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op 스토리텔링 연구 : 방탄소년단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2019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 문화예술기획전공 , 2019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한국어
KDC
600.13 판사항(6)
DDC
700.68 판사항(23)
발행국(도시)
광주
형태사항
1, 93장 : 천연색삽화, 도표 ; 30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정경운
참고문헌: 장 86-90
소장기관
한국의 아이돌은 한국 음악 산업에서 큰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세계 시장으로 진출하기 시작한 K-POP은 최근 들어 세계적 관심을 받으면서 이슈화되고 있다. 그 정점에 방탄소년단이 있다. 방탄소년단의 팬덤은 현재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이다. 이러한 팬덤을 만들어내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현재 젊은 세대들이 안고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음악에 담아내면서 팬들이 그에 공감하고 반응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로 이러한 공감을 이끌어내는 요소 중 하나가 방탄소년단 음악세계가 갖고 있는 스토리텔링에 있다고 보고, 그 전략들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지금까지 발매된 15편의 앨범과 그에 담긴 BU(BTS Universe), [BTS Live Trilogy EPISODE III. THE WINGS TOUR]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음반을 통한 스토리텔링,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및 각색, 콘서트 스토리텔링 등 세 가지 측면을 살폈다.
먼저, 음반을 통한 스토리텔링은 3가지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학교, 청춘, 유혹, Love Your Self, MAP OF THE SOUL 시리즈는 방탄소년단 멤버들의 성장기록물로서의 성격을 보여준다. 또한 각 앨범들과 곡과 곡들 간에 다양한 연결방식을 통해 하나의 스토리를 완성해나가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젊은이들의 경험을 담아내고 있는 세대서사는 팬들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강력한 요소로 작동하고 있다.
둘째, 세계관의 내용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하는 것이다. 방탄소년단은 여러 가지 미디어를 통해 세계관에 대한 힌트를 공개함으로써 팬덤은 세계관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팬 층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스토리를 예상함으로써 팬들은 다양한 자료를 만들어냈고 이 과정을 통해 세계관이 지속적으로 각색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 다른 특징으로 기존의 아이돌처럼 초능력을 부여해 세계를 구하는 슈퍼 히어로와 같은 모습으로 묘사된 것이 아닌, 사회적 약자로 각 멤버들의 위치를 정하고 개연성 있는 스토리를 구성해 사회의 일원으로서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월드를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방탄소년단의 콘서트 스토리텔링은 앨범과 세계관을 연결하는 동시에 확장하고 있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들의 콘서트는 앨범에서 나타나는 성장과정을 도입할 뿐만 아니라, 세계관과 관련된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어 팬덤의 공감과 더불어 적극적 분석 개입을 유도하고 있다.
이렇듯 음반, 세계관, 콘서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각의 전략들은 팬들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그 호기심이 다음 앨범과 콘셉트에 대해 미리 연구와 분석을 하도록 유도하는 등 팬덤 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B.U(BTS Universe)로서의 스토리와 더불어 그들의 성장에 대한 스토리 앨범의 스토리까지 다중의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더욱 견고해져가고 여러 스토리를 통하여 다양한 사람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고 있는 점이 방탄소년단이 갖고 있는 브랜드 파워를 만들어내는 요소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가 세계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국내 아이돌 그룹 음악기획 전략에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 향후 음악 산업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한국의 아이돌은 한국 음악 산업에서 큰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세계 시장으로 진출하기 시작한 K-POP은 최근 들어 세계적 관심을 받으면서 이슈화되고 있다. 그 정점에 방탄소년단이 있다. 방탄소년단의 팬덤은 현재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이다. 이러한 팬덤을 만들어내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현재 젊은 세대들이 안고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음악에 담아내면서 팬들이 그에 공감하고 반응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로 이러한 공감을 이끌어내는 요소 중 하나가 방탄소년단 음악세계가 갖고 있는 스토리텔링에 있다고 보고, 그 전략들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지금까지 발매된 15편의 앨범과 그에 담긴 BU(BTS Universe), [BTS Live Trilogy EPISODE III. THE WINGS TOUR]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음반을 통한 스토리텔링,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및 각색, 콘서트 스토리텔링 등 세 가지 측면을 살폈다.
