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뉴미디어를 통한 케이팝 댄스의 지속가능성 연구 =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K-Pop dance through new media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논문은 케이팝 댄스의 세계적 확장 속에 잠재된 위기와 기회를 살펴보고, 국내외 예술교육과 산업체 현장에서의 뉴미디어 수용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수요자와 공급자로서 퍼포머 매칭 서비스’, ‘모션 평가 · 학습 비즈니스 플랫폼’, ‘클라우드 기반 케이팝 댄스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을 제언하기 위해 예비조사를 했다.

    뉴미디어 시대, 전 세계 대중문화 흐름을 이끌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케이팝은 다음 시대의 후발주자에게 어떻게 그 자리를 내어주게 될지 선례를 알지 못하는 뉴미디어 글로벌 콘텐츠 우위 선점의 개척자이자 동시에 잠재적 희생자다. 케이팝이 범용성을 갖게 되기까지는 유튜브와 같은 뉴미디어의 역할이 중요했다. 유튜브와 페이스북 등과 같은 소셜미디어를 포함한 트랜스 미디어를 지칭하는 뉴미디어는 케이팝이 2009년 원더걸스 ‘Nobody’의 미국 진출 이후로 2012년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넘어 2018년 방탄소년단이 빌보드 차트 1위에 올라 전 세계에 영향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한류 대표 콘텐츠로 자리매김하는 데 일조했다. 또한 최근 세계가 주목하는 신인 아티스트 홀랜드는 1인 기획사로서 뉴미디어만으로 데뷔하고도, 전 세계 영향력 있는 한국 유튜버로서 유튜브 본사로부터 공인받고 빌보드에서도 거론되고 있다.

    코딩수업이나 초등학교 기초 교양과목 도구로 21세기 디지털 교육 시스템이 자리 잡으면서, 음악이나 미술과 같은 예술 분야의 교육 도구도 뉴미디어의 영향을 받아 디지털 콘텐츠로 전환되는 것을 간과할 수 없다. 민영기관의 영유아 영어 프로그램이나 음악 프로그램과 같은 사교육이 게임 산업의 교육과 유희를 연계해서 만들어내고 있는 에듀테인먼트 도구의 등장은 예술과 기술이 병합한 뉴미디어 콘텐츠에 익숙해지는 세대뿐 아니라 뉴미디어 콘텐츠에 익숙하지 않은 기성세대에도 뉴미디어 리터러시의 간극을 좁히고 있다. 그리고 전 세계에 유통망을 가지고 있는 해외 소프트웨어 회사와 게임업체가 케이팝 댄스를 소재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케이팝을 활용한 에듀테인먼트와 기술 특허가 해외 기술보다 먼저 개발되지 못하거나 그로 인한 케이팝 확장성에 대한 기준 마련에 대한 대처가 미흡하다면, 전 세계의 케이팝 댄스 교육콘텐츠 시장에 우위를 선점할 기회를 놓치게 될 것이다. 마치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을 화려하게 수놓은 드론 쇼의 연출이 전 세계에 주목을 받았지만, 실제 주목받은 주인공은 주최국인 한국이 아닌 기술과 시스템 저작권을 갖고 있던 미국 인텔의 ‘슈팅 스타’이었듯 말이다.

    케이팝 댄스교육은 최근 해당 부처의 인가를 받아 대중·공연예술교육의 하위문화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케이팝이라는 용어는 국가평생교육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2019년 표준교과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용음악으로 분류되는 대중예술 분야에서 실용무용과 힙합으로 표기되거나 일부 뮤지컬전공 영역의 유사과목으로 대체 교육되는 등 여전히 개발이 미흡하다. 반면 오늘날 일반적인 실기교과목 강의는 유튜브를 비롯한 온라인 강좌를 통해 거침없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실기교과목의 온라인 강좌가 양적, 질적으로 더욱 빠르게 증가 될 것을 보여주는 이러한 현상은 문화기술 발전과 더불어 실기전공 과정에서 뉴미디어가 케이팝 안무의 학습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예측하게 한다.

