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발달장애 성인 보호자의 의사소통 중재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 연구 = A Cross-Sectional Survey of Caregivers’ Perception and Needs for Communication Intervention i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적: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 보호자의 의사소통 중재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보호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언어치료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치료 접근성의 제한, 그리고 재정적 지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방법: 국내 성인 발달장애인 보호자 500명을 대상으로 횡단적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 의사소통 방식, 언어치료 필요성, 재정적 지원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카이제곱 검정, 피어슨 상관분석, 요인분석 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 결과, 여성 보호자가 남성 보호자에 비해 언어치료 교육 경험이 많았으며, 연령이 높은 보호자일수록 교육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치료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보호자는 그렇지 않은 보호자에 비해 치료 필요성을 인식할 확률이 2.16배 높았다. 발달장애의 중증도는 보호자의 치료 필요성 인식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OR=2.75, p<.001). 재정적 제약이 가장 큰 접근성 제한으로 확인되었으며(χ2=62.31, p<.001), 재정 지원이 불충분하다고 인식하는 보호자는 추가 지원을 요구할 확률이 4.21배 높았다. 자폐스펙트럼장애 보호자의 경우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의 필요성을 인식할 확률이 2.8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χ2=29.41, p<.001).
결론: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언어치료 서비스는 보호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재정 지원 확대, 장애 특성별 차별화된 중재 전략 수립이 필요하며,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접근성 향상과 인식 개선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aregivers’ perceptions and needs regarding communication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D). Specifically, it examin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ctors influencing awareness of speech therapy, barriers to access, and financial support consideration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with 500 caregivers’ of adults with DD in South Korea.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sess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methods, speech therapy needs, and financial support perceptions.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chi-square test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Female caregivers showed higher participation in speech therapy education compared to male caregivers, and older caregivers reported more educational experiences. Caregivers with prior speech therapy education were 2.16 times more likely to perceive its necessity. The severity of D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givers’ recognition of therapy needs (OR=2.75, p<.001). Financial constraint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significant barrier to accessing speech therapy (χ2=62.31, p<.001), with caregivers perceiving insufficient financial support being 4.21 times more likely to seek additional aid. Caregivers of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2.89 times more likely to acknowledge the necessity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interventions (χ2=29.41, p<.001).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speech therapy services for adults with DD. Development of tailored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caregivers’ characteristics, expansion of financial support, and establishment of disability-specific intervention strategies are necessary. Additionally, policy efforts are required to enhance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awareness of speech therapy servic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