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經營學原論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목차
    • 第1部 經營學의 基礎理論
    • 第1章 經營學의 理解
    • 第1節 經營學의 硏究對象 = 35
    • 第2節 企業의 意義 = 36
    • 第3節 經營의 意義 = 40
    • 第4節 企業과 經營과의 關係 = 42
    • 第5節 經營과 管理 = 42
    • 第2章 經營學의 特性과 硏究의 方法
    • 第1節 經營學의 特性 = 44
    • 1. 理論的 學問과 實踐的 學問으로서의 經營學 = 44
    • 2. 科學으로서의 經營學과 技術로서의 經營學 = 45
    • 3. 社會科學으로서의 經營學 = 46
    • 第2節 經營學의 硏究方法 = 47
    • 1. 歸納的 方法 = 47
    • 2. 演繹的 方法 = 47
    • 3. 歸納法과 演繹法의 相互補完 = 48
    • 4. 實驗的 方法과 그 重要性 = 48
    • 5. 社會科學的 硏究方法 = 49
    • 第3節 現代經營學과 隣接科學 = 50
    • 1. 經濟學 = 50
    • 2. 數學과 工學 = 50
    • 3. 社會學 = 51
    • 4. 心理學 = 51
    • 5. 行動科學 = 52
    • 6. 시스템理論과 意思決定論 = 53
    • 第4節 經營者의 特性 = 55
    • 第5節 經營學의 體系 = 59
    • 1. 經營의 機能 = 59
    • 2. 管理의 過程 = 61
    • 第6節 經營學의 選擇原理 = 63
    • 1. 生産性 = 64
    • (1) 生産性의 槪念 = 64
    • (2) 勞動生産性 = 65
    • (3) 附加價値生産性 = 65
    • (4) 成果配分 = 67
    • 2. 經濟性 = 68
    • (1) 經濟性의 槪念 = 68
    • (2) 目標達成度 = 69
    • (3) 手段節約度 = 69
    • 3. 收益性 = 70
    • (1) 收益性의 槪念 = 70
    • (2) 適正利潤 = 71
    • (3) 必要最低利潤 = 72
    • (4) 滿足利潤 = 73
    • 第3障 經營學의 發展과 學派
    • 第1節 經營學의 發展 = 75
    • 1. 獨逸의 經營經濟學 = 75
    • (1) 獨逸經營經濟學의 前史 = 75
    • (2) 私經濟學的 硏究의 發展 = 79
    • (3) 經營經濟學의 成立과 發展 = 82
    • (4) 獨逸經營經濟學의 最近動向 = 83
    • (5) 獨逸經營經濟學의 學派 = 85
    • (가) 經驗學派 = 86
    • (나) 規範學派 = 87
    • 2. 美國의 經營管理學 = 88
    • (1) 美國經營學의 生成 = 88
    • (2) 科學的 管理 = 89
    • (가) 배베지의 管理 = 89
    • (나) 테일러 시스템 = 90
    • (다) 테일러리즘에 영향을 미친 간트와 길브레스 = 92
    • (3) 포드 시스템 = 93
    • (가) 포드 시스템의 기본적 특성 = 93
    • (나) 포디즘의 이념과 내용 = 93
    • (다) 포디즘의 功過 = 94
    • (4) 人間關係論 = 95
    • (가) 로버트 오우웬 = 95
    • (나) 민스터베르크 = 95
    • (5) 호손실험 = 96
    • (가) 照明實驗(1次實驗) = 96
    • (나) 繼電器 組立作業實驗(2次實驗) = 97
    • (다) 面接實驗(3次實驗) = 97
    • (라) 配電器 卷線作業實驗(4次實驗) = 97
    • (6) 바나드·사이몬의 組織理論 = 99
    • (가) 바나드의 組織理論 = 99
    • (나) 사이몬의 組織的 意思決定論 = 101
    • (7) 行動科學論 = 102
    • (가) 意義 = 102
    • (나) 行動科學에 대한 주요 기여자들 = 103
    • (8) 制度論學派 = 104
    • (가) 制度論學派와 經營者支配論 = 104
    • (나) 드럭커와 챈들러 = 105
    • (다) 벌과 민즈의 經營者支配論 = 105
    • (라) 버어남의 經營者革命論 = 107
    • (마) 갈브레이스의 Technostructure 支配論 = 108
    • (9) 狀況附隨性理論 = 109
    • 3. 佛蘭西 = 109
    • 4. 韓國經營學의 發展 = 111