    이러한 현상을 보다 면밀하게 다각도에서 분석하고자, 본 연구 3장은 국내외 예술교육과 산업체 현장에서의 뉴미디어 수용 현황을 조사했다.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영상촬영 중심으로 뉴미디어에서 양방향으로 교류하는 학습 방식은 뉴미디어를 통한 케이팝 댄스의 지속성을 연구하고자 할 때 간과할 수 없는 문화기술 패러다임 구축의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이와 관련된 실험 결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설문조사를 통해 양적 연구에 참여한 연기 전공자의 60% 이상이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촬영을 통하여 연기를 모니터하는 것이 자율 학습뿐만 아니라 강사의 연기 지도 내용을 이해함에 도움이 된다고 표현하였다. 또한, 비디오 촬영을 통한 한 방향 모니터보다 유튜브를 비롯한 소셜미디어 업로드를 통한 양방향 모니터가 다양한 의견 수렴을 위해 효과적이라고 표현한 비율은 60%에 달했다. 한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촬영을 통하여 연기를 모니터하는 것이 연기 수업 목표달성 효율성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표현한 20%의 답변자도 있었으나 이들 중 50%에 해당하는 구성원도 유튜브를 통해 연기 영상을 게시하는 것이 추후 유관 전공 분야 캐스팅에 도움이 될 가능성을 갖는다고 표현했다.

    한편 3년 후, 같은 주제로 같은 실험 대상자에게 같은 방법의 2차 양적 연구를 실행한 결과, 연기 전공자의 90% 이상이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촬영을 통하여 연기를 모니터하는 것이 자기주도학습뿐만 아니라 강사의 연기 지도 내용을 이해함에 도움이 된다고 표현했다. 또한, 이들 중 비디오 촬영을 통한 한 방향 모니터보다 유튜브를 비롯한 소셜미디어 업로드를 통한 양방향 모니터가 다양한 의견 수렴을 위해 효과적이다고 표현한 비율은 90% 이상에 달했다. 그리고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촬영을 통하여 연기를 모니터하는 것이 연기 수업 목표달성 효율성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표현한 5%의 소수 답변자 중에서도 유튜브를 통해 연기 영상을 게시하는 것이 추후 유관 전공 분야 캐스팅에 도움이 될 가능성을 갖는지에 대해서는 90%가 동의한다고 표현하였다.

    또한, 뉴미디어 수용과 정보에 관한 신뢰도 조사로 유튜브를 통한 케이팝 콘텐츠 확산과 커버댄스 참여를 통한 적극적 케이팝 안무 수용, 그리고 케이팝 교육과 콘텐츠 재생산 패러다임을 찾고자 했다. 세대별, 지역별 예술전공자를 대상으로 실험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대 예술고등학교 실기 전공자는 뉴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신뢰도가 높았고, K 콘텐츠 카테고리 중 학습콘텐츠로 구분되는 ‘춤’, ‘노래’, ‘연기’, ‘패션’, ‘메이크업’ 중에 ‘춤’에 대한 콘텐츠 소비와 신뢰가 가장 높았는데, 학습 효율성이 높은 장르는 ①‘춤’, ②‘메이크업’, ③‘패션’ 순서로 나왔다. 이 결과물의 평가는 시각적으로 판단하기 편리한 것과 조회 수에 따른 콘텐츠 접근의 편리함이 영향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20대 예술대학교 실기 전공자는 뉴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신뢰도가 대체로 높은 비율이나 10대 예술고등학교 실험군과 비교하면 낮은 편이었다. 학습 자료로서 뉴미디어 콘텐츠 사용빈도와 신뢰도가 높은 장르는 ‘춤’이었으나 뉴미디어 자료를 활용하되 실제 실기전공 학습은 오프라인을 통하여 훈련되는 환경을 더 선호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한편 대중예술 산업체의 질적 연구 실험군의 경우, 뉴미디어에서 공인된 지표인 구독자 수 50만 명 이상을 지닌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와 해당 아티스트 프로젝트에 참여한 스텝을 대중예술 산업체 실험군으로 설정하고 같은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뉴미디어 콘텐츠 의존도와 신뢰도가 높고 콘텐츠 효율성이 높은 장르는 ‘춤’ 보다 ‘메이크업’을 선호함으로 예술교육 현장과 대중예술 산업체 현장의 지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대중예술 산업체에 속한 아티스트는 커버댄스나 케이팝 랜덤댄스 영상을 케이팝 학습 도구 범주로 보았던 예술교육 실험군과 비교하여 볼 때, 실제 안무 연습을 위해서 뉴미디어 영상은 참고자료로만 사용되는 빈도가 높고, 대부분 전문가의 리드를 통해 오프라인에서 학습함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4차 혁명 시대 AI와 뉴미디어 콘텐츠를 연계한 케이팝 댄스 교육콘텐츠를 개발할 때 인간의 역할을 배제하는 기술개발이 아니라, 인간의 역할을 보조하는 수단으로서 AI와 가상현실 콘텐츠가 케이팝 댄스교육에 효율적일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게 했다.
