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한국에서 진행된 ‘문학을 기초로 한 예술’에서의 ‘변화’와 그 속에서의 ‘패턴’탐구 = A Study on the Change and Patterns in Literature-based Art in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7-185(19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world changes rapidly, and many of the discourses surrounding u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hange. We can also find a certain pattern, in the many changes that have taken place since ancient times. In this paper, I tried to speculate and apply the changes and patterns in literature-based art. The fact that the period of enjoying poetry and the period of enjoying novels are clearly distinguished in literature is the basis for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Of course, there are exceptions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se things, or in the formulation of hypotheses or theories, but with an expanded perspective, we have examined the large patterns found in chang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heoretical review and examined change and field, change and pattern. First, it is a change from simplicity to complexity: a change from small amount to large amount, a change from small number of people to participation work of large number of people. Second, it is a change with the change of the field. Change does not happen alone, but in the interaction with the field, and there is a certain pattern of change. Third, it is a change toward direct experience. Based on this, we narrowed down the scope of the area called Korea and the tools and genre of literature to examine changes and patterns.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the content determines the form, the change of genre reflects the change of the content more than the change of the medium. If the change of media is an external change, the change of genre appears in various forms. The tools and genres that archive literature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field. These things are not stagnant, they are linked together like organisms, causing a variety of changes. What we want to know from these studies is ultimately a macro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pattern and a prediction of the future. In other words, we hope to find the habits that mankind has shown in art based on literature and to predict the changes in literature, art and culture today and in the future.
세상은 빠르게 변화고, 우리를 둘러싼 많은 담론은 변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우리는 고대부터 지금까지 벌어진 많은 변화 속에서, 일정한 패턴을 발견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상황 속에 ‘문학을 기초로 한 예술’에서의 변화와 패턴을 추출하고, 적용해보았다. 문학에서도 시를 즐기던 시대와 소설을 즐기던 시대가 확연히 구분되는 것은 본고의 논의를 유의미하게 하는 근거이다. 물론 이러한 것을 탐구하는 과정 속에, 혹은 가설이나 이론을 정립하는 과정 속에 예외는 존재하지만, 확장된 시각을 가지고 다양한 변화 속에 발견되는 커다란 패턴을 살펴보려 하였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이론적 검토를 시도하여, 변화와 장 이론, 예술상의 변화와 패턴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변화의 기본 패턴 3가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단순함에서 복잡함으로의 변화이다. 적은 양에서 많은 양으로의 변화, 적은 인원수의 참여 작업에서 많은 인원수의 참여 작업으로 변화이다. 둘째, 장의 변화와 함께하는 변화이다. 변화는 홀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장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진행되고, 이러한 변화에는 일정한 패턴이 존재한다. 셋째, 직접적인 체험을 향한 변화이다. 이를 토대로 한국이라는 지역과, 문학을 저장하는 도구와 문학 장르라는 대상으로 범위를 좁혀 변화와 패턴을 고찰하였다.
내용이 형식을 결정한다는 원리에 따르면 장르의 변화는 매체의 변화보다 내용의 변화를 더 크게 반영한다. 매체의 변화가 외부적 변화라 한다면 장르의 변화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문학을 저장하는 도구와 장르는 장의 변화에 따라 변했다. 이러한 것들은 정체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유기체처럼 서로 연결되어 다양한 변화를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알고 싶은 것은 궁극적으로 현재의 양상에 대한 거시적 이해와 미래에 대한 예측이다. 다시 말해 인류가 문학을 기초로 한 예술에서 보여준 습성을 찾고, 이를 토대로 오늘과 미래의 문학과 예술, 나아가 문화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10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인문예술연구소 -> 인문예술학회영문명 : institute of Humanities and Art -> Humanities and Art Society | KCI등재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