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울산 영축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의 제작시기와 성격 = The Production Time and Characteristic of the Buddhist Crafts excavated at Yeongchuksa Temple site, Ulsa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37-654(1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2015년 울산 율리 영축사지 4차 발굴에서는 청동삼족향로와 청동완, 청동시루 등이 발견되었다. 청동시루가 외용기의 역할을 하며, 그 안에는 청동완과 청동삼 족향로가 들어 있었다. 1980년대 이후 현재까지 수많은 사찰터에서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의 불교공예품이 출토되었는데, 이들 공예품들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땅속에 매납되었다. 매납 방식은 외용기 안에 포갤 수 있는 작은 기명들을 중첩하고, 그 위로 다른 기명들은 쌓는 방식을 따르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인각사지 출토 통일신라의 불교공예품에서 확인되고 있어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영축사지 불교공예품들은 11세기전반에서 12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 되는데, 청동삼족향로의 경우 고려 향완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기형으로 11세기 전반으로 볼 수 있다. 청동완은 뚜껑 있는 청동향로나 청동합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사뇌사지 청동향로의 편년을 참고로 11세기전반에서 12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청동시루는 사뇌사지나 춘궁동 출토품과의 비교를 통해 손잡이의 결합방식이 같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축사지 출토 청동완을 비롯해 하남 춘궁동 출토 청동완, 서울 도봉서원 출토 청동완은 윤형굽의 일부를 의도적으로 변형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사찰터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불교공예품은 일정한 과정을 거쳐 매납한 것으로 생각되며, 그것이 진단구일지 퇴장유물일지 아니면 불교공예품의 폐기와 관련된 것일지는 보다 깊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영축사지 불교공예품을 비롯해 청주 사뇌사지, 경주 굴불사지, 완주 화엄사지 등에서 출토된 불교공예품들에는 고려시대 향완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볼 수 있는 청동향로와 청동삼족향로 등이 11세기에서 12세기에 제작된 香具들이 출토되는 것도 특징이다.
In 2015, the fourth excavation of the Yeongchuk Temple site in Yuli, Ulsan, found bronze incense burner, bronze bowl and bronze rice steamer. The steamer functioned as an external container, and there were a bronze bowl and a bronze triangular censer.
Since the 1980s, Buddhist artifacts have been unearthed from many temple sites including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periods, and these crafts were buried i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regular rules. The way to bury the earth overlays the small vessels that can be laid in the outer containers, and the other vessels on top of them. Such a method is confirmed in Buddhist artifacts of excavated from Ingaksa temple site of Unification Shilla, and it can be seen that it lasted from Unification Silla to Koryo.
It is believed that Buddhist artifacts excavated from Yeongchuksa temple site were produced in the first half of the 11th century and around the 12th century. In the case of the bronze incense with three legs, it can be seen as the first half of the 11th century as a transitional vessel type to Goryeo Hwanwan.
The bronze bowl may have been a bronze incense burner with a lid or bronze bowl with a lid, and it is believed to have been made from the first half of the 11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2th century. It was confirmed that the bronze rice steamer had the same coupling method of the handles through comparison with the excavation materials from the Sanoesa temple site and Chungundong.
Bronze bowls from Yeongchuksa temple, Chungundong, Sanoesa temple site were found to have intentionally modified parts of the foot. In addition, Buddhist artifacts excavated from Yeongchuksa temple site, Sanoesa temple site, Gulbulsa temple site, and Hwaeomsa temple site included bronze incense burner and bronze incense with three legs, which can be seen during the transition to Goryeo Hwangwa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5 | 0.95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78 | 1.654 | 0.3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