    문화기술 표준화 방안 연구에 따르면 콘텐츠 기술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은 끊임없이 발전되고 있으나, 소비자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의 품질에 대한 검증은 미약한 실정으로, 소비자가 콘텐츠에 대해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여건조성이 시급하며, 공급자에게는 양질의 콘텐츠 생산을 할 수 있는 환경조성을 위한 표준화 추진이 필요하다.

    4장은 케이팝 안무 동작 평가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의 케이팝 댄스 용어가 빅 데이터를 통해 체계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했다. 이것은 케이팝 댄스의 안무 학습과 평가 기준 빅 데이터 구축을 위해 사용 가능한 문화기술력 확보를 전제로 하며, 그러한 가운데 뉴미디어 플랫폼을 통해서 케이팝 예술교육 공급자와 수요자 매칭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했다. 관련하여 부록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3차 이상의 문화기술 전문가 집단 간담회 형식의 질적 연구를 통해 뉴미디어를 통한 프로슈머가 디지털 콘텐츠로 변모되는 4차 혁명 케이팝 댄스 비즈니스 플랫폼 모델 가설 구축의 예비적 조사를 했다.

    이에 본 연구는 케이팝 댄스교육 분야가 글로벌 통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학적 평가 기준이 될 수 있는 빅 데이터 평가 기본값 설정과 케이팝 댄스 평가 용어의 수치화 된 메뉴얼化가 선행되어야 함을 확인하고 학계와 산업계에서 케이팝 댄스 학습과 평가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정리했다. 전반적으로 케이팝 댄스 용어는 외래어가 많았으며, 힙합의 ‘힙하게’, ‘스웨그 있게’나 얼반의 ‘걸리시하게’, ‘보깅하듯’ 등 춤이 갖는 장르적 명칭이나 특징을 케이팝 댄스 학습과 평가 용어로 사용하거나, 평가자가 평가 대상자를 통해 느껴지는 것에 따라 추상적이고도 유연하게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이유로 취합된 케이팝 댄스 용어들을 빅 데이터 키워드로 매뉴얼化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질적 연구 대상자가 공통으로 거론하는 사용빈도가 높은 케이팝 댄스 용어에 한해서는 빅 데이터의 평가 기본값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케이팝 댄스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을 위한 가설에 대한 문화기술 전문가 심층 면접을 통해 가설 검증 및 케이팝 댄스 영역의 학습/평가 기준 데이터 추출을 위한 케이팝 댄스 용어 기준을 마련할 수 있었다.

    정리하면 본 연구는 국내외 예술교육과 산업체 현장에서의 뉴미디어 수용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수요자와 공급자로서 매칭 서비스’, ‘모션 평가 · 학습 비즈니스 플랫폼’, ‘클라우드 기반 케이팝 댄스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 가설을 제시했는데 모두 뉴미디어를 통한 케이팝 댄스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제언이다.

    한 편, 이와 같은 케이팝 댄스 비즈니스 플랫폼이 구축될 수 있다는 가설에 따라 본 연구가 구축하고자 하는 전문성과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 문화기술 전문가와 산업체 전문가의 심층 면접을 통하여 본 질적 연구 응답자 가운데 66%가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그러나 비즈니스 플랫폼에 참여 의지에 관련된 답변은 응답자 가운데 24%에 그쳤다. 플랫폼 운영에 앞서 시스템과 저작권 문제 등 제도권에서 선행되어 해결해야 할 이슈들이 있고 그로 인해 시스템 시범 운영 이후 결정하겠다는 복합적인 이유 때문이었다. 하지만 해당 가설이 논의할 만한 의미가 있음에 대해서는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 패널이 전반적으로 동의하였다.

