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8세기 이도메네우스 신화의 재해석 : 크레비용, 캉프라, 르미에르의 경우 = Trois Idoménées au XVIIIe siècle en France : Crébillon père, Campra et Lemierr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86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9-57(29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1699년 페늘롱의 『텔레마코스의 모험』에 등장한 이도메네우스 신화는 이 소설의 성공과 함께 프랑스는 물론 유럽에 빠르게 퍼졌고, 18세기 비극 및 오페라의 단골 주제가 되었다. 특히 동시대 비극작가였던 크레비용과 음악가 캉프레를 위해 대본을 썼던 당셰가 페늘롱이 부각한 이도메네우스라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작품을 썼다. 이 두 작가는 17세기 후반 고전주의 비극 및 음악비극 전통에 따라 기존 신화에 사랑의 주제를 결합해서 이도메네우스와 그의 아들 이다만테의 갈등의 양상을 부각함으로써 작품의 비극성을 극대화하는데 성공했다. 그렇지만 18세기 후반 프랑스 연극의 중요한 한 경향은 코르네유와 라신의 모델 대신 볼테르의 개혁을 따르는 것이었다. 볼테르의 충실한 제자였던 극작가 르미에르는 크레비용과 캉프레가 창안한 아들과 연적 관계에 놓인 이도메네우스의 모델을 따르지 않고, 아버지, 아들, 아내의 의무가 부딪히는 이념 논쟁을 부각했다. 르미에르는 극중 인물 에리곤을 통해 부당한 희생을 강요하는 신을 따를 필요가 없음을 주장했다. 그런데 신의 명령에 대한 불복종의 가능성은 그 자체로 이도메네우스 신화의 존재의 부정에 이른다. 18세기 내내 유행이 되었던 이도메네우스 신화가 급격히 쇠퇴하며, 급기야 다음 세기에 자취를 감추는 까닭을 여기서 찾을 수 있다.
더보기Au XVIIIe siècle, le mythe infancide d’Idoménée était à la mode. C est Fénelon qui l a inventé dans ses Aventures de Télémaque. Puis, le sujet est maintes fois repris par Crébillon père, Danchet et Lemierre. Nous discernons deux types d’adaptation du mythe d’Idomédée à cette époque : l’un insère une intrigue de galanterie dans cette histoire d homicide, l’autre met l accent sur la succession du trône du père au fils. Crébillon père et de Campra soulignent un conflit entre un père et son fils afin de mettre en relief de manière délicate une situation psychologique entre les héros ; Lemierre n accepte aucun épisode galant ; les devoirs paternel, filial et conjugal sont discutés par ses personnages. L’intrigue dépend donc de la perspective du mythe que l’auteur prend. Nous avouerons cependant que l’adaptation de ce mythe est, dans sa nature, difficile car le sujet, quoique touchant et même larmoyant, ne convient point à la tirade de la tragédie traditionnelle. C est une des raisons pour laquelle la mode de ce mythe n’a pas duré, puis a disparu dans l’histoire du théâtre.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KCI후보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2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4 | 0.23 | 0.532 | 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