한 현상학적 지각이론에 의거하면 이 단위체는 ‘형태리듬(Gestalt Rhythm)’이라 할 수 있다. 형태리듬은 잘 지각되는 범위를 중심으로 상층과 하층으로 리듬층위가 설정된다. 그리고 형태리듬의 내적 조직화 원리는 모든 층위에서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강세에 입각한 영어의 강약리듬도 형태리듬이며, 또한 ‘불파와 성대 폐쇄→폐쇄지속→개방 파열’의 발성에서 출현하는 한국의 ‘맺고-푸는’ 리듬도 형태리듬이다. 전자는 강세 등시성에 의해 리듬의 단위기준 설정이 가능하다. 또 강약 이원적 대립이 2분할(2박) 리듬으로 이어지게 한다. ‘맺고-푸는’ 리듬은 분할이 불가능하고, 폐쇄지속(휴지)의 작용으로 형태리듬 음길이가 속도나 층위에 따라 신축적으로 변환된다.
‘맺고-푸는’ 리듬의 내적 조직화 원리는 ‘말소리 덩어리 2개에 의한 3개 구간 형성’이고 중간에 휴지가 개입된다. 이것이 말소리 기준층위뿐만 아니라 상층과 하층에도 적용되기 위해서는 말소리 덩어리 2개는 [A • (B+A)]의 단장 구조이어야 한다. 즉 [하층요소 • 자기층요소]로 말소리 층위를 구성하는데, 이러한 점은 용비어천가의 권점과 치화평의 가사 배치를 통해서 확인될 수 있다. 이 같은 논지에 의하면 말소리 층위 별 음절수는 피보나치수열 관계에 따라 성립되므로 본고에서는 이를 규범 음절수라 하였다.
이에 기존에 발표된 음성 실험자료를 재해석하여 규범 음절수 장단 비율과 실제 말소리량 장단 비율이 대응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지금 우리말 리듬의식을 ‘맺음형’과 ‘풀림형’으로 제안하고, 의성 의태어 음절 늘리기 방식에서 리듬의식의 변환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전통음악 주요 장단에 반영된 우리말 리듬의식을 설명하였고, 한국가요에도 우리말 리듬의식이 녹아있음을 사례 분석으로 제시하였다.
If the speech sound rhythm is first perceived and embodied in the human language acquisition process, the speech sound rhythm is highly likely to lead to one's native and traditional musical rhythm. English-speaking infants will detect that the strong front sound and the weak back sound are connect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haotic speech sound flow, and Korean infants will detect that the front sound and the back sound are bound by a momentary pause in the middle, like the speech sound of 'kuk-bap' (국밥). When a sound unit formed by such the specific relationship of front sound and the back sound protrudes from the chaotic speech sound flow and is heard periodically, the unit will function as a rhythm. And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 front sound and the back sound will serve as the unit's internal organization principle. This implies that understanding the speech sound rhythm and phonation comes befor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ds in language acquisition. This is because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 front sound and the back sound is realized in the phonation process of the caregive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sound and the back sound is caused by the phonation principle.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theory that accepts the 'Gestalt' theory,this unit can be called the 'Gestalt Rhythm'. In the 'Gestalt Rhythm', the rhythmic layer is set up in the upper and lower layers centering on the layer which is well perceived. And the principle of internal organization of the 'Gestalt Rhythm' is equally applicable at all levels. The strong-weak rhythm of English based on the stress-accent is also a 'Gestalt Rhythm', and the Korean ‘(vocal folds) tense-release rhythm’ that appears in the phonation process of 'unreleased and vocal folds closure → continuing vocal folds closure → vocal folds open and plosion' is also a 'Gestalt Rhythm'. The former can set the unit standard of rhythm with the isochronal interval of the stress-accent. In addition, the strong-weak dual confrontation leads to the two-division (two beats) rhythm. The Korean ‘(vocal folds) tense-release rhythm’ is impossible to divide, and the length of the Korean 'Gestalt Rhythm' is flexibly converted according to the sound speed or the rhythmic layer due to the action of continuing vocal folds closure (pause).
The principle of internal organization of the Korean ‘(vocal folds) tense-release rhythm’ is 'forming three sections by front speech sound and back speech sound', and the pause is involved in the middle. In order for this to be applied not only to the primary rhythmic layer, but also to the upper and lower layers, the frontf speech sound and back speech sound must be the short-long (or long-short) structure of [A Ÿ (B+A)]. In other words, the speech sound rhythmic layer is composed of [lower layer element Ÿ own layer element].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punctuation marks of Yongbiŏch’ŏn-ga (龍飛御天歌) and arrangement of the lyrics on Ch’ihwap’yŏng (致和平). According to this principle of internal organization of the Korean ‘Gestalt rhythm’, since the number of syllables in each speech sound rhythmic layer is determined by the Fibonacci sequence, this paper called it 'the normative syllable-number'.
By reinterpreting the previously published voice experimental data, it was empirically investigated that the short-long (or long-short) rhythm ratio of 'the normative syllable-number' could correspond with the short-long (or long-short) rhythm ratio of the actual speech sound. And in this paper, the two Korean rhythmic consciousness was proposed as "(the vocal folds) tense type" and "(the vocal folds) release type". In addition, the transformation of rhythmic consciousness was explained when syllables of onomatopoeic words is increased. Also by analyzing the case, it was explained that the Korean ‘(vocal folds) tense-release rhythm’ consciousness was reflected in the ...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