    케이팝 댄스와 뉴미디어가 결합해서, 케이팝이 꾸준히 확장되어 현시대 실감 콘텐츠로 누구나 즐길 수 있고, 공정거래가 가능한 글로벌마켓을 선점하는 뉴 콘텐츠로서 끊임없이 변화된 모습으로 살아남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주제어: 케이팝댄스, 뉴미디어, 케이팝비즈니스플랫폼, 문화기술,
    케이팝 교육 플랫폼, 예술교육

    더보기
    • Ⅰ. 서론 1
    • Ⅰ-1. 문제 제기 1
    • Ⅰ-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4
    • Ⅱ. 뉴미디어와 케이팝 댄스 13
    • Ⅱ-1. 케이팝 현황과 관련 연구 검토 13
    • Ⅱ-2. 뉴미디어를 활용한 케이팝 댄스의 세계화 방식 18
    • Ⅲ. 국내외 예술교육 현장에서의 뉴미디어 수용 현황 30
    • Ⅲ-1. 예술고등학교 대중/공연예술 전공자와 뉴미디어 30
    • Ⅲ-2. 예술대학교 대중/공연예술 전공자와 뉴미디어 37
    • Ⅲ-3. 대중/공연예술 산업체 전문가와 뉴미디어 53
    • Ⅲ-4. 개발도상국 예술교육과 뉴미디어 63
    • Ⅳ. 케이팝 댄스의 확장 속에 잠재된 위기와 기회 77
    • Ⅳ-1. 사례 분석을 통한 케이팝 댄스의 전개 77
    • Ⅳ-2. 케이팝 안무저작권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잠재된 위험 95
    • Ⅳ-3. 글로벌 마켓 속의 프로슈머로서 퍼포머 108
    • Ⅳ-4. 클라우드 기반 케이팝 댄스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에 대한 제언 119
    • Ⅴ. 결론 133
    • 참고문헌 140
    • 표 목차 150
    • 그림 목차 151
    • 악보 목차 152
    • 부록 153
    • Abstract 177
    더보기
    • 1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정책』", 교육과학기술부, 2016
    • 2 김은우, 장예찬, 김태현, "『뉴미디어』", 스튜디오 본프리, 2019
    • 3 방티겜, "『비교문학』", 김종원 옮김. 예림, 1999
    • 4 최광식, "『한류백서』", 문화체육관광부, 2013
    • 5 이상욱, "「케이팝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6
    • 6 한영애, "『조선장단연구』", 민속원, 1989
    • 7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성과보고서』. 2018, 2018
    • 8 한상훈, "「안무의 저작권」", 전자신문, 2019
    • 9 박성현, "「한류를 말하다」", 『한류스토리』. (재)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13, 2013
    • 10 마샬, 피쉬윅, "『대중의 문화사』", 황보종우 옮김. 청아출판사, 2005
    • 11 안남일, 정영아, "『미디어와 문화』", 푸른사상, 2012
    • 12 K한국, "K한국 평생교육 기관", http://www.nile.or.kr/index.jsp, null
    • 13 이영미, "『한국대중가요사』", 민속원, 2006
    • 1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http://www.riss.kr/index.do, null
    • 15 서병기, "『방탄소년단과 K팝』", 성안당, 2019
    • 16 NCS, "NCS 국가직무 능력 표준", https://ncs.go.kr/unitySearchView.do?query=%EB%AE%A4%EC%A7%80%EC%BB%, null
    • 17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해외한류실태조사』",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19
    • 18 박준우, "『노래하는 페미니즘』", 한길사, 2019
    • 19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 교육정책』", 문화체육관광부, 2017
    • 20 김덕중, 남상현, 김아현, "『글로벌 한류 트렌드』", 서울:KOFICE. 2017, 2017
    • 21 문화체육관광부, "『문화 향수 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6
    • 22 서울문화재단, "『국민 여가 활동 조사』", 서울문화재단, 2018
    • 23 김남국, "『BTS Insight 잘함과 진심』", 비밀신서, 2018
    • 24 유영대, "「창극의 특성과 대중화」", 『판소리연구』vol.9. 판소리 학회, 1998
    • 25 박영숙, 제롬, "글랜. 『유엔미래보고서 』", 교보문고. 2014, 2040
    • 26 아르놀트,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2』", 백낙청반성완 옮김. 창작과 비평, 2009
    • 27 안남일, 이주영, 안유진, "『문화콘텐츠 연구의 현장』", 푸른사상, 2014
    • 28 목정수,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한울원격평생교육원, 2019
    • 29 윤선구, "「아도르노 『부정변증법』」", 『철학사상』 vol.7 No.21., 서울대학교 철 학사상연구소, 2006
