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항공사의 RPA 도입 비용 최적화에 관한 연구 - 기술, 운용조직, 라이선스 구조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RPA Adoption Cost Optimization for Aviation Service Industry - Focused on Technology, Organization and Licen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항공경영학회지(Journal of the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7-141(25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4차 산업혁명의 태동 이전부터, 항공비즈니스에서는 가장 먼저 가격에 대한 정보 독점이 붕괴되었다. 항공비즈니스는 점차 완전경쟁시장이 되었고, 원가와 비용 절감, 생산성 효율화가 더욱 절박해졌다. 원가 경쟁력 우위 수단으로서, 로봇을 이용한 업무 자동화(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는 매우 매력적인 대안이 되었다. RPA는 사람이 수행하던 규칙적이고 단순하며 반복적인 업무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로봇이 사람이 조작하던 다른 IT 응용 시스템을 활용하여 자동 수행함으로써, 노동력을 대체(digital workforce)하는 것으로 기존의 생산 설비 자동화를 넘어 화이트칼라 비즈니스까지 그경계를 허물었다. 기업들은 앞다투어 로봇을 이용한 업무자동화를 도입하여 생산성 향상과 인간의 창의성 극대화에 집중했다.
RPA는 로봇통제장치, 시나리오설계장치, 소프트웨어 로봇으로 구성된다. 이 중 시나리오설계장치로 업무 프로세스를 구현하는데, 시나리오를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하기도 하고,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입력하기도 하며, 장면과 이벤트를 WYSIWYG(What you see is what you get)하게 순서도 형태(workflow)로 구현하기도 한다. 이 중 프로그램 코코딩 방식은 개발자를 반드시 요구하며, 수요기업 스스로 시나리오를 수정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항공사를 비롯한 수요 기업들은 RPA를 통한 디지털 전환을 신기술로서만 도입했다. 수요기업은RPA를 이용하기 위해 로봇 관리조직, 로봇 시나리오 개발자 등의 유지보수 인건비를 중복 부담해야했다. 또한, 현업 스스로 시나리오를 수정할 수 없는 형태이기 때문에, 외부의 환경변화와 자사의 정책변경에 신속히 반응할 수도 없다. 더불어, 공급자와 기간 사용권 계약을 체결하여 사용권 계약 종료시, 별도 개발비용을 지불한 로봇 시나리오까지 폐기해야 했기 때문에, 산출물의 지식 자산화 불능 문제가 발생했다.
수요자인 항공사의 관점에서 환경변화에 즉각적인 반응이 가능하려면, RPA를 MS오피스처럼 현업의 단순 저작도구로서 도입 및 활용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공급자 주도적 환경이라, 그렇지 못하다. 이의 현실적 해소를 위해, 공급자 중심의 구조를 수요자 관점에서 다시 살펴보아야 한다. 먼저WYSIWYG 방식의 도구를 이용해 현업 스스로 자기 업무를 자동화해야 한다. 현업이 자기 업무 시나리오를 수정할 수 있게 되면, 별도의 개발자와 관리조직이 불요하게 되므로, 인건비 중복 부담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계약방식을 기간 사용권에서 영구사용권으로 변경하게 되면, 별도의 노력을 기울여만든 분석산출물과 시나리오를 자산화할 수 있다. 이렇듯 수요자관점에서 RPA 도입을 고민하게 되면,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으므로, 항공사들은 경쟁사보다 원가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Befor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formation monopoly on prices had already been collapsed in the aviation industry. Aviation business has become a fully competitive market, and costs and productivity efficiency have become more urgent. As a cost competitive advantage,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has become a very attractive alternative. RPA has broken the boundaries of white-collar business beyond conventional production facility automation by automatically performing regular, simple and repetitive tasks that humans were performing using software programs or other IT applications that robots were manipulating.
Companies scrambled to introduce RPA to focus on improving productivity and maximizing human creativity.
The RPA consists of a robot control system, a scenario design device, and a software robot. Among them, the scenario design device implements the business process, implements the scenario as a program code, enters scenes and events in the form of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and implements the sequence in the form of a WYSIWYG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Of these, the program coding method require developers, and there are limitations that companies themselves cannot modify scenarios.
Airline and other demand companies have introduced digital transformation through RPA as only new technology. In order to use RPA, the demand company had to pay for maintenance of robot management organizations and robot scenario developers. In addition, it cannot respond quickly to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and changes in its policies, as the current business cannot modify the scenario on its own. In addition, the inability of knowledge assetization of outputs to be produced has resulted in the inability to enter into a period license agreement with the supplier to scrap the robot scenario that paid for the separate development costs at the end of the license agreement.
In order to enable immediate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ng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umer airline, RPA should be introduced and utilized as a simple production tool in the field, such as the MS Office. However, the reality is a provider-driven environment, which is not the case. To address its practical needs, the supplier-centric structure should be revisited from a user’s perspective. First, they should automate their own tasks by using WYSIWYG-style tools. If the fieldwork is able to modify its own business scenarios, separate developers and management organizations will become unnecessary, reducing the burden of overlapping labor costs. In addition, by changing the contract method from a period right to a perpetual right, the analysis output and scenarios created with a separate effort can be assetised. These considerations of introducing RPA from a demand perspective can optimize costs, allowing airlines to gain an edge in cost competitiveness over competitor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8 | 1.4 | 1.815 | 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