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전통적 지식 서술과 근대적 기술 포착의 공존장-「南洪量傳」을 중심으로- = The Co-existence of Traditional Knowledge Description and Modern Technology Capture -Focusing on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5-74(30쪽)
제공처
This paper corresponds to an approach to the aspect and perspective of the incorpor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modern technology through Chinese novels, focusing o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For example, this paper noted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which seems to have been crea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is characterized by the active use of authentic precedent and the use of various Chinese style styles, which is highlighted as a characteristic of Chinese novels in the 19th century ente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At the same time, it is confirmed that the pattern of modern external stimuli is introduced into the work and reflects some of the traditional and modern customs.
Of course,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alone cannot fully explain the detailed aspects and perspectives of competition and conflict over traditional knowledge and modern technology in Chinese literature novels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However, starting with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it is intended to take one aspect of the embedded perspective on traditional knowledge and modern technology inherent in the works created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In the end, this point leads to confirming from what perspective the situation surrounding literature- oriented traditional knowledge and material-oriented modern technology is incorporated and reflected in the genre of fiction.
This is confirmed not only in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but also in the case of <Kimcheongnammongyurok(金靑楠夢遊錄)>, which is determined as a work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attitude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times can be confirmed in the novel by using machine-related vocabulary referring to modernization. However, in the perspective inherent in the work, it is seen that while acknowledging the reality of modernization represented by machines, there is a fear of the power of modern machines in both ways. At this level, it is worth noting that a group of Chinese long-length novels from th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ies, including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serve as a coexistence field where traditional knowledge and modern technology are combined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co-existence refers to a text that emphasizes openness to engage in various discussions using the genre of fiction that can be imagined away from the form and norm-oriented unilateralism of the official text of the colle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narrative text of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including the 19th century Chinese character novel, to use various Chinese style as writing methods to convey discussions away from the narrative-oriented genre of fiction. This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fact that Chinese novels are read in a way that responds to changes in the times, and that the author base, who can create Chinese-language novels, is willing to reorganize the text into a new writing field. This point is also a part that needs to be delicately and approached through a complex and multi-layered perspective that penetrates the author, reader, and era, away from the genre perspective, so I would like to highlight it in earnest through a later review.
본고는 근대이행기를 중심으로 전통적 지식과 근대적 기술이 착종되는 양상과 시각을 한문소설을 통해 접근한 것에 해당된다. 본고에서는 일례로 20세기 초에 창작된 것으로 보이는 「南洪量傳」을 주목하였다. 「남홍량전」은 근대 이행기로 접어드는 19세기 한문소설의 특징으로 부각되는 전고의 적극적 사용과 다양한 한문 문체 양식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러면서도 근대적 외부 자극이 인입된 양상을 작품 속에 틈입시켜서 전통과 근대의 습합을 일정 부분 반영한 양상이 확인되기도 한다.
물론 「남홍량전」만을 가지고 근대 이행기 한문소설에서 전통적 지식과 근대적 기술을 둘러싼 각축과 갈등의 세부적 양상과 시각을 온전히 설명할 수는 없다. 다만 「남홍량전」을 필두로 근대 이행기에 창작된 작품 속에 내재된 전통 지식과 근대적 기술에 대한 착종된 시선의 일면 간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점은 결국 근대 이행기를 중심으로 문헌 중심 전통 지식과 물질 중심 근대 기술을 둘러싼 국면이 소설이라는 장르 속에 어떤 시각으로 습합, 반영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연결된다.
이 점은 「남홍량전」뿐만 아니라, 같은 20세기 초 작품으로 비정되는 「金靑楠夢遊錄」의 경우에도 확인되는 것으로 근대화를 지칭하는 기계 관련 어휘들을 사용함으로써 시대 변화에 반응하는 태도를 소설 속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작품에 내재된 시선 속에서는 기계로 대변되는 근대화의 현실을 인정함과 동시에 근대적 기계의 위력에 대한 공포가 양가적으로 존재하는 게 엿보이기도 한다. 이런 차원에서 「남홍량전」을 위시한 일군의 19~20세기 초 한문장편소설은 전통적 지식과 근대적 기술이 동시에 습합된 공존장의 역할을 하는 텍스트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때 공존장이란 문집이라는 공식적 텍스트가 가진 형식과 규범 지향의 일방성에서 벗어나 상상이 가능한 소설이란 장르를 활용해 다양한 의론을 펼칠 수 있는 개방성이 강조된 텍스트를 지칭한다.
따라서 19세기 한문장편소설을 위시한 근대 이행기 한문서사 텍스트에 대해서는 소설이라는 서사 중심적 장르 관점에서 벗어나 의론을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한문 문체 양식이 글쓰기 방식으로 활용, 구현된 텍스트로 관점을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시대 변화에 한문소설이 대응하는 방식으로 읽힘과 동시에 특히 한문장편소설을 창작할 수 있는 작가층이 새로운 글쓰기의 장으로 텍스트를 재편하려는 의지가 투영된 결과로 이해할 수 있을 듯하다. 이 점은 비단 장르적 관점에서 벗어나 작가와 독자, 시대를 관통하는 복합적이고 중층적 시각을 통해 섬세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후고를 통해 본격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