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다문화가족지원법」의 개선방안 = Measures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된 이후 수많은 다문화가족지원 사업이 시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가족의 이혼율은 줄어들지 않고 있고 다문화가족 아동과 청소년들의 한국어 능력은 부족하며 학교생활의 어려움은 여전하다. 이런 결과는 그동안 수행되어 온 다문화가족지원 사업이 옳게 계획되지 못하였으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잘못 실행되었기 때문이다.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의 과제명이 명확하지 않고 애매하여 중과제, 실행과제를 통하여 그 내용이 충분히 구현될 수 없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의 과제명은명확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인구감소문제가 심각한 현 시점에서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적용대상인 다문화가족의 범위를 확장하여야 한다. 고려인동포의 경우 한국어능력 없이 가족단위로 입국하여 한국에서 생활함으로 이들은 많은 어려움을 격고있다. 또 이들은 역사적으로 대한민국 건국 과정에 공적이 인정된다. 그리하여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적용대상에 고려인동포 가족을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 제1호에 “다. 고려인동포 합법적 체류자격 취득및 정착지원을 위한 특별법 제2조의 고려인동포로 구성된 가족”이라는 문구를 추가하는 다문화가족지원법 개정을 제안한다. 또한 다문화가족지원 사업이 다문화가족센터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다문화가족센터 구성원은 다문화사회 전문가로 구성되어야 한다. 현재 다문화가족센터의 구성원은 다문화사회 전문가 자격을 보유한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좋은 다문화가족정책이 선택되었어도 그 정책대로 실행될 수 없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구성원을 규율하고 있는 다문화가족법 시행규칙 제3조 본문을 “법 제12조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이하 “지원센터”라 한다)에는 같은 조 제5항에 따른 다문화사회 전문가 2명 이상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문인력 1명 이상을 두어야 한다.”로 개정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민간단체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하여 민간단체를 규율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법 제16조에 제3항을 신설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다문화가족 지원 사업을 수행하는 단체나 개인이 전문성을 갖추도록 필요한 제도와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는 내용을 추가하는 법률개정을 제안한다.
더보기Despite the fact that numerou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sinc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was enacted, the divorce rate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not decreased, the Korean language skills of children and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insufficient, and difficulties in school life remain. This result is becaus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ject that has been carried out so far has not been planned properly and was implemented incorrectly by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Because the task title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basic plan was unclear and ambiguous, its contents could not be fully implemented in the next stage. To prevent this, the project name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basic plan and implementation plan must be clearly structured. At a time when the problem of population decline is serious, the scope of multicultural families subject to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must be expanded. In the case of Korean ethnic Koreans, they enter Korea as a family and live in Korea without any Korean language skills, so they face many difficulties. Historically, they are recognized for their contributions in the founding proces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refore, we propose to include Korean ethnic Korean families i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To this end, I propose a law amendment to add “Da.” to Article 2, Paragraph 1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as such “Families composed of Korean ethnic Koreans as defined in Article 2 of the Special Act on Acquisition of Legal Residence Status and Settlement Support for Korean-Korean People.” In addition, so tha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ject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at the multicultural family center, the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center must be composed of exper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Currently, the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Center do not have qualifications as experts in multicultural society, so even if a good multicultural family policy is selected, it cannot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at policy. To this end, the text of Article 3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Act, which regulates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ust be revised as follow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ust have at least two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and at least one expert who falls under any of the following items.” Lastly, in order to increase the expertise of private organizations, paragraph 3 should be added to Article 16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as follows,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must devise necessary systems and policies to ensure that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carrying ou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jects have expertis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