    • 第2節 現代經營學의 諸學派 = 113
    • 1. 쿤즈에 의한 分類 = 113
    • (1) 經營活動學派 = 114
    • (2) 經驗學派 = 114
    • (3) 人間行動學派 = 114
    • (4) 社會體系學派 = 115
    • (5) 意思決定論學派 = 115
    • (6) 數理學派 = 115
    • 2. 헤인즈와 매시에 의한 分類 = 116
    • 3. 메스콘, 알베르트와 케두리에 의한 分類 = 117
    • 第1部 練習問題 = 119
    • 第2部 企業理論
    • 第4章 企業形態論
    • 第1節 企業形態의 分類 = 123
    • 1. 個人企業 = 124
    • 2. 人的共同企業 = 125
    • (1) 合名會社 = 125
    • (2) 合資會社 = 125
    • (3) 有限會社 = 126
    • (4) 民法上의 組合 = 127
    • (5) 匿名組合 = 127
    • 3. 資本的 共同企業 = 127
    • (1) 株式會社 = 127
    • (가) 株式會社의 意義 = 127
    • (나) 株式會社의 特徵 = 128
    • (다) 株式會社의 設立節次 = 130
    • (라) 株式會社의 機關 = 132
    • (마) 株式大衆化와 企業公開 = 133
    • (2) 協同組合 = 134
    • (가) 協同組合의 意義 = 134
    • (나) 協同組合의 特徵 = 135
    • (다) 協同組合의 指導原則 = 135
    • (라) 協同組合의 形態 = 136
    • 4. 公企業 = 138
    • (1) 公企業의 存在理由 = 138
    • (가) 經濟政策的 目的 = 138
    • (나) 財政政策的 目的 = 138
    • (다) 社會政策的 目的 = 139
    • (라) 公共政策的 目的 = 139
    • (마) 其他의 目的 = 139
    • (2) 公企業의 種類 = 139
    • (가) 純粹行政企業 = 139
    • (나) 獨立公企業 = 139
    • (다) 獨立經濟體로서의 公企業 = 139
    • (라) 私法形態의 公企業 = 140
    • (3) 우리나라 公企業의 類型(政府管理企業體) = 140
    • (4) 公企業의 經營과 獨立採算制 = 141
    • (가) 獨立採算制의 意義 = 141
    • (나) 獨立採算制의 原則 = 141
    • (다) 公企業의 長短點 = 142
    • (5) 公益企業 = 143
    • 第2節 企業集中 = 144
    • 1. 企業集中의 意義와 目的 = 144
    • (1) 企業集中의 意義 = 144
    • (2) 企業集中의 目的 = 144
    • 2. 企業集中의 形態 = 145
    • (1) 칼텔(企業聯合)
    • (가) 칼텔의 意義 = 145
    • (나) 칼텔의 種類 = 146
    • (다) 販賣칼텔 = 146
    • (라) 購賣칼텔 = 146
    • (마) 生産칼텔 = 147
    • (2) 트러스트(企業合同) = 147
    • (3) 콘체른 = 148
    • (가) 콘체른의 意義 = 148
    • (나) 持株會社 = 149
    • 3. 企業集中과 法的規制 = 150
    • 第3節 企業의 集團化 = 151
    • 1. 企業集團化의 意義 = 151
    • 2. 컴비나트의 意義와 要件 = 151
    • (1) 컴비나트의 意義 = 151
    • (2) 컴비나트의 要件 = 152
    • 3. 工業團地의 意義와 類型 = 152
    • (1) 工業團地의 意義 = 152
    • (2) 工業團地의 類型 = 152
    • 4. 콩글로메리트 = 153
    • 第5章 企業의 規模와 立地
    • 第1節 企業의 規模 = 155
    • 1. 企業規模의 意義와 最適規模 = 155
    • 2. 最適操業度에 의한 最適規模 = 156
    • 3. 最有利操業度에 의한 最適規模 = 157
    • 4. 大企業과 中小企業 = 158
    • 5. 中小企業의 育成方案 = 159
    • (1) 中小企業의 系列化 = 159
    • (2) 中小企業의 協業化 = 159
    • (3) 生産의 專門化 = 160
    • (4) 經營管理體制의 整備 = 160
    • (5) 政府의 制度的 支援 = 160
    • 第2節 企業의 立地 = 161
    • 1. 企業立地의 意義 = 161
    • 2. 立地因子의 種類 = 162
