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남북한 분단체제와 평화통일운동으로서의 선교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7-158(42쪽)
KCI 피인용횟수
13
제공처
본 글은 한반도의 남북 분단체제에서 평화통일선교를 연구한다. 2015년은 국토분단 70년이 되지만 남한과 북한은 여전히 증오와 고난과 질곡의 삶을 살고 있다. 이러한 분단체제에서 본 글은 먼저 평화통일에 대한 신학적 성경적 근거를 고찰한다. 우선 하나님의 선교를 서술하고,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이에 참여하는 교회의 선교를 논한다. 성경에 나타난 다윗 통일왕국을 샬롬의 틀로 분석하고, 또한 역사적 예수가 실천한 하나님나라의 특징을 기술한다.
뒤이어 남북 분단체제에서 ‘시대의 징조’라는 틀로 미군정과 초기 이승만 정부 그리고 한국전쟁 시기에 형성된 남북분단과 고착화를 분석한다. 그리고 남북한 기독교인들의 정치적 참여와 반공주의의 출현과 이 ‘반공주의의 종교화’를 논의한다. 또한 이 시기 통일운동의 주체인 정부당국의 통일정책으로 무력통일론과 흡수통일론의 문제를 살핀다. 또한 다른 ‘시대의 징조’로 정부당국들, 한국교회와 시민단체들의 평화운동을 논한다. 남북당국은 합의에 의하여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의 통일원칙을 선언하였다. 특히 6ㆍ15공동선언은 남한의 연합제와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가 가진 공통성을 인정하여 현실적인 통일접근이 가능하도록 했다. 시민사회는 대등적 협상통일론과 현재진행적 시민참여 평화통일론을 논의하였다. 현단계의 통일실천은 화해협력단계의 선교를 구체화하고 또한 평화통일을 방해하는 기제(mechanism)로 극단적 반공주의의 해소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교회의 평화통일선교를 위한 ‘생명살림과 통전선교와 전략’을 논의한다. 먼저 한반도 분단구조와 실천논리를 분석하고, 뒤이어 한국교회가 실천한 북한선교와 통일선교를 반성적으로 서술한다. 이러한 반성을 통하여 한국교회가 실시할 평화통일선교를 구체적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ⅰ) 평화통일선교에 대한 신학과 신앙의 확립이 중요하다. ⅱ) 한국시민사회의 일부분인 남한교회는 남북 화해협력선교를 남북통일실현 차원, 남한사회 구조변혁 차원, 그리고 남한교회 내부의 화해협력증진 차원에서 진행한다. ⅲ) 화해협력선교는 영혼구원과 인간구원, 사회구원과 생태환경 선교를 통전하는 선교이며 다양한 전략을 필요로 한다. ⅳ) 선교현장인 북한은 늘 변화하는데 교회는 상황에 맞는 선교와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ⅴ) 사회통합선교는 비정치적 비군사적 차원에서 남북교류를 중심으로 진행하고 동시에 남한사회에 존재하는 반평화적 남남갈등을 치유하고 화해하는 선교를 추진해야 한다. ⅵ) 극단적 반공주의 등 분단체제를 지지하는 교회는 문화폭력교회로서 회개해야 한다. 평화통일 지향의 참된 교회는 반평화적 문화폭력 교회들과 화해하고 평화지향의 참된 교회들과 연대·협력하는 선교를 해야 한다.
The article explores mission of peaceful unification movement in the division regime of North and South Korea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have been suffered from tension, hatred, oppression and pain last 70 years.
First, it describes missio dei and church mission, peace and Kingdom of God, unification of King David, and historical Jesus to make Kingdom of God. Second, the paper analyzes division processes of North and South Korea 1945-1953 in which Korean Christians were engaged, and which extreme anti-communism as a hostile, violent and armed forceful ideology appeared. Unification of war and unification of absorption were produced in the period. Third, the article discusses peaceful unification policies produced through negotiations of North and South governments. Unification discourses of civil societies and of Korean Christian churches stressed to overcome the extreme anti-communism to form division regime in the South Korea.
Fourth, conclusively the article describes life-giving holistic missions and tasks for peaceful unification: ⅰ) Mission theology for peaceful unification and its faithful practice are asked. ⅱ) The church in the South as a part of civil societies should practis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mission for North and South Korea. ⅲ) God’s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mission for holistic salvations of human, society, and eco-environment. ⅳ) Mission and strategy for North Korea should be concretized contextually. ⅴ) Social integration mission should promote exchanges and dialogu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the non-political and nonmilitary level, and simultaneously healing and reconciliation mission to overcome South-South conflict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ⅵ) Repentances of the church of cultural violence to support division structures and extreme anticommunism are asked. However, the true church to support peaceful unification is asked to reconcile with the church of cultural violence and to make solidarity and cooperation with the churches for peaceful unificatio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5 | 1.35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 | 0.96 | 1.006 | 0.2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