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호서지역 고고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40(3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한국고고학에서 있어 호서지역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공주, 부여 등 백제 고도(古都)가 위치해 있다는 특성상, 일제강점기 초기부터 발굴 조사가 실시되고 조선총독부 박물관 분관이 설치되는 등 호서지역 고고학의 시작은 곧 한국고고학의 시작과 흐름을 같이한다.
특히 남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시대 유적인 공주 석장리유적, 남한 청동기시대 중기의 가장 대표적인 유적인 부여 송국리유적 그리고 부여, 공주 등으로 대표되는 백제 도성 등 선사시대와 역사시대를 막론하고 호서 지역에는 한국고고학의 중요 이슈를 불러 일으킨 매우 많은 유적이 조사, 연구되었다. 호서지역의 고고학은 1960년대부터 본격적인 발굴 조사를 시작으로, 현재 급격한 양적, 질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고고학의 양적 성장이 반드시 좋은 결과로만 이어진 것은 아니었다. 고고학 전공 취업의 확대, 고고학 자료의 확보로 인한 학문적 성장과 같은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과다한 수의 발굴법인 설립으로 조사 및 발굴 보고서의 부실, 고고학 학문의 정체, 연구가 아닌 직업으로서의 발굴이라는 부정적인 측면도 함께 드러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고고학의 학문적 성장에 있어 앞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일 것이다. 그러나 그와 별개로 호서지역 고고학이 양적, 질적 성장을 거듭하는데 있어 지역사(地域史)에 대한 관심은 높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선사시대와 삼국시대까지가 주된 연구 영역인 고고학의 학문적 특성상 중세 이후에 보다 중점이 놓이는 지역사에 어느 정도의 역할을 하였는지에 대해서는 고고학에서의 반성과 이후 연구 방향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적 발굴 조사, 대학, 박물관과 문화재연구소, 학회 등의 측면에서 호서지역 고고학의 현황을 살펴보고 지역사 연구 분야로서 호서지역 고고학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1) 대학에서의 문헌사 교육, 2) 중세유적에 대한 관심과 문헌사학과의 공동연구, 3) 지역사 관점에서의 유적의 보존·활용 등을 제안하였다.
In Korea, the Hoseo region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study of archaeology. Ancient capital cities of Baekje Dynasty such as Gongju and Buyeo were located in this region, and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that started in the region in the early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and installation of an annex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Museum marked the beginning of archaeological study in Korea.
A large number of historical remains that raised important archaeological issues, from both prehistoric and historic periods, have been discovered and investigated in the Hoseo region, including Gongju Seokjangri remains―the first Paleolithic remains found in South Korea, Buyeo Songgukri remains―the most notable Bronze Age remains found in South Korea, and ancient capitals of Baekje Dynasty, notably, Buyeo and Gongju. Archaeological research in the Hoseo region has rapidly grown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since the early-period excavation efforts in 1960s. Alongside positive developments such as an increase in job opportunities for archaeology majors and academic advancement with a growing amount of archaeological materials, negative developments have been observed as well, such as poor investigations and reports due to haphazard establishment of excavation firms, stagnant academic advancement of archaeology, and a changing perception on archaeological excavation from academic research to occupation. Another area of concern is the lack of interest in local history, even while archaeology in the Hoseo region has grown both in volume and quality. Particularly, considering that archaeological study mostly focuses on the periods from the prehistoric era to the era of Three Kingdoms, more considerations should be given to the role of archaeology in studying local history that focuses on times after the medieval period, and how to conduct research going forward.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archaeological study in the Hoseo region, based on excavation projects in the region, and related activities conducted by colleges, museums, research institutes on cultural properties, academic associations, and identified issues of archaeology in the region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history research. Based on the findings, I made three proposals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i) College education on philological history, ii) attention to medieval remains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with experts of philological history, and iii)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historic remains from the standpoint of local histor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12-0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호서사학 -> 역사와 담론외국어명 : HO-SUH SAHAK -> HISTORY AND DISCOURSE(Journal of Historycal Review)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9-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호서사학외국어명 : HO-SUH SAHAK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6 | 0.56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6 | 0.953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