    • 30 KBS, "「정부, 관광 혁신전략 발표」", KBS, 2019
    • 31 기야르, "M. F..『비교문학』. 정규태 옮김", 정음사, 1981
    • 32 신현준, "『가요, 케이팝 그리고 그 너머』", 돌베개, 2013
    • 33 홍성규, "「북한 가요의 주제와 음악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 34 신재한, "『STEAM 융합 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13
    • 35 백성욱, "『문화기술(CT) 표준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콘텐츠기술학회, 2010
    • 36 강재원, 최항섭, 조화순, 김성철, "『사회과학자가 보는 4차 산업혁명』", 한울, 2018
    • 37 이용익, "「K팝과 K게임 만났다.. BTS월드 출시」", 매일경제, 2019
    • 38 김윤지, "「유명기획사 기업공개의 ‘함정’」", 한겨레, 2019
    • 39 김성철, "『인터넷 생태계에 대한 9가지 질문』", 나남, 2016
    • 40 박찬수, "「국내 뮤지컬 교육기관의 현황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 41 하태현, "「스마트폰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정책연구』vol.8 No.4, 2010
    • 42 송상기, "송상기. 『멕시코의 바로크와 근대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 43 자크, "데리다. 『그라마톨로지』. 김성도 옮김", 민음사, 2010
    • 44 구자형, "『BTS & BEATLES, 블루의 사랑이 퍼질 무렵』", 빛기둥, 2019
    • 45 박지혜, 최봉현, "『K-pop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KIET 산업연구원, 2015
    • 46 정준영,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책 세상, 2009
    • 47 유발,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조현욱 옮김", 김영사, 2017
    • 48 KOICA, "KOICA ODA 교육원. 『국제개발협력 첫걸음』", 한국국제협력단, 2013
    • 49 한국연구재단, "『대학 교육역량 강화사업 우수 사례집』", 한국연구재단, 2009
    • 50 헌터데이비스, "헌터데이비스. 『THE BEATLES』. 이형주 옮김", 베델스만, 2003
    • 51 박창영, "「日 엔터기업들 팝 성공 노하우 배운다」", 매일경제, 2019
    • 52 로이, "로이 셔커. 『대중음악사전』. 이정엽 옮김", 한나래, 2003
    • 53 베슬리, "베슬리 안드리안. 『The ICON of 케이팝 : BTS』", 김지연 옮김. a9press, 2019
    • 54 구자형, "『21세기 비틀즈 BTS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빛기둥, 2019
    • 55 크리스, "크리스 쉴링. 『몸의 사회학』. 임인숙 옮김", 나남, 1999
    • 56 정길화, "「브라질의 케이팝 팬덤에 대한 현장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 57 최종환, "「한국 힙합 댄스의 발전과정과 가치 인식」",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 58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본격 도입을 위한 실행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11
    • 59 서울문화재단, "서울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정책』", 콘텐츠산업과 문화정책연구소, 2012
    • 60 이선희, "「국내 첫 저작권료 받는 ‘K팝 안무 장인’」", MBN, 2018
    • 61 고정민, "「드라마 대장금의 경계적효과에 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vol.10 No.1., 한국문화산업학회, 2009
    • 62 김상선, "「새로 만드는 게 능사인가...해법은 공유다」", 중앙일보, 2013
    • 63 김정겸, 백영균, 박주성, "『유비쿼터스 시대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학지 사, 2010
    • 64 대거, "대거 캘트너. 『선한 권력의 탄생』. 프런티어", 장석훈 옮김, 2018
    • 65 메를로, "메를로 퐁티. 『지각의 현상학』. 류의근 옮김", 문학과 지성사, 2011
    • 66 현혜정, "「디자인 기술융합의 D.I.O형 교육 시뮬레이션」", 『한국과학예술포럼』 vol.18 No.1.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 67 심희철, "「광대제도의 전승과 케이팝 계승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 68 윤정주,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지향적 학습 모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 69 서정환, "「케이팝에서 훅의 사용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 70 이지영, "『BTS 예술혁명 : 방탄소년단과 들뢰즈가 만나다』", 파레시아, 2018
