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가상자산의 법적 성격 = Legal Nature of Virtual Asse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9-181(53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Virtual assets or digital assets are a hot button and potato in Korean legal fields. Especially, as international discussion formed into norms or directives, a lot of draft legislations related to virtual assets have been promoted in the National Assembly of Republic of Korea. However in adapting the new regulation or global discussion into the legal system, it is important to consider mutual consistency with other elements in that system. The most fundamental issue in the civil law area regarding virtual assets is the ‘legal nature of them.’ The Civil Act of Republic of Korea distinguishes Real Rights(Part II), ie., rights in rem and Claims(Part III), i.e., rights in personam. Legal frame of Real Rights applies only to the “things” defined as “corporeal things, electricity, and other natural forces which can be managed (Article 98).” Thus whether virtual assets are things or not, becomes a key premise in which legal framework should be applicable. In some jurisdictions, they do not limit the concept of things to corporeal things (or tangibles), and the concept of ownership is more flexible, and not stricter than in Korean Civil Act. Therefore, this difference must be fully understood when considering the adaption of the results of global discussions (especially the common law jurisdiction).
Although there has been discussions in legal academia regarding whether virtual assets deemed as ‘things’, it has not gone beyond the categorical declaration that digital information cannot be ‘things’ because it is intangible. In this regard, this article focuses on electronic file which constructs the ‘form’ of virtual assets. By cross-academical analyzing with engineering science, natural science, and computer science,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electronic file is natural force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ings, even its intangibility. As a result, some ‘manageable’ electronic files can be deemed as things. Next step is what is the meaning of manageable to electronic file. The same framework of this analysis can be applied to ‘the electronic securities’, which are centrally registered, and ‘coins and tokens’, which are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The ‘content’ of virtual assets also effects on the legal nature of virtual assets. Various issues related to virtual assets such as money, gold, real estates, tangibles, stocks, bonds, securities, certificates, pictures, images, music, video, game items, data, patents, copyrights, software, trade secrets, etc, are debated in the content area, not the form.
Hopefully,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will provide a basis for the interpretation of law in the realms of legislation, administration and judiciary regading virtual assets.
가상자산(Virtual Asset)은 우리 법학계의 뜨거운 감자이다. 특히, 국제적인 논의가 어느덧 결실을 맺어 그 외형을 갖추어 가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이들을 토대로 다양한 입법들이 추진되는 중이다. 그러나 이 국제적인 논의를 우리법에 수용함에 있어서는 우리 법체계와의 정합성이 요구된다. 민사법적인 부분에서 특히 문제되는 것은 「가상자산의 물건성」이다. 물권과 채권을 준별하고 민법상의 물건에 대하여만 물권법을 적용하는 우리 법체계에서, 가상자산이 물건인가는 어떤 법적 틀이 적용될 것인가에 있어 핵심적인 전제이다. 법제에 따라서는 물(物)을 반드시 유체물 등에 한정하지 않고, 소유(所有) 역시 우리 민법상의 소유권과 다른 수준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다른 국가들(특히 영미법계)에서의, 또 국제적인 논의들을 이해하고 또 우리 법에 수용함에 있어서는 이 차이를 충분히 이해하여야 한다.
종래 우리 민법학계에서도 가상자산의 물건성에 대한 논의는 존재했지만, 디지털 정보는 물건이 될 수 없다는 정언적 선언을 넘어서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고는 가상자산의 형태(形態)인 전자파일에 주목하고, 공학과 자연과학, 전산학 등과의 통섭적 분석을 통해 그것이 어떤 요건과 기준 하에 민법상 물건으로 평가될 수 있을지를 고찰한다. 중앙등록방식인 전자유가증권, 분산네트워크방식인 분상원장기술을 사용한 코인과 토큰 등의 가상자산 역시 이 분석의 틀 안에서 논의한다.
한편 민법이 적용이 될 수 있는가를 중심으로 한 형태적 논의와 가상자산의 내용에 대한 논의는 구분되어야 한다. 화폐, 금, 부동산, 동산, 주식, 채권, 투자 및 수익증권, 그림, 이미지, 음악, 영상, 게임아이템, 데이터, 특허권, 저작권, 소프트웨어, 영업비밀 등 가상자산과 연결되는 다양한 쟁점들은 이 내용(內容)적 측면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본 논고에서의 논의가 가상자산에 관한 입법(立法), 행정(行政), 사법(司法)의 영역에서 민법적 해석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