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Research on Pharmaceutical Tax Management Issues in the Digital Econom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주제어
KDC
36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1-64(3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디지털 경제 시대에 정보기술과 다양한 산업의 통합 발전은 제약산업의 발전에 새로운 발전 기회를 가져왔다. 또한, 디지털 경제는 제약산업의 조세관리에 많은 변화가 필요함을 인식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1) 세금 요소 식별의 어려움, (2) 조세 관련 정보의 비대칭, (3) 제약 기업의 낮은 정보화 수준, (4) 불충분한 정보화 징수 및 관리 능력, (5) 제약산업의 정책 및 규정의 불완전한 등 제약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제한한다. 조세 거버넌스 현대화 개혁의 맥락에서 제약산업은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조세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시급하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세무 당국은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및 기타 기술을 통해 세무 법 집행, 서비스 및 감독 시스템의 혁신 및 비즈니스 변화를 실현해야 한다. 둘째, 제약회사는 정보화 수단을 사용하여 정보화 기반을 공고히 하고, 국제 소통과 교류를 강화하는 능력을 제고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제약산업의 디지털 전환의 새로운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약 조세관리 규정 및 정책은 시대에 부합하도록 하는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의약 조세관리와 관련한 다중적 당사자의 공동 노력과 협조 및 협력 하에 제약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지원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더보기In the era of the digital economy, the deep integr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with the pharmaceutical industry has become a new engine for innovation and development in the pharmaceutical sector. However, the integration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faces a series of challenges, such as difficulties in the identification of tax elements, asymmetry of tax-related information, low levels of informatization in pharmaceutical enterprises, insufficient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ies in tax authorities, and incomplete policies and regulations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which constrain the healthy development of pharmaceutical companies. Against the backdrop of modern tax governance reform, the pharmaceutical industry urgently needs to strengthen tax management to adapt to new changes. Firstly, tax authorities need to leverage information technology to innovate and transform the systems of tax law enforcement, services, and regulation. Secondly, pharmaceutical companies need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to solidify their management foundations and enhance their capabilities and skills. Lastly, tax laws and policies related to the pharmaceutical industry need to be adjusted and improved in a timely manner to meet the new requirements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pharmaceutical sector. With the joint efforts of all parties, support and protection can be provided for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在数字经济时代,信息技术与医药产业的深度融合,已成为推动医药行业创新和发展的新引擎。然而,医药产业融合发展过程中面临一系列挑战,税收要素认定困难、涉税信息不对称、医药企业信息化水平不高、税收部门信息化征管能力不足、医药行业政策法规不健全等,制约医药企业健康发展。在税收治理现代化改革背景下,医药行业亟需加强税收管理以适应新变化。首先税务机关需要利用信息技术,实现税务执法、服务、监管制度的创新和变革。其次医药企业需要运用信息化手段,夯实管理基础,提升能力与本领。最后医药税收法规政策需要与时俱进的调整与完善,以适应医药行业数字化转型的新要求。在多方共同努力之下,为医药行业的健康发展提供支持和保障。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