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헤겔의 슐레겔 비판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7-99(33쪽)
제공처
지금까지 헤겔과 슐레겔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연구는 주로 헤겔의 관점에서 슐레겔을 헤겔이 어떻게 비판했는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그런데, 슐레겔에 대한 헤겔의 비판은 헤겔 자신의 관점에서만이 아니라 가능한 한 어느 쪽에도 편중되지 않은 객관적인 관점에서 좀 더 면밀하게 그 정당성이 재검토될 필요성이 있다. 여기서 다루어져야 하는 문제들은 낭만적 아이러니와 주관성, 그리고 그 철학적 기반으로서 피히테 철학과 두 사람의 관계 문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헤겔의 슐레겔 비판이 지니는 의미는 다음과 같이 재정리가 가능하다. 첫째, 헤겔은 자아의 절대적 주관성이 모든 객관을 무화시켜 버린 상태가 낭만적 아이러니로 표현된다고 주장하면서, 실체적이고 인륜적인 내용을 부정하고 파괴하기만 하는 슐레겔의 입장을 공허하고 가식적인 주관주의로 비판한다. 그러나, 슐레겔이 주관의 무한성과 더불어 주관의 자기제한도 강조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헤겔의 비판은 일면적임이 드러난다. 오히려 예술적 상상력과 독창성에 관한 논의에서 헤겔 자신도 주관뿐만 아니라 객관적 측면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우리는 슐레겔과 유사한 입장을 재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헤겔 자신이 명시적으로 밝힌 것과는 달리 헤겔과 슐레겔의 입장 차이가 상당히 좁혀질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 볼 수 있다. 둘째, 헤겔은 슐레겔 비판에서 슐레겔의 사상을 피히테 철학과 시종일관 밀착된 관계로 보고 있지만, 정작 슐레겔 자신은 1796년경부터 스스로 피히테 철학으로부터 거리를 두면서 피히테의 토대주의를 강하게 비판한다. 이 비판의 주요 근거는 피히테 철학이 인간의 현실적인 활동과 행위를 포괄하는 역사적인 면을 다루지 못했다는 점이고, 이 점에서 슐레겔의 입장은 피히테보다는 오히려 헤겔에게 가까운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왜냐하면 헤겔은 자신의 철학이 슐레겔보다 피히테에게 더 친근하다는 것을 주장하고 싶어했지만, 헤겔의 역사주의적 관점은 피히테가 아니라 슐레겔에 가깝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슐레겔에 대한 헤겔의 모든 비판은 결국 슐레겔이라는 사상가와 그의 철학적 방법론과 입장으로 귀결된다. 즉 헤겔의 슐레겔 비판은 이론에 대한 비판만이 아니며, 더 나아가 철학함에 있어서 어떤 태도와 입장을 취하느냐, 라는 실천적 문제와 연관된다. 헤겔은 완결적이며 체계적인 방법에 기초해 슐레겔을 비판하지만, 이에 비해 슐레겔은 그러한 체계의 한계를 직시하여 오히려 미완결적이며 비체계적인 아포리즘적 단편을 선호했다. 헤겔은 슐레겔이 자신처럼 합리적 논증과 체계적 방법을 통해 철학하지 않았다고 슐레겔을 비판하지만, 그러나 이러한 비판은 헤겔의 고유한 입장에 편중된 비판이며, 애초부터 슐레겔에게는 합당하지 않은 요구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비록 헤겔과 슐레겔이 철학적 방법과 입장에서 분명히 차이나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 모두 초기부터 감성과 이성, 포에지와 철학과 같은 대립적 요소들을 조화시키려는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이상과 같은 면밀한 재검토를 통해 두 철학에 대한 이해의 폭을 좀더 넓힐 수 있다.
더보기Until now, the relation between Hegel and Schlegel has been mostly reviewed from Hegel"s own perspective. However, the relationship of these two philosophers should be reexamined in detail from a more objective stance. Here we have such problems as romantic irony and subjectivity, the relation these two philosophers to Fichte"s philosophy. Regard to these problems, Hegel"s criticism of Schlegel can be reinterpreted as follows; First, Hegel criticized Schlegel"s claim as a empty and hypocritical subjectivism, because Hegel thought that it was the romantic irony that the absolute subjectivity of the self nullified all objective things. But Hegel"s claim is partial, because Schlegel emphasized not only the infinity but also the self-limitation of subject. In this point we can see that positions of these two philosophers may be more similar than we expected, because like Schlegel, Hegel emphasized the objective as well as subject in the discussion about aritistic imagination and originality. Second, Hegel thought that Schlegel"s thought was consistently very close to Fichte"s philosophy, whereas Schlegel broke with Fichte"s fundamentalism around 1796. Schlegel criticized Fichte"s fundamentalism because Fichte couldn"t deal with historical problems which contained human activities and actions. In this point Schlegel"s and Hegel"s standpoint may be much closer to each other than we expected. Finally, Hegel"s criticism of Schlegel"s thought eventually proceeds into Schlegel as a person and his philosophical methodology. Hegel"s criticism is concerned with not only theory itself but also practical attitude. Hegel criticized Schlegel by his own complete and systematic method, whereas Schlegel was faced with the limits of such a systematic method and preferred incomplete, non-systematic and aphoristic fragments. Hegel criticized Schlegel because Schlegel didn"t philosophize through rational argumentation and systematic way like Hegel himself, but this criticism is a partial and inappropriate demand for Schlegel. Although these two philosophers have a different position and method from each other, but nonetheless we can see more familiar relationship of these than we expected, because both tried to harmonize such oppositional elements as emotion and reason, poetry and philosophy. Furthermore we can broaden understanding of these two philosophies through such a reexamination abov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