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악찬양의 학문적 성찰 - 관련 논문의 동향과 의의 - = Academic Reflections on Kugak Ch’anyang, Koreanized Protestant Church Music - Trends and Significance in Related Studies -
저자
김묘신 (이화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음악사학보(Journal of the Society for Korean Historico-Musicolog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36(32쪽)
제공처
본 논문은 국악찬양에 대한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기존의 학술적 성과를 수집·정리하여 그 학문적 의의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 전통음악을 교회음악에 접목하려는 시도는 개신교유입 이후 140여 년 동안 꾸준히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1980년대 이후 국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함께 본격적인 실천과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었다. 특히 1960년대 토착화신학과 1970년대 민중신학이라는 한국적 신학의 흐름은 복음의 한국적 표현과 토착 문화의 존중을 신학적으로 뒷받침하며 국악찬양의 출현에 기반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악찬양”, “토착화”, “한국화”, “교회음악” 등을 주요 키워드로 하여 수집한 총 131편의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을 여섯 개의 주제로 분류․분석하였다. 또한 국악찬양은 단순한 음악적 실천을 넘어 한국인의 정체성, 문화적 동시대성, 융합적 교육의 가능성을 포함한 다층적인 문화 실천의 장이며, 한국 종교음악의 하나로 인식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아직 국악찬양에 참여하는 수가 많지 않고 실천 현장의 한계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그러나 그간 축적된 학문적 성과는 국악찬양의 실천과 교육 현장에서의 확대 가능성을 시사하며, 한국적 교회음악의 미래를 모색하는 데 중요한 토대를 제공한다. 나아가 국악찬양은 한국 종교음악의 한 부분으로, 나아가 한국음악사의 한 흐름으로 인식되고 인정되어 갈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This study aims to collect and organize existing academic research focusing on theses and scholarly articles on kugak ch’anyang—Koreanized Protestant church music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music—and to examine its academic significance. For over 140 years since the introduction of Protestantism in Korea, efforts to incorporate traditional Korean music into church music have steadily continued. Since the 1980s, these efforts have developed into active practices and scholarly investigations, particularly in light of changing social perceptions of kugak, or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emergence of kugak ch’anyang was further supported by the rise of contextual theologies in Korea such as Tochkhwasinhak (Korean Indigenous Theology) in the 1960s and Minjungsinhak (Minjung Theology) in the 1970s, which provided a theological foundation for expressing the gospel in a Korean context and respecting indigenous culture.
This study analyzes 131 theses and scholarly articles collected using keywords such as “kugak ch’anyang,” “indigenization,” “Koreanization,” and “church music,” categorizing them into eight thematic areas. It further argues that kugak ch’anyang goes beyond mere musical practice to serve as a multifaceted site of cultural expression that encompasses Korean identity, cultural contemporaneity, and possibilities for integrative education. Although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kugak ch’anyang remains limited and practical challenges persist, the accumulated body of academic work suggests the potential for its broader application in performance and education. It provides a vital foundation for envisioning the future of Korean church music and is expected to be increasingly recognized not only as a form of Korean religious music but also as part of the broader history of Korean music.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