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청정개발체제 사업의 추진방향 = (The) Strategy of Implementation on Domestic CDM Project
저자
발행사항
수원 : 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 환경공학과 , 2010. 2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DDC
628 판사항(22)
발행국(도시)
경기도
형태사항
vi, 101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 99-100
소장기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현재 인류에게 위기로 다가오고있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국제적으로 1992년 기후변화협약을 체결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인류 공동의 노력을 선포하고, 1997에는 교토의정서를 채택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강제적 의무를 부과하였으며 배출권거래제(ET), 공동이행제도(JI), 청정개발체제(CDM) 등 교토메카니즘이라 불리는 경제적 수단을 도입하였다.
우리나라는 교토의정서의 이행에 대한 준비를 하여야 하고 이를 위한 경제적 수단으로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에 의한 CDM을 활용해야한다.
첫째, 태양광, 풍력발전에 대한 기술의 이전 및 개발이 될 수 있도록 유럽 선진국으로부터 신・재생에너지 관련 양국간 CDM 사업을 유치해야 한다.
둘째, 독자적 CDM을 활용하되 다양한 분야의 사업을 추진하여 에너지 공급의 다양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셋째,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의무는 개도국간 CDM을 활용하여 경제적으로 CERs를 획득해야 한다.
The climate change, as a result of global warming, would be the most serious and urgent issues imposed on human being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international community proclaimed expression of international joint responsibility on climate change with conclusion of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in 1992.
In 1997, with adoption of Kyoto Protocol, it imposed coercive obligation and introduced economic means, which is called Kyoto Mechanism such as Emission Trading(ET), Joint Implementation(JI) and Clean Development Mechanism(CDM).
Korea has to make a practical application of CDM with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s economic means to prepare implementation of Kyoto Protocol.
Fistly, we should attract new and renewable energy-related Bilateral CDM project for solar․wind power technology transfer and development from the developed European countries.
Secondly, we should take advantage of the Unilateral CDM, but to promote a wide range of projects to diversify the energy supply.
Finally, Korea's greenhouse gas reduction obligations should obtain economical CERs by taking advantage of the South-south CDM.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