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현대의 한국도자장신구 현황과 수요자요구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of ceramic jewelry in Korea and analysis of demander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5-110(1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Diversity of accessory materials contributes to deliver its unique atmosphere and create beautifulness by expanding choice of jewelry. Especially, clay is a material which gives soft and warm feelings and make it possible to express creativity and artistic design by its unique texture and various colors. Ceramic jewelry which is one part of contemporary living culture, is functional and anti-formative work beyond technology and ideology. On the way to change the needs of customer and expand the fashion jewelry market, it is the time to seek the way to develop the ceramic jewelry market.
Thesis about ceramic jewelry were presented from 1980s in South Korea and foundation of ‘Korea Ceramic Jewelry Association’ served as momentum to expand the field of ceramic jewelry.
In the early 2000, Design development reports were mainstream but currently in 2018, brand development reports along with design development are trend. This study surveys the current works of ceramic artists and analyzes materials, form, price and image pattern to understand the trend of contemporary ceramic jewelry. In addition, it surveys the preference of customers to provides opportunity to compare the point of artists and consumers.. They prefer mixed materials and colors with geometry patterns and usually purchase accessories at the exhibitions and workshops. Furthermore, they demand elegant and chic accessories.
By this study, it sheds new lights of current status of ceramic jewelry and seek a creative solution for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for the satisfaction of customer needs and vitalization of ceramic jewelry which is located between settlement period and stable period.
장신구 소재의 다양성은 착용 시 장소와 분위기에 어울리는 장신구 선택의 폭을 넓혀 자신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전달하고 아름다움을 창출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특히, 점토를 재료로 하는도자장신구는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을 주는 소재로서 독특한 질감과 다양한 색채를 통해 예술적 디자인과 창의적 표현이 가능하다. 현대 생활문화 중 한 부분인 도자 장신구는 기술과 이념을 뛰어넘는 기능적이고 탈조형적인 작품이다. 소비자의 요구가 새롭게 변화하고 패션장신구시장의 확대되는 현재의 시점에서 도자공예시장의 발전을 위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현 시대 우리나라의 도자 장신구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면 1980년대를 시작으로 학위논문이 주로 발표되기 시작하였으며 1998년 ‘한국도자장신구회’의 출범은 도자장신구의 영역의 확대를가져오게 된 계기가 되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디자인 개발연구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2018년현재는 디자인개발과 더불어 브랜드개발 연구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작가들의 작품 현황을 설문조사하여 현재 제작되어지고 있는 장신구의 재질, 형태, 가격, 이미지패턴 등을 분석하여 도자 장신구의 작품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수요자의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혼합재질과 기하학형태, 혼합 색을 좋아하고 공예 관련 전시장과 작가공방에서 주로 구입하며 품격 있고 개성있는 장신구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나 작가와 수요자 간의 관점을 비교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제작되고 있는 도자장신구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도자장신구를 도출함으로써 현재의 위치를 재조명하고 향 후 소비자 요구 만족을 위한 디자인 개발과 지속가능한영역확장, 도자장신구의 정착기와 안정기 사이에서 창의적인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07 | 0.07 | 0.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3 | 0.13 | 0.283 | 0.1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