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AI편향 시대에 유연한 편향성 함양을 위한 사회과 수업 모델링 = Social studies class modeling focused on cultivating flexible bias in the age of AI bia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3-112(10쪽)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principles of civic education and model classes for cultivating flexible bias that can cope with AI bias. The problem of AI bias is a problem citizens may face in an AI environment. Therefore, by applying this to problem-solving learning, a general social studies model that solves life's problems, a class model for flexible bias cultivation was designed. The principle of class design for class modeling sets the freedom of thought and expression presented in John Stuart Mill's theory of freedom as a basic principle, and based on this, a balanced politics as a principle of creating a climate for a democratic learning community The political education guidelines of the German Beutelsbacher Agreement, which embodied education, were applied: prohibition of coercion, maintenance of controversy, and strengthening of the ability to act politically. As the principle of learning activity, Spiro's cognitive flexibility theory and Siemens' connectivism principle were appli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class design,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derived in terms of classroom environment, class content, class method, class result, and evalu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permissive and non-authoritarian classroom climate in terms of classroom environment. Second, various knowledg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blem in terms of class content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therefore, should be selected and organized around variability and multiple representation. Third, in terms of teaching methods, students should be able to confirm their stereotypes and experience the process of changing ideas through individual free thinking and expression. In addition, classes based on the community of learning need to be designed around the formation of a repertoire of mutual respect among members and the interconnection of ideas. Fifth, in terms of class results and evaluation, recognize that ideas, which are results derived from step-by-step activities, can change. There is a need. The problem-solving learning model designed around the derived strategies should be created based on an open environment based on free expression of opinions. In an open environment, learners can seek situational contextual solutions to problems by experiencing the process of changing ideasthrough the process of continuous connec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Conclusively, the derivedproblem-solving methods can vary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You can internalizethe flexible bias that you have.
더보기본 연구의 목적은 편향에 대처할 수 있는 유연한 편향성 함양을 위한 시민교육의 원리를 도출하고 수업을 모델링 하는데 있다 편향의 문제는 환경에서 시민이 직면할 수 있는 문제이다 따라서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 AI AI . 일반적 사회과 모델인 문제해결학습에 이를 적용하여 유연한 편향성 함양을 위한 수업 모델링을 제언 하였다. 수업 모델링을 위한 수업의 설계의 원리는 존 스튜어트 밀 의 자유론에서 제시한 생각과 표현의 (John Stuart Mill) 자유를 기본 원리로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주적 학습 공동체의 풍토 조성의 원리로 균형 있는 정치교육을 , 구체화한 독일의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정치 교육 지침인 강제성 금지 논쟁성 유지 정치적 행위 능력 강화를 , , 적용하였다 학습 활동의 원리로는 스피로 의 인지적 융통성 이론 과 지멘스 . (Spiro) (cognitive flexibility theory) (Siemens) (connectivism) . , , 의 커넥티비즘 의 원리를 적용하였다 수업 설계의 원리를 바탕으로 교실 환경 수업 내용 수업 방법 수업 결과와 평가의 차원으로 수업전략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실 환경 차원에서 허용적이고 , , . , 탈권위적인 교실 풍토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수업 내용 차원에서 문제에 연결된 다양한 지식과 정보는 상황에 . ,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며 따라서 가변성과 다면성을 중심으로 선정 및 구성돼야 한다 셋째 수업 방법 차원에서 . , 는 개인의 자유로운 생각과 표현을 통해 자신의 고정 관념을 확인하고 아이디어의 변화 과정을 경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학습의 공동체에 기반 한 수업은 구성원들 사이의 상호 존중의 레퍼토리 형성과 아이디어의 상호 . 연결 활동을 중심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다 넷째 수업 결과와 평가 차원에서 단계별 활동에서 도출한 결과인 . , , 아이디어는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하고 평가는 학습자가 기억한 지식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지식과 , 구성원들의 연결을 통한 수행 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출한 전략을 중심으로 설계한 문제해결학습은 자유로운 . 의사 표현에 기반 한 개방적 환경을 바탕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개방적 환경에서 학습자는 지식과 정보의 지속적인 . 연결 과정을 통해 아이디어의 변화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문제에 대한 상황 맥락적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도출된 문제 해결 방법은 상황 맥락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는 유연한 편향성을 내면화시킬 수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