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11년간 Clozapine 투여에 의한 무과립구증과 호중구감소증 = Clozapine-induced Agranulocytosis and Neutropenia for 11 Years in South Korea
저자
조만제(Man-Je Cho) ; 오정태(Jung-Tae Oh) ; 강병조(Byung-Jo Kang) ; 이양현(Yanghyun Lee)
발행기관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학술지명
생물치료정신의학(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3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4-191(8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목적 :
Clozapine은 치료저항성 정신분열병환자의 치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생명을 위협하는 혈액학적 부작용 때문에 사용에 많은 제한이 따른다. 본 연구자들은 한국에서 장기간의 clozapine 투여에 의한 무과립구증과 호중구감소증의 전체 발생률과 투여 기간에 따른 발생률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1993년 2우러부터 2004년까지 11년간 Clozaril Patient Monitoring System(CPMS)에 등록된 7367명 중 분석 기준에 합당한 6,78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조사 대상 6,782명 중 54명에서 무과립구증, 697명에서 호중구감소증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11년간 무과립구증의 일반발생률은 0.8%였고, 호중구감소증의 일반발생률은 1028%였다. 무과립구증이 발생한 환자들 중 53.7%가 18주 이내에 발생하였고, 위험률은 2,3개월째 각각 0.0014, 0.0025로 가장 높았다. 또한 최종 누적발생률은 1.64%였다. 호중구감소증이 발생한 환자들 중 52.4%가 18주 이내 나타났고 위험률은 3개월 이내에 가장 높았다. 무과립구증의 발생에 있어서 성별이나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Clozapine에 의한 혈액학적 부작용은 18주 이내에 많이 나타나고, 무과립구증의 발생률은 외국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수 년 이상 장기간의 clozapine 투여 후에도 무과립구증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지속적인 혈액학적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혈액검사의 빈도를 줄일 수 있을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일시적인 무과립구증(transient agranulocytosis)”이 존재할 가능성도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Clozapine is effective in treating patients with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a. Because of producing a potentially fatal agranulocytosis, the use of clozapine is restricted to patients who are resistant to, or intolerant of, conventional antipsychotic medication. This study documents the incidence of agranulocytosis and neutropenia, and pattern of variation in incidence of these side effects in a long-term clozapine treatment.
Methods : An analysis was made of the hematological, demographic, and other characteristics data from Clozaril Patient Monitoring System(CPMS) data on 6782 patients on clozapine over about 11 years in South Korea.
Results : During the study period, agranulocytosis developed in 54 patients with 29(53.7%) cases within 18 weeks. The cumulative incidence of agranulocytosis was 1.64% at 6 to 11 years and the crude incidence was 0.8%, with the hazard rates peaking at the 3rd month(0.0025) and 2nd month(0.0014). Neutropenia occurred in 697 patients, and 365(52.4%) cases developed within 18 weeks. The cumulative incidence of this blood abnormality was 19.8% at 8 to 11 years, the crude incidence was 10.3%, and the hazard rates peaked at the 2nd month(0.0188).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incidence of agranulocytosis in South Korea is similar to that in the rest of the world. Because of agranulocytosis that occurred after several years of clozapine use, long-term monitoring of patients' white blood cell counts is necessary. In the future, studies of reducing the frequency of hematologic monitoring are needed, and the concept of "transient agranulocytosi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2 | 0.62 | 0.8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 | 0.64 | 1.34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