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가상화폐 몰수ㆍ추징에 관한 비교 연구 ― 미국의 가상화폐 및 대체 재산 몰수제도를 중심으로 ― = A Comparative Study on Confiscation and Collection of Cryptocurrency — Focusing on U.S. Cryptocurrency and Substitute Property Confiscation System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9-153(45쪽)
제공처
Criminal confiscation is a disposition that confiscates certain crime-related properties and proceeds and attributes them to the national treasury. Confiscation aims to prevent recidivism as well as to cut off economic interests that induce and motivate crime by preventing the acquisition of profits from crime. Korea stipulates and enforces confiscation through the criminal law and also other various special cases laws. However, the recovery rate is very low compared to the total amount of criminal proceeds. Also, even though cryptocurrency can also be criminal proceeds, the legal system lacks details on its confiscation. Therefore, Article 48 of the criminal law should be revised to come up with a plan to confiscate cryptocurrency that is used for crimes but does not fall under “specific crimes” under the Act on Regulation and Punishment of Criminal Proceeds Concealment. And for this purpose, the cryptocurrency and alternative property confiscation system in the U.S can be served as a reference.
Under the name ‘Forfeiture, the U.S defines the subject of confiscation as tangible property and monetary assets including virtual currency. And the Federal and State law define and confiscate cryptocurrency in different methods. This means that the nature of cryptocurrency can vary depending on interpretation. Thus, in order for Korea to confiscate cryptocurrency in accordance with the criminal law, the subject of confiscation should be revised to “target” that includes property interests, not objects. Alth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monetary nature of cryptocurrency may vary in the future, it is clear that virtual currency is a “object” including property and proceeds regardless of future interpretation.
The introduction of an alternative property confiscation system is not valid because it makes it indispensable to introduce a civil confiscation system that does not fit the legal system of Korea. However, based o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confiscation of alternative property and collection system, including cryptocurrency as a subject of collection on Article 48(2) of the criminal law can be considered. Therefore, if the “object” in Article 48(1) of the criminal law is revised to “object,” the “object” in paragraph (2) should also be revised to “object.” This will make possible to come up with a plan to revise paragraph 2 compatible with the revision of paragraph 1.
Although a unified legal definition of virtual currency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the cryptocurrency confiscation system in the U.S has provided some clear implications for Korea.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refer to the case of the U.S again in terms of the cryptocurrency confiscation system rather than the independent confiscation system.
형사상으로 몰수는 범죄와 관계있는 일정한 물품을 압수하여 국고에 귀속시키는 처분이다. 이러한 몰수제도는 범행의 수단이 된 재산 자체를 박탈하려는 재범 방지의 목적과 함께 범죄로 인한 이익의 취득을 원천 봉쇄함으로써 범죄의 유인・동기가 되는 경제적 이익을 단절시키려는 형사정책적 목적도 겨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형법뿐만 아니라 각종 특례법에서도 몰수・추징제도를 규정・집행하고 있다. 그러나 환수 실적은 범죄수익 총액 대비 매우 저조하며, 가상화폐 또한 범죄수익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몰수・추징할 수 있는 법적 제도가 미비하다. 따라서 형법 제48조를 개정하여 범죄수익은닉규제법상의 ‘특정범죄’에 해당하지 않는 범죄에 가상화폐가 이용된 경우에도 형법상 몰수가 가능한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이를 위해 미국의 가상화폐 및 대체 재산 몰수제도와 관련 판례를 참조하였다.
미국은 몰수를 Forfeiture로 규정하여 몰수의 대상을 유형 재산(Property) 및 가상화폐를 포함한 금전 재산(Proceeds)으로 정의하였으며, 연방 형법, 주 법 및 판례에 따라 가상화폐를 개별적으로 정의・몰수하고 있다. 이는 가상화폐의 재산적 이익 해당성을 인정하는 동시에 추후 해석에 따라 가상화폐의 성격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우리도 가상화폐를 형법에 따라 몰수할 수 있도록 몰수의 대상을 물건이 아닌 재산적 이익을 포함한 ‘대상’으로 개정하여야 한다. 비록 가상화폐의 화폐성에 관한 해석은 달라질 수 있으나, 이런 해석과 관계없이 가상화폐가 재산・재산적 이익을 포함한 ‘대상’에 해당하는 점에는 변동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대체 재산 몰수제도 도입은 우리의 법률 체계와 맞지 않는 민사몰수제도 도입을 필수 불가결하게 만들므로 타당하지 않다. 다만 대체 재산 몰수와 추징의 유사점에 근거하여 가상화폐를 형법 제48조 제2항의 추징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은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형법 제48조 제1항의 ‘물건’을 ‘대상’으로 개정하면 마찬가지로 제2항의 ‘물건’ 또한 ‘대상’으로 개정해야 한다. 그리고 제1항의 개정과 양립 가능한 제2항의 개정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가상화폐의 통일된 법적 정의는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으나, 미국은 이를 정의하고 몰수하기 위한 제도를 마련하고 정비해 왔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분명히 있다. 따라서 미국이 관련 제도를 어떻게 발전시키고 있는지 계속해서 지켜보면서 우리나라의 법률 및 제도를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