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설야의 『대륙』을 새롭게 독해하는 두 가지 방법 -독자층과 매체 서사 전략을 중심으로- = Two New Methods for Reading Han Seol-ya’s 『Continent』 -Focusing on Readers and Media Narrative Strategi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79-507(2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Han Seol-ya's Continent is a novel serialized in the kukminShinbo in 1939, and was written in Japanese. It contains the process of growth in which figures named Oyama and Hayashi pioneer Manchuria as the main subjects. In addition, the main plot is the process in which the main characters make love. Until now, Han Seol-ya's Continent has been evaluated from the opposing perspective of pro-Japanese and anti-Japanese. This study is the study of an attempt to newly read Continent in terms of major readers and media narrative strategies that were not mentioned in Han Seol-ya's Continent study. Han Seol-ya's Continent is a novel that was produced and distributed through a media called newspapers. For that reason, the novel has no choice but to pursue a media strategy with a connection to the media.
Therefore,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aspects of readers and liberal arts novels. First of all, Continent is a novel that may have been read by Japanese living in Joseon, including Koreans who can read Japanese. In particular, it was a weekly magazine that made teenagers an expected reader.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the instructive and enlightening nature of Continent may actually be an narrative strategy considering the expected reader. Second, the media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newspaper serial novels were analyzed. Popularity is an important requirement, as can be seen in ordinary newspaper serials. Considering these media characteristics and readers, three narrative strategies of popularity were found in the Continent. The fact that he secured popularity through love narratives, clearly revealed the dichotomous confrontation, and tried to convey a message of hope. These three narrative strategies perfectly perform the media strategy while converging into popularity.
In other words, by analyzing the organic correlation between the narrative strategy and the narrative content of Continent, this study attempted to argue that the theme consciousness of Continent was the result of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reader and media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to expand the scope of previous studies conducted focusing on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the artist.
한설야의 대륙은 1939년, 국민신보에 연재된 일본어 소설이다. 오야마와 하야시라는 인물이 주체로서 만주 공간을 개척해나가는 성장의 과정과, 오야마와 조마려가 사랑을 완성해가는 과정을 주된 플롯으로 하고 있다. 그간 한설야의 대륙은 친일과 반일이라는 대립된 관점으로 평가받아 왔다. 이 연구는 한설야의 대륙 연구에서 언급되지 않은 주요 독자층의 측면, 매체 서사 전략의 측면에서 대륙을 새롭게 독해하는 시도의 연구이다. 한설야의 대륙은 태생적으로 신문이라는 매체를 통해 생산되고 유통된 소설인 만큼, 매체와 긴요한 연관성을 가진 채 매체 전략을 추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첫째, 독자층과 교양소설의 측면을 분석하였다. 우선대륙은 일본어 독해가 가능한 조선인을 포함한 조선 거주 일본인들이 읽었을 가능성이 있는 소설이다. 특히 국민신보는 청소년을 예상 독자로 삼은 주간지였다. 따라서 대륙의 교훈적·계몽적 성격은 사실상 청소년이라는 예상 독자를 고려한 서사 전략일 수도 있다. 둘째, 매체 특성과 신문연재소설의 측면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신문연재소설들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대중성은 중요한 요건이다. 이러한 매체적 특징과 독자를 고려했을 때, 대륙안에서 세 가지 대중성의 서사 전략을 발견하였다. 연애서사를 통해 대중성을 확보했다는 점, 이분법적 대립 구도를 명확하게 드러냈다는 점,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려 했다는 점이다. 이 세 가지 서사 전략은 대중성으로 수렴하면서 매체 서사 전략을 완벽하게 수행한다. 즉, 이 연구는 대륙의 서사 전략과 서사 내용 간의 유기적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대륙의 주제 의식은 독자와 매체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나온 결과라는 점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가 선행연구의 외연을 넓히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