    • 3. 企業立地의 選定과 節次 = 162
    • (1) 企業立地要因의 檢討 = 162
    • (2) 企業立地選定 節次 = 163
    • 第6章 企業의 創設과 成長, 解體
    • 第1節 企業의 創設 = 165
    • 1. 企業의 創設節次 = 165
    • (1) 豫想市場과 製品의 分析 = 165
    • (2) 事業 및 經濟狀況의 分析과 豫測 = 166
    • (3) 企業活動의 目標와 範圍의 決定 = 166
    • (4) 製品의 設計 = 166
    • (5) 企業規模의 決定 = 166
    • (6) 立地의 選定 = 167
    • (7) 部品의 自體生産 혹은 外注의 決定 = 167
    • (8) 工程, 施設 및 建物의 選定과 配置 = 167
    • (9) 所要資金 및 豫想利益의 決定과 資金調整計劃의 立案 = 167
    • (10) 組織構造의 設定과 充員 = 167
    • (11) 事業開始 = 168
    • 第2節 企業의 成長 = 168
    • 1. 企業의 成長戰略 = 168
    • 2. 多角化 = 170
    • 3. 合倂 = 170
    • 第3節 企業의 解體 = 171
    • 1. 企業의 疾病 = 171
    • (1) 純利益의 不足 = 171
    • (2) 在庫資産過大投資 = 172
    • (3) 賣出債權에 대한 過大投資 = 173
    • (4) 固定資産에 의 過大投資 = 173
    • (5) 資本不足 = 174
    • 2. 企業破産의 原因 = 176
    • (1) 美國의 企業改善局의 調査 = 176
    • (2) 던 앤드 브래드스트리트會社의 報告書 = 176
    • (3) 우드럽에 의한 企業破産의 例 = 178
    • 3. 會社의 解散과 節次 = 179
    • (1) 解散事由 = 179
    • (2) 會社의 淸算 = 180
    • 第2部 練習問題 = 181
    • 第3部 企業環境과 企業家論
    • 第7章 現代企業과 環境
    • 第1節 企業環境과 經濟시스템 = 185
    • 1. 企業의 環境要因 = 185
    • 2. 企業環境과 經濟시스템 = 186
    • (1) 人口 = 187
    • (2) 賦存資源 = 187
    • (3) 國民所得 = 188
    • (4) 市場의 形態 = 189
    • (5) 物價動向 = 189
    • (6) 景氣動向 = 190
    • 第2節 企業環境과 技術·法律·倫理 및 社會 = 190
    • 1. 企業環境과 技術 = 190
    • (1) 技術開發의 必要性 = 190
    • (2) 技術水準이 낮은 理由 = 191
    • (3) 現代企業과 技術革新 = 191
    • (4) 技術開發을 위한 方案 = 192
    • 2. 企業環境과 法律 = 193
    • (1) 法律의 本質과 經營 = 193
    • (2) 企業과 法律 = 195
    • (3) 企業法의 範圍 = 195
    • (가) 契約 = 195
    • (나) 財産 = 196
    • (다) 代理人 = 196
    • (라) 支給手段 = 197
    • 3. 企業經營과 倫理 = 197
    • (1) 企業倫理의 意義 = 197
    • (2) 企業倫理基準의 設定 = 198
    • 4. 企業環境과 社會 = 199
    • (1) 社會시스템으로서의 企業 = 199
    • (2) 對境集團 = 199
    • 5. 企業과 政府의 政策 = 200
    • 第8章 經營者의 社會的 責任
    • 第1節 現代企業의 特性과 經營主體 = 201
    • 第2節 經營者의 社會的 責任 = 202
    • 1. 社會的 責任의 根據 = 202
    • (1) 市場의 不完全性 = 202
    • (2) 外部不經濟 = 203
    • (3) 最低市民權의 保障 = 203
    • 2. 社會的 責任의 倫理的 側面 = 205
    • (1) 社會的 責任에 관한 두가지 理論 = 205
    • (가) 否定論 = 206
    • (나) 肯定論 = 207
    • (다) 앞으로의 展望 = 207
    • 第3節 企業의 社會的 責任과 公衆關係 = 209
    • 1. 現代企業의 社會的 責任 = 209
    • (1) 利害者集團에 대한 利害調整責任 = 210
    • (2) 地域社會에 대한 責任 = 210
    • (3) 從業員의 人間的 滿足에 대한 責任 = 211
    • (4) 顧客에 대한 極大滿足의 實現 = 211
