西獨 憲法上 Junktim klausel에 관한 硏究 = A Study of the Junktimklausel in the Constitution of West Germany
저자
全一柱 (檀國大學校 法學科)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88
작성언어
Korean
KDC
362.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7-146(20쪽)
제공처
소장기관
As the from of the state adopted by both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Bundes Republik Deutschland)and the Republic of Korea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liberal democracy and capitalism, it is a logical conclusion that the individual right of property must be guaranteed. Particularly, from the institutional point of view of guaranteeing the property right of the people, similarity may also be found in the system of state compensation. This implies the system of compensation for loss resulting from or in connection with the lawful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 (Para. 3, Art. 22 of the ROK's Constitution; Para. 3, Art. 14 of the FRG's Constitution) and the system of compensation for damages done by the unlawful, liable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 (Art. 29 of the ORK's Constitution; Art. 34 of the FRG's Constitution).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re is no specific provision for a compensation system in relation to illegal, no accidental infringement. In order to solve this institutional problem, West Germany laid down the so-called Junktim klausel or a collateral clause which defines the laws unconstitutional and nullifies them if they fail to contain any specific compensation provisions in the expropriation of property for public use. Thus the utmost efforts are made to guarantee the right of property. However, it was considered to be unreasonable to nullify the laws in their entirety for a simple reason of the unavailability of compensation provisions and attempted to find a proper way of claiming directly the loss based on the constitution. As a result, the Federal Court (BGH) developed the enteignungsleicher Eingriff and enteignender Eingriff which are intended to cover a weakness of the Junktimklausel. Judging that these theories could also be applicable in our country, where the system of state compensation is similar to that of West Germany, they are introduced in an effort to help enhance the theory of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 in our country.
The present paper comprises four chapters, discussing and analyzing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theories referred to above by reviewing judicial precedents and legislation in relation to the theorie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