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복장(腹藏)에 수용된 포자법(布字法)의 전개와 특징 =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jabeop Meditation Embedded in the Votive Objects from Korean Buddhist Sculptur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13-636(24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Following the aniconism period, anthropomorphic representations of Śākyamuni Buddha began to be sculpted around the firstcentury C.E. in the Gandhara and Mathura regions. Similarly to pagodas, Buddhist sculptures enshrined sacred objects, including physical relics found in the cremated remains of the Buddha and relics of the dharma that he left behind as his incorporeal legacy, thus embodying sacredness and Buddhist ideology. The structure of the enshrined relics changed along with the underlying ideology and varied by country. Regardless,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se enshrined relics was to religiously vivify the image in question. In this paper, I aim to examine the ideological backgrounds reflected by the objects placed inside Korean Buddhist sculptures.
In Korea, palyeoptong(八葉筒, eight-petaled containers) and huryeongtong (喉鈴筒, containers with a tube) were considered the actual heart of a Buddhist sculpture and vivified the image. The process of enshrinement of these objects was called bokjang(腹藏) in Korean. Palyeoptong and huryeongtong were inserted a round double-sided mirror(兩面圓鏡), Five-Wheels Seed Syllables(五輪種子), and True-Mind Seed Syllables(眞心種子) all of which embodied the pojabeop(布字法), a meditation of middle Esoteric Buddhism performed by a practitioner visualizing seed syllables covering his body and meditating on their esoteric meanings. Therefore, the pojabeop Esoteric Buddhism meditation method from the Goryeo period became established as an element of Buddhist enshrinement rituals unique to Ko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pojabeop were perceived to carry seed syllables for a consecration ceremony called eye-opening(點眼) for a Buddhist image in several Buddhist ritual manuals and Josang gyeong(造像經, Sūtra on Making Images). It was disseminated through these means. Thus, Joseon Dynasty bokjang developed differently from their Goryeo Dynasty counterparts. Moreover, pojabeop absorbed by bokjang and jeoman came to provide an ideological basis for the enshrinement of relics that became sacred objects of religious belief.
석가모니부처님 열반 후 종교와 신앙의 대상은 탑이었다. 무불상시대가 지나 간다라와 마투라지역에서 석가모니부처님의 모습을 투영한 조각상이 건립되면서 탑과 마찬가지로 신사리와 법사리를 봉안함으로써 신성성과 사상성을 완성하고자 하였다. 사리봉안의 형식은 중국과 일본에서 장장(裝藏)과 납입(納入)이라 정의되면서 <오장(五臟)>, <오륜탑형사리기(五輪塔形舍利器)> 등을 안립하는 형식으로 점차 변화되었다. 한국은 <팔엽통(八葉筒)>과 <후령통(喉鈴筒)>을 심장으로 간주하고 이를 통해 생명력을 부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복장(腹藏)으로 정의 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복장에서 <팔엽통>과 <후령통>이 심장으로 환원될 수 있었던 것은 수행자가 자신의 몸에 범자를 안포하여 관상(觀想)하는 밀교의 포자법(布字法)을 수용한 <양면원경>, <오륜종자>, <진심종자>를 안립하였기 때문이다. 이로써 포자법은 더 이상 『대일경(大日經)』을 기반으로 전개된 중기밀교의 사상을 반영한 밀교의 관법(觀法)이 아닌 한국 고유의 형식과 물목으로 변화된 불교의식의 요소로 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포자법은 조선시대 여러 의식집과 『조상경(造像經)』에 점안범자로 수용ㆍ확산되어 고려시대 복장과는 다른 형식으로 전개되었다. 이처럼 복장의식과 점안의식으로 수용된 포자법은 종교와 신앙의 성물(聖物)로 환원될 수 있는 사상적 기초가 되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5 | 0.95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78 | 1.654 | 0.3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