    • (5) 政府에 대한 責任履行의 充實 = 212
    • (6) 債權者, 기타 原料供給者에 대한 責任 = 212
    • (7) 後繼者의 育成責任 = 212
    • (8) 企業維持·存續 및 發展에 대한 責任 = 213
    • 2. 現代企業과 公衆關係 = 213
    • 3. 社會監査 = 214
    • (1) 意義 = 214
    • (2) 社會監査의 追進 = 214
    • 第9章 産業化와 公害問題
    • 第1節 産業化와 公害管理 = 216
    • (1) 人口의 增加와 都市集中 = 217
    • (2) 産業構造의 變化 = 217
    • (3) 環境破壞的 技術의 發展 = 217
    • (4) 産業의 都市集中 = 218
    • 第2節 環境汚染의 類型 = 218
    • 1. 大氣汚染 = 218
    • 2. 水質汚染 = 219
    • 第3節 公害管理의 接近方法 = 220
    • 1. 普遍的인 方法 = 220
    • (1) 經濟的 接近方法 = 220
    • (2) 制度的 接近方法 = 221
    • (3) 技術變化에 의한 接近方法 = 222
    • (4) 計劃的인 接近方法 = 222
    • 2. 生態學的인 方法 = 223
    • (1) 監督的 戰略 = 223
    • (2) 再生的 戰略 = 224
    • 第4節 經營者의 環境改善責任 = 224
    • 1. 環境改善에 대한 壓力 = 224
    • (1) 住民運動의 활발화 = 225
    • (2) 社會團體의 압력 = 225
    • (3) 勞動組合의 압력 = 225
    • 2. 環境改善을 위한 努力 = 226
    • 3. 環境改善과 保全을 위한 會計 = 228
    • 第10章 企業家精神과 經營人的資源
    • 第1節 企業家와 企業家精神 = 229
    • 1. 企業家의 特性 = 229
    • 2. 企業家精神과 企業家機能 = 231
    • (1) 나이트, 슘페터, 그리고 스미스의 見解 = 231
    • (2) 마샬의 見解 = 232
    • (3) 테일러와 人間關係論의 見解 = 233
    • 第2節 企業經營과 危險負擔 = 234
    • 1. 危險負擔의 意義 = 234
    • 2. 企業經營과 危險要因 = 235
    • 3. 危險管理의 方案 = 236
    • 4. 危險管理와 保險 = 237
    • 第3節 技術革新과 新製品開發 = 239
    • 1. 技術革新의 意義 = 239
    • 2. 新製品開發과 硏究開發 = 239
    • 3. 新製品開發과 開發戰略 = 240
    • 第4節 現代企業과 組織設立者 = 241
    • 1. 組織設立者의 意義 = 241
    • 2. 組織設立者의 特性 = 242
    • 第5節 經營者의 養成 = 243
    • 1. 經營者養成의 必要性 = 243
    • 2. 經營者養成을 위한 諸方案 = 244
    • (1) 經營人的資源에 대한 最小限度의 投資 = 245
    • (2) 外國投資에 의한 高水準의 人間資源 = 245
    • (3) 外國으로부터의 高次的 知能人力의 輸入 = 246
    • (4) 自國民의 海外留學 = 246
    • (5) 國內에서의 有能한 人材養成 = 246
    • 3. 各國의 經營人的資源育成의 例 = 247
    • 第3部 練習問題 = 248
    • 第4部 經營機能論
    • 第11章 財務管理機能
    • 第1節 經營管理에 대한 接近方法 = 251
    • 第2節 財務管理의 本質 = 252
    • 1. 財務管理의 意義 = 252
    • 2. 財務管理의 機能 = 252
    • 3. 財務的 意思決定의 基準 = 253
    • 4. 財務擔當組織 = 255
    • 第3節 資本의 運用 = 256
    • 1. 資本豫算 = 256
    • (1) 資本豫算의 意義 = 256
    • (2) 投資案의 經濟性 評價方法 = 257
    • (3) 危險下에서 投資案評價 = 259
    • 2. 運轉資本管理 = 260
    • (1) 運轉資本管理의 意義 = 260
    • (2) 運轉資本管理의 目標 = 261
    • (3) 現金管理 = 262
    • (4) 有價證券管理 = 263
    • (5) 賣出債權管理 = 264
    • (6) 在庫資産管理 = 265
    • 第4節 資本의 調達 = 267
    • 1. 長期資本의 調達 = 268
    • (1) 證券市場 = 268
    • (가) 證券市場의 意義 = 268
