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1930년대 중국 ‘현대미술자 (現代美術字)’가 서체디자인에 남긴 영향: ‘변체미술자 (變體美術字)’를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0-103(24쪽)
제공처
이 연구는 1920년대 전후 지금의 중국 서체디자인에 큰 공헌을 했던 현대미술자 중 변체미술자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아 현대미술자의 글꼴 구조와 조형 분석을 통해 지금의 한자 서체디자인에 미친 영향을 밝혔다.
한자는 중국의 역사이자 중국문화의 핵심이다. 현대미술자는 1915년부터 1923년까지 지속한 신문화운동, 5·4애국운동 등 문화부흥의 분위기 속에 도입된 도안 교육의 환경에서 일본, 프랑스 등의 서구 근대 디자인의 유입과 서구와 일본 도안 출판물을 통해 영감 받은 디자이너들에 의해 탄생한 새로운 한자 서체 디자인 실험이다. 유학파는 유학을 통해 경험한 ‘장식예술’을 반영한 디자인을, 중국 본토에서 활동한 디자이너는 전통을 재해석한 디자인을 추구했다. 또한 다양한 미술전문학교 창설을 통한 활발한 디자인교육은 1930년대에 이르러 현대미술자가 절정에 이르는 데 기여했다. 이 과정에서 다듬어진 현대미술자는 문화 정체성을 만들며 유연한 포용력으로 새로운 문화적 전통을 만들어냈다.
현대미술자는 조형적으로 한자를 해석한 서체디자인의 선구적 모색으로 오늘날 레터링(Lettering)과 디지털 서체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무엇보다 엄격하게 한자를 쓰는 방법과 규율을 제공했던 전통 서법(書法)에서 벗어나 글자를 ‘그리고 설계하는’ 방향으로 조형적 접근을 시도한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크다. 그 조형적 특징은 먼저 간가결구(間架結構) 측면에서 공통적으로 하단 면적을 크게, 상단 면적을 작게 처리한 상하결구, 좌측 면적을 작게, 그리고 우측 면적을 크게 처리한 좌우결구, 그리고 상대적으로 비슷한 두께의 획과 네모꼴 자형일 경우 포위 면적이 포위당한 면적보다 작게 처리된 포위결구, 그뿐만 아니라 일부 떨어져 있는 획을 제외하고는 겹치는 면적이 있는 단체자의 상리(相離), 상교(相交), 상접(相接) 세 결구, 끝으로, 영문 X자의 시각보정 흡사한 처리를 보이는 상교결구으로 글자꼴의 심미적 기준을 마련한 점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현재 가장 대표적인 혼합체인 흑체의 굵고 기하학적인 필획에 송체의 자각을 붙여 디자인한 굵은흑송체와 비교할 때, 간가결구의 비율과 획의 자각 모양 측면에서 매우 큰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가로획에서 오른쪽 끝에 위를 향한 자각, 가로획과 세로획을 잇는 모서리의 자각, 획 끝단에 곡선으로 처리한 나팔구을 통해 변체미술자와 매우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현대미술자는 서예와 서체디자인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하며 전통적으로 한자를 바라보는 인식을 바꾸는 중요한 전환점을 제공했다. 오늘날 다수의 서체에서 발견되는 혼합체의 특성을 여러 가지 서체의 특성을 하나로 묶는 창작 발상으로 처음으로 시도한 점에서도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This study mainly studied Biantimeishuzi (variant art typefaces) among Xiandaimeishuzi (modern art typefaces) from around the 1920s, which contributed to today’s Chinese type design, and revealed how Xiandaimeishuzi influenced today’s Chinese type design by analyzing its font structure and form. Chinese characters are an essential part of Chinese history and culture. Xiandaimeishuzi was a new design experiment on Chinese characters. It was created by designers who were inspired by the influx of modern design from countries such as Japan and France as well as design publications from the West and Japan in the spirit of China’s cultural revival under the China New Culture Movement (1915–1923) and the May Fourth Movement. Those Chinese citizens who studied abroad pursued designs that reflected the “decorative arts” they experienced, while designers who worked in mainland China pursued designs reinterpreting traditions. Furthermore, active design educ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art schools contributed to the boom of Xiandaimeishuzi in the 1930s. Refined in this process, Xiandaimeishuzi created a cultural identity and a new cultural tradition with flexible inclusiveness.
Xiandaimeishuzi was a pioneering model of type design that formatively interpreted Chinese characters, and i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oday’s lettering and digital typefaces. Most of all, it is very valuable in that it took a formative approach to “draw and design” characters, break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calligraphy of Chinese characters, which provided rigorous methods and principles of writing character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Xiandaimeishuzi provided aesthetic standards for letter forms: First, in terms of the character-forming structure, there is the upper and bottom structure character, in which a letter form is commonly treated with a large bottom area and a small upper area; the left and right structure, with a small left area and a large right area; and the surrounding structure with a smaller surrounding area than the enclosed area when the strokes have relatively similar thickness in a square frame letter form. In addition, there are three structures (separated, intersecting, and meeting structures) of single characters that have overlapping areas, except for some separated strokes; and finally, there is the intersecting structure that is similar to an optical correction method for the English letter X.
When the analysis of the above characteristics is compared with today’s leading mixed typeface, which is called Cuheisong(粗黑宋)—and was designed with Heiti font’s thick and geometric strokes and Songti font’s serifs—there was a striking similarity in terms of the proportion in the character-forming structure and the shape of serifs in strokes. Furthermore, we found that Cuheisong is very similar to Biantimeishuzi through the serif at the right end of the horizontal stroke, the serif at the corner connect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trokes, and the bellmouth at the end of the stroke. Xiandaimeishuzi served as a bridge between calligraphy and type design, providing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changing people’s awareness about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Xiandaimeishuzi is also very valuable i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ixed typefaces found in many of today’s typefaces were first applied in Xiandaimeishuzi, making use of the creative idea of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faces into on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