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평화통일신학의 형성과 과제 = 하나님나라 신학의 빛에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48(36쪽)
KCI 피인용횟수
12
제공처
본 논문은 하나님나라 신학의 빛에서 평화통일신학의 근거와 성격 및 원리와 이념을 분석하고 그 실천적 과제를 탐구하는 것이다. 평화통일은 우리 시대에 주어진 한국교회의 민족적ㆍ역사적 사명이다. 동시에 하나님나라의 통치 실현이라는 궁극적 가치에 부합되는 것이다. 한민족의 통일은 배타적 민족주의를 지향하지 않으며 동북아와 세계의 평화에 이바지하는 길이다. 그런 의미에서 하나님나라 신학으로서의 평화통일신학은 비록 한국교회 상황에서 태동되고 발전된 신학적 운동이지만, 더 나아가 세계교회와의 연대와 협력을 통해 전개해가야 할 과제를 지닌다.
민족분단의 현실로부터 야기되는 비인간화, 비민주화, 정치적 억압, 경제적 불평등, 사회적 차별, 생태계의 파괴 등을 고려할 때 통일에 대한 무관심과 냉담은 하나님과 민족 앞에 죄악이다. 평화통일신학은 통일의 방법과 과정 및 궁극적 목표를 평화로 규정하며 그 어떤 폭력을 사용하는 것도 반대한다. 민족공동체의 치유와 회복은 참회와 용서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화해는 참회와 용서의 신학을 전제한다. 이런 의미에서 평화통일신학의 이념은 정의로운 평화와 화해와 치유 및 용서, 이웃사랑과 원수사랑 그리고 생명공동체이다. 한국교회는 한반도의 평화와 치유와 화해와 통일을 향한 행동에 참여해야 한다. 정전협정 62주년을 맞이하는 2015년 본 논문이 평화통일운동의 신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평화통일신학 형성을 위한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신학의 공적ㆍ역사적 책임을 수행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nature, foundation, the principles, and the practical issues regarding the theology of peaceful reunification in light of kingdom of God theology. The theology of peaceful reunification is the national-historical mission assigned to the Korean church of our time. Simultaneously, it corresponds to the ultimate value referred to as the realization of the sovereignty of the kingdom of God.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ople does not support exclusive nationalism and contributes to peace in Northeast Asia and the world. In this respect, although the theology of peaceful reunification as a theology of the kingdom of God is a theological movement quickened and developed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church, it bears the further task of continuing to progress and expand through solidarity and collaboration with the world church.
Considering the dehumanization, anti-democratization, political oppression, economic disparity, social discrimination, destruction of ecosystems, etc. which arise out of the reality of national division, indifference and apathy with regard to reunification constitute sin before both God and people. Theology of peaceful reunification prescribes the method, process, and ultimate objective of reunification as peace, and opposes any and all use of violence. The healing and restoration of the national community becomes possible through the process of repentance and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presupposes a theology of repentance and forgiveness. For this reason, the ideas behind the theology of peaceful reunification comprise just peace, reconciliation, healing and forgiveness, love of neighbors and enemies, and life community. The Korean church must participate in the action toward the peace, healing, reconciliation,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year 2015, the 62nd year of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this paper seeks to fulfill its public and historical responsibility by presenting a theological basis for a peaceful reunification movement and by proposing a direction for the formation of a peaceful reunification theolog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5 | 1.35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 | 0.96 | 1.006 | 0.2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