먼저, 음반을 통한 스토리텔링은 3가지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학교, 청춘, 유혹, Love Your Self, MAP OF THE SOUL 시리즈는 방탄소년단 멤버들의 성장기록물로서의 성격을 보여준다. 또한 각 앨범들과 곡과 곡들 간에 다양한 연결방식을 통해 하나의 스토리를 완성해나가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젊은이들의 경험을 담아내고 있는 세대서사는 팬들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강력한 요소로 작동하고 있다.
둘째, 세계관의 내용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하는 것이다. 방탄소년단은 여러 가지 미디어를 통해 세계관에 대한 힌트를 공개함으로써 팬덤은 세계관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팬 층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스토리를 예상함으로써 팬들은 다양한 자료를 만들어냈고 이 과정을 통해 세계관이 지속적으로 각색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 다른 특징으로 기존의 아이돌처럼 초능력을 부여해 세계를 구하는 슈퍼 히어로와 같은 모습으로 묘사된 것이 아닌, 사회적 약자로 각 멤버들의 위치를 정하고 개연성 있는 스토리를 구성해 사회의 일원으로서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월드를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방탄소년단의 콘서트 스토리텔링은 앨범과 세계관을 연결하는 동시에 확장하고 있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들의 콘서트는 앨범에서 나타나는 성장과정을 도입할 뿐만 아니라, 세계관과 관련된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어 팬덤의 공감과 더불어 적극적 분석 개입을 유도하고 있다.
이렇듯 음반, 세계관, 콘서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각의 전략들은 팬들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그 호기심이 다음 앨범과 콘셉트에 대해 미리 연구와 분석을 하도록 유도하는 등 팬덤 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B.U(BTS Universe)로서의 스토리와 더불어 그들의 성장에 대한 스토리 앨범의 스토리까지 다중의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더욱 견고해져가고 여러 스토리를 통하여 다양한 사람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고 있는 점이 방탄소년단이 갖고 있는 브랜드 파워를 만들어내는 요소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가 세계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국내 아이돌 그룹 음악기획 전략에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 향후 음악 산업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pop artists known as idols have been playing a major role in Korean music industry. Since K-pop advanced to the world music market in the late 1990s, it has been the topic of news receiving the world’s attention. On the top of the fame and popularity, there is a boy band named Bangtan Sonyeondan (BTS). At present, the fandom of BTS is second to none. Many factors may have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reatest fandom, but a major factor is the content of their music, portraying a wide range of circumstances familiar to younger generations, which leads them to relate to BTS and respond with enthusiasm. Under the preposition that the storytelling nature of BTS music is one of the factors that bring out such empath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ir storytelling strategies.
Along with the BTS Universe, and [BTS Live Trilogy EPISODE III. THE WINGS TOUR] 15 BTS albums that have been released so far were selected as the target of analysis for this study. The contents of storytelling were analysed from three aspects: storytelling through music albums, transmedia, and through dramatization and concerts.
First, the storytelling through the music albums were manifested in three ways. The album series about school, youth, temptation, and loving oneself (Love Yourself, Map of the Soul)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documentary of BTS members. They are also utilizing the strategy of perfecting a story through various means of connecting individual songs and albums. In particular, the epilogues depict young people’s experience, acting as a powerful element that brings out the empathy of their fans.
Second, their world view is shared through trans media storytelling. BTS reveals a small part of their world view through many different media channels and actively motivates the fan base to follow up on their world views. Their fans imagine the stories and create diverse resources and their world view is continually dramatized in the process.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ir storytelling is the description of the members. Instead of portraying themselves as super heroes saving the world with their super power as other idols do, they create a world of probable stories by posing themselves as members of the vulnerable group in the society whom people can relate to.
Third, BTS concert storytelling has the characteristic of connecting and expanding their music albums and their world views. Their concerts not only introduce their growing moments that have been portrayed in their albums but also contain the contents related to their world views, which invites their fans to relate to them and actively analyse with them.
As discussed above, each strategy used for albums, world views, and concerts brings out the curiosity in fans, and their curiosity plays the decisive role in leading the fans to investigate and analyse future BTS albums and concept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the fandom. Multiple ways of storytelling including the BTS Universe and the albums documenting their grow thare the key for a wide audience to relate to BTS; it is the element that creates the brand power of BTS.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vitalize the music industry and provide the direction for music planning strategies of Korean idol groups that intend to advance into the world market.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