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생태환경교육을 위한 역사 교과의 과제와 적용 방안 = Challenges and Applications for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in History Curriculum
저자
김정분 (공주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5-101(17쪽)
제공처
소장기관
This paper began with a question about the challenge and conditions for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in history education. It discussed how ecological citizenship education, which is suggested as a major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what ecological perspective that argues for deviating from humanism means to history, and what direction ecological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proceed in history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 clues to raising these problems, Chapter 1 summarizes what ecological citizenship is as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core of the discussion on ecological citizenship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ecological concepts.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ism, which is noted in previous studies, is that it is necessary to escape human-centered thinking, and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at the discussion and orientation on ecological citizenship are mainly directed at emotions and attitudes. Chapter 2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human-centered historiography and the necessity of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In order for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to be applied to history education, the meaning of deviating from human-centered thinking must be explained first. This paper emphasized that the concept needs to be redefined rather than the absolute denial of humanism. Ecological thinking is to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with the power of critical reason. Ecological thinking also requires the sense and imagination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nature and civilization. Chapter 3 presents the meaning of a historical narrative for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and its composition plan. Several conditions are needed to construct a historical narrative aimed at ecological thinking. First, historical facts and storytelling are need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 beings. Second, expand the area of historical awareness of time and space. Third, it should be based on convergent thinking with other studies or other subjects so that a holistic perception of humans and non-human beings is possible.
더보기본 논문은 역사교육에서 생태환경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전제 조건과 적용 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1장에서는 환경교육의 목표로 제시되는 생태 시민성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환경교육의 개념과 가치를 정리하였 다 이를 통해 생태주의적 개념이 생태 시민성의 핵심사항이며 생태시민성에 대한 논의와 지향점이 주로 감정과 . 태도를 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생태주의의 실현이 인간중심적 . 사고에서 벗어나야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장에서는 인간중심적 역사학의 특징을 분석하고 생태환경 . 2 교육이 가능하기 위한 역사적 사고를 논의하였다 생태환경교육이 역사교육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인간중심적 사고 . 에서 벗어나는 의미를 설명해야 한다 즉 인문주의적 특징에 대한 절대적 부정이 아닌 개념의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 점을 강조하였고 이를 생태적 사고로 정의하였다 생태적 사고는 인간과 생태환경의 관계를 비판적 이성의 힘으로 . 사유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자연과 문명의 한계를 인지할 수 있는 감각과 상상력도 필요로 한다 생태적 , . 사고를 통해 환경문제의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생태환경교육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장은 생태적 사고를 위한 . 3 역사교육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새로운 역사 서사의 의미와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