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전·세종·충남지역 독립운동사 연구현황과 과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5-176(52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대전․세종․충남지역의 독립운동사 연구는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의병전쟁과 3.1운동이 가장 많은 연구성과를 축적했다. 의병전쟁은 홍주의병을 중심으로 義陣과 義兵將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3.1운동은 대전·세종·충남지역의 시·군별로 전개과정과 특성 등이 밝혀졌다. 계몽운동은 기호흥학회 지회와 일부 지역의 사립학교 설립운동, 국채보상운동 연구정도에 머물고 있다.
일제강점기 사회운동은 청년·학생·농민·노동·신간회운동과 관련된 연구들이 발표되었으나 특정 주제와 지역에 편중되어 있다. 청년운동과 농민운동은 공주·논산·당진·부여·서산·천안·홍성지역의 청년과 농민운동 단체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노동운동은 홍성과 대전의 군시제사 대전공장의 동맹파업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신간회 운동은 당진과 대전지회 정도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대전․세종․충남지역 독립운동사 연구는 의병전쟁과 3.1운동을 제외하면 부진하다. 의병전쟁의 경우도 내포문화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금강문화권의 의병연구와 후기의병 연구가 필요하며, 계몽운동은 지역과 연구주제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3.1운동은 전개 과정뿐만 아니라 배경을 구체적으로 고증할 필요가 있다. 3.1운동의 지역적 특성은 지역적 배경을 통해서 규명될 수 있는데, 기존 연구는 이러한 부분이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고 있다. 사회운동은 대전·세종·충남지역 독립운동사 연구에서 가장 미진한 분야이다. 사회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음에도 연구자들의 관심 주제가 되지 못하면서 이에 관한 연구도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s in Daejeon, Sejong, and Chungnam. Researches on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s in Daejeon, Sejong, and Chungnam began in the 1990s, and the main topics was on the righteous army war and the 3.1 Movement. The research found that the righteous army was consisted of soldiers at Hongju and Yuseong, and the March 1st Movement was conducted at each city and county in Daejeon and Chungnam. And The research revealed participants of the March 1st Movement.
The research on the enlightenment movement was relatively weak. The topics of the research was usually focused on the branch of the Gihoheung Association,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schools and the government bond compensation movement. Researches on the Japanese colonial era social movemen focuesed usually on the youth, students, farmers, labor, and the Shinganhoe movement, but they are limited to specific topics and regions. Also, researches on the youth and peasant movement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youth and peasant movement groups in Gongju, Nonsan, Dangjin, Buyeo, Seosan, Cheonan, Hongseong. Researches on the labor movement were related with the strike at Daejeon factory, researches on the Shinganhoe movement was limited to activities of Dangjin and Daejeon branch.
Research on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s in Daejeon, Sejong, and Chungnam is insufficient except for the righteous army war and the March 1st Movement. Researches on the righteous army were focused on activities at Naepo area. It is necessary to study topics on the righteous army and the righteous army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t the Geumgang area. Also, it is necessary to include research topics on various region and themes. Research on righteous army and late soldiers in the Geumgang culture area is needed, and the enlightenment movement needs to expand the region and research topic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background as well as the progress of the March 1st Movemen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arch 1st Movement can be identified through a regional background, but current researches have not studied this part of the March 1st Movement. The public campaign in Daejeon, Sejong, and Chungna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as not fully studied. Despite the active development of social movements, it has not become a topic of interest for researchers, so the research on this topic remains stagnant. Researches on the social movement could be the representative research topic that has not been solved in the study of independence movements in Daejeon, Sejong, and Chungnam.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12-0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호서사학 -> 역사와 담론외국어명 : HO-SUH SAHAK -> HISTORY AND DISCOURSE(Journal of Historycal Review)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9-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호서사학외국어명 : HO-SUH SAHAK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6 | 0.56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6 | 0.953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