    • 71 MBC, "MBC. 「방탄소년단도 춘 '삼고무'…누구의 것인가」", 뉴스데스트. https://youtu.be/pByYHvDv_aA, 2018
    • 72 문연주, "「K-Pop 아이돌그룹 방탄소년단의 안무 특성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8
    • 73 강정화, "「스마트 러닝 활성화를 위한 SNS 활용 방안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vol.9 No.5, 2011
    • 74 유지미, "「케이팝 걸그룹 댄스 동작 분류 체계 모델 구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 75 크로이든, "크로이든 마가렛 . 『현대실험연극』. 송혜숙 옮김", 한마당, 1984
    • 76 이지언, "「하버드 프로젝트와 미래 예술교육에 대한 전망」", 『예술교육연구』 vol.14 No.1, 2014
    • 77 심두보, "「한류와 국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새로운 지평」", 한국연구재단 연구성과 물, 2011
    • 78 남지은, "남지은. 「24시간 내내 소속사 감시받는 아이돌들」", 한겨레신문, 2016
    • 79 강헌, "「진격의 소녀 비밀병기...K팝 한류의 기적을 열다」", 국민일보, 2019
    • 80 한국콘텐츠진흥원, "『해외대학의 문화콘텐츠산업 관련 교육사례 분석』", 한국콘텐츠진흥원, 2002
    • 81 로버트,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생각의 탄생』. 박종성 옮김", 에코의 서재, 2007
    • 82 보라하자, "보라하자@angelyou79. 『BTS 덕질하는 아미의 Speak Myself』", 하루북스, 2019
    • 83 양병찬, "「AI 혁명을 위해 경제사회교육 시스템을 재부팅하라」", 바이오토필, 2017
    • 84 조대원, "「[목멱칼럼]대중음악계 신구(新舊)갈등 심상치 않다」", 이데일리, 2016
    • 85 김혜진, "「브로드웨이 뮤지컬 를 통하여 본 청소년 문제」", 『한국콘텐츠 학회논문지』 vol.16 No.4, 2016
    • 86 미셀, "푸코. 『유토피아적인 몸, 헤테르토피아』. 이상길 옮김", 문학과 지성사, 2014
    • 87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케이팝 20년, 성과와 과제」", 한류심포지엄, 2019
    • 88 김영수, "「IT 기술을 이용한 전문 전시회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포 럼』vol.21 No.-.,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5
    • 89 이인권, "『21세기 문화 창의력의 시대, 예술의 공연 매니지먼트』", 어드북스, 2009
    • 90 구스타프, "융캘빈 S. 홀. 『BTS가 주목한 융의 재발견』. 이현성 옮김", 스타북 스, 2019
    • 91 프로이트, "프로이트.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고낙범 옮김", 열린책들, 2009
    • 92 남선우, "「기독교 청소년 교회교육을 위한 스마트 PBL 사례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 93 이병권, "「멀티플 센싱을 이용한 태권도 동작 인식 시스템 구현」", 멀티미디어학회 vol.19 No.2, 2016
    • 94 발터,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최성만 옮김", 도서출판 길, 2009
    • 95 G, "G.버나드 쇼. 『쇼에게 세상을 묻다』. 김일기 김지연 옮김", 딴데데로, 2012
    • 96 이승건. 「언어, "이승건. 「언어(lingua)와 이미지(image)의 미학적 관계양상」", 『학술예술학회논문 집』 vol.2, 2005
    • 97 김혜진, 장청옥, "「예술대학의 『교육과정의 국제통용 확보』를 위한 실제」", 『문화기 술융합』vol.1 No.4.,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5
    • 98 브러스나한, "브러스나한 리거. 『우리말과 영어의 제스처』. 신예니 옮김", 예영커뮤니케이션, 2009
    • 99 J, "J m Dator. 「글로벌 인재포럼 : 비즈니스의 미래 요구의 관점」", 글로벌인재포럼, 2009
    • 100 박재은, "박재은.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 2014
    • 101 윤정주,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u-러닝 지향적 영어 학습 모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 102 심영주, "「방탄소년단 짝퉁 논란 日 ‘탄도소년단’. 오리콘차트 1위」", 조선일보, 2019
    • 103 프리스, "프리스 사이먼. 『케임브리지 대중음악의 이해』. 장호연 옮김", 한나래, 2005
    • 10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지원 정책분석 및 개선 방향」", 『문화예술교육』, 2017
    • 105 박창영, "「BTS 빌보드 1위와 넷플릭스 ‘로마’ 아카데미 수상의 공통점」", 매일경제, 2019
