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내 시멘트 산업의 폐합성수지 활용 현황 및 연료대체율 증가에 따른 KS제도 개선 필요성 연구 = Study on the Utilization of Waste Plastic in the Korea Cement Industry and the Revision of KS Standards for Increasing Fuel Substitution Rates
본 연구는 국내 시멘트 산업의 폐합성수지 활용 현황과 대체연료 사용량 증가에 따른 시멘트 내 염화물 함량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국내외 시멘트 및 콘크리트 내 염화물 기준 조사를 통해 KS제도 개선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2016∼2023년에 조사된 각사별연평균 염화물 함량 중 최대값은 485 ppm이었으며, 폐합성수지 사용량 증가 시 1,033 ppm까지 증가할 것으로 계산되었다. 국내콘크리트 염화물 관리 기준은 총량제로서 0.3 kg/m3로 제한하고 있지만, 계산된 시멘트 염화물량(1,033 ppm)을 기준으로 하였을때 단위시멘트량이 290 kg/m3 이상이 되는 경우 현행 KS 염화물 기준을 만족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다수의 국가에서는시멘트 투입량에 따라 콘크리트 염화물량을 제한하는 종량제를 채택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또한 시멘트 산업의 탄소중립 달성을위해서 연구수행을 통한 합리적 염화물 기준도출과 이해관계자 공감대 형성을 통해 종량제 도입 추진이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생각된다.
더보기In this study, t he s ta tus of f uel substitution in Korea cement industry a nd t he c hloride contents o f cement p roducts w ere investigated to consider the revision of KS F 4009. The annual average chloride contents of cement products were 130∼ 485 ppm, and the chloride in cement products was calculated to be 1,033 ppm with increasing the use of waste plastic. As a result from the increase of chloride in cement, the chloride contents in concrete will exceed 0.3 kg/m³, if more than 250 kg/m³ of cement is used. In many countries, the limit of chloride in concrete is decided by the environment where concrete is used and the quantity of cement used in concrete. Considering the inevitable increase in the chloride in cement and concrete due to the increased use of waste plastic and the trends in overseas standards for chloride of concrete, it is thought that the revision of KS F 4009 should be reviewed.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