    • 106 윤유경, 채지영, "「일본인 한류 선호집단과 비선호집단의 한류 인식에 관한 연구」", 『문 화산업연구』 vol.12 No.3., 한국문화산업학회, 2012
    • 107 전효진, "「‘포이즌’ 안무 스포...세계 1위 댄스팀 저스트절크 지원 사격」", 스포츠동아, 2019
    • 108 이정수, "「스가와라 코하루 “샤이니를 위한 안무..내면 향한 사랑담아”」", 서울신문, 2018
    • 109 적가, "적가. 「현대 패션에 나타난 키덜트적 유희성의 표현방법 및 특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 110 이현진, "「K-Pop」의 성장 지속화 방안: 가수 싸이(PSY) 성공 요인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대학원, 2013
    • 111 한진주, "「이재석, 마이뮤직테이스트 대표 ‘아티스트-맨 잇는 징검다리’」", 아시아경제, 2017
    • 112 권현우, "「일렉트로닉 음악이 년대 한국 댄스음악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상 명대학교 대학원. 2019, 1990
    • 113 김영록, "「교사의 스마트기기 이용이 수업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성균 관대학교 대학원, 2014
    • 114 손남원, "『너의 꿈을 캐스팅하라 - 스타, 우리는 이렇게 뽑고, 이렇게 키운다.』", 쌤앤파커스, 2011
    • 115 최우성, "「동화경제사 “넬로와 파트라슈가 걸었던 길, 돈과 욕망이 넘쳤던 길”」", 한 겨레, 2017
    • 116 조, "조 디어, 베라 로코 달. 『뮤지컬 배우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이계창 옮김", 지식 공 간, 2015
    • 117 김현아, "「“다섯 명 중 한 명, 유튜브로 허위정보 접한다.” 방송학회 21일 세미나」", 이데일리, 2019
    • 118 독일연방교육연구부, "독일연방교육연구부. 「문화가 강하게 만든다. 교육을 위한 동맹 프로젝트」", 『-2017 결과보고서』. 2018, 2013
    • 119 김서현, "「비트 정보를 포함하는 이차원 안무 영상을 이용한 안무 검색 알고리즘 연구」",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2018
    • 120 임지선, "임지선. 「해외에서 K-Pop 지도에 관한 연구: 인도네시아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2019
    • 121 김기윤, "「“아이돌 아무가 아니라 한 편의 뮤지컬” 극찬받은 BTS 안무가 ‘시에나 라 라우’」", 동아일보, 2019
    • 122 JTBC, "JTBC 스테이지 K, 11부작, 2019.4.7.-2019.6.23. 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D%85%8C%EC%9D%B4%EC%A7%80", 2019
    • 123 전진국, "「K-Pop의 해외확산 요인에 관한 연구 ? 생산자 수용자 미디어 콘텐츠 영역 분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9
    • 124 LIMA, "LIMA DE OLIVERIRA THAIS. 「케이팝 걸그룹의 패션 스타일 연구: -2017년 의 걸파워 표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2001
    • 125 여정경, "「한류 공연에 대한 체험요소가 한류 태도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5
    • 126 하춘화, "「사회변동기의 대중가요와 대중정서의 상관성 연구 - 한국 년대 산업화 와 도시화 과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1970
    • 127 김현진,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케이팝 콘텐츠의 참여적 이용에 관한 연구 : 유튜브 콘텐츠 SNS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 128 정병선, "정병선. 「우리나라 기술사 자격의 국제적 통용성 확보 및 해외 진출 방안」. 『한국 기술사』 vol.41 No.6", 한국기술사회, 2008
    • 129 래리, "래리 스타 크리스토퍼 워터먼. 『미국 대중음악 : 민스트럴부터 힙합까지, 200년의 연 대기』. 김영대 옮김", 한울, 2015
    • 130 최희식,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vol. 28. 한국저작권보호원. 클라우디오 페르난데즈 아라오즈. 「21세기 인재 발굴」", 『HBR(하버드비즈니스리 뷰)』 vol.6.. 2014, 2017
    • 131 왕치린, "「중국 유행음악의 창작과 발전에 대한 한국 대중음악의 영향력 연구; 싸이의 ‘강남스타일’과 ‘젠틀맨’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9
    • 132 이성·이영민·안재희·이수영, "이성 이영민 안재희 이수영. 「기업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전문성 인증을 위한 국가 자격 종목 개발 연구」. 『인적자원개발』 vol.41 No.2", 한국농업교육학회,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