    • (나) 發行市場 = 268
    • (다) 流通市場 = 269
    • (2) 普通株 = 270
    • (가) 普通株의 意義 = 270
    • (나) 普通株의 發行 = 270
    • (다) 普通株의 種類 = 271
    • (라) 普通株發行의 長·短點 = 271
    • (3) 優先株 = 272
    • (가) 優先株의 意義 = 272
    • (나) 優先株의 種類 = 272
    • (다) 優先株發行의 長·短點 = 273
    • (4) 社債 = 273
    • (가) 社債의 意義 = 273
    • (나) 社債의 種類 = 273
    • (다) 社債發行의 長·短點 = 274
    • (5) 自己金融 = 275
    • (6) 銀行의 長期借入金 = 276
    • 2. 短期資本의 調達 = 276
    • (1) 銀行借入 = 276
    • (2) 買入債務 = 276
    • (3) 企業어음 = 277
    • (4) 리스金融 = 277
    • 3. 資本費用과 資本構造 = 278
    • (1) 資本費用의 意義 = 278
    • (2) 源泉別 資本費用 = 278
    • (가) 他人資本費用 = 278
    • (나) 普通株費用 = 279
    • (다) 優先株費用 = 280
    • (라) 留保利益의 資本費用 = 280
    • (3) 加重平均資本費用 = 280
    • (4) 資本構造와 財務危險 = 281
    • (가) 資本構造의 意義 = 281
    • (나) 他人資本과 財務危險 = 282
    • (다) 財務레버리지效果 = 282
    • (5) 資本構造에 관한 諸理論 = 284
    • (가) 純利益接近法 = 284
    • (나) 純營業利益接近法 = 285
    • (다) 傳統的接近法 = 285
    • (6) 資本構造의 決定要因 = 286
    • (가) 企業成長率 = 286
    • (나) 賣出量의 安定性 = 286
    • (다) 經營者의 態度 = 286
    • (라) 債權者의 態度 = 286
    • (마) 競爭狀態 = 287
    • (바) 資産의 構成 = 287
    • 第5節 配當政策 = 287
    • 1. 配當政策의 意義 = 287
    • 2. 配當政策에 관한 諸理論 = 288
    • 3. 企業의 配當政策決定要因 = 289
    • (1) 配當의 安定化 = 289
    • (2) 法律上의 制約 = 289
    • (3) 企業의 流動性 = 290
    • (4) 企業의 成長可能性 = 290
    • (5) 企業의 收益力 = 290
    • (6) 社債權者의 配當制約 = 290
    • (7) 企業의 支配權 = 291
    • (8) 借入能力 = 291
    • 4. 配當의 種類 = 291
    • 第6節 經營分析 = 292
    • 1. 經營分析의 意義 = 292
    • 2. 經營分析의 目的 = 292
    • 3. 財務諸表 = 293
    • (1) 貸借對照表 = 293
    • (2) 損益計算書 = 293
    • 4. 財務比率의 種類 = 294
    • (1) 流動性比率 = 294
    • (2) 레버리지比率 = 294
    • (3) 活動性比率 = 295
    • (4) 收益性比率 = 295
    • 第12章 生産管理機能
    • 第1節 生産의 意義와 形態 = 297
    • 1. 生産의 意義 = 297
    • 2. 生産의 形態 = 298
    • (1) 技術的 特性에 따른 分類 = 298
    • (가) 採取生産 = 298
    • (나) 組立生産 = 298
    • (다) 裝置生産 = 298
    • (2) 製品의 市場特性에 따른 分類 = 299
    • (가) 注文生産 = 299
    • (나) 市場生産 = 299
    • (3) 工程管理上의 特性에 따른 分類 = 299
    • (가) 個別生産 = 299
    • (나) 組別 또는 롯트生産 = 299
    • (다) 大量生産 = 299
    • 第2節 生産管理의 原則과 機能 = 300
    • 1. 生産管理의 合理化 原則 = 300
    • (1) 標準化 = 300
    • (2) 單純化 = 300
    • (3) 專門化 = 301
    • 2. 生産管理의 機能 = 302
    • (1) 生産計劃·執行 및 統制機能 = 302
    • (2) 工場의 規模 및 立地維持機能 = 302
    • (3) 設備配置 및 構造維持機能 = 303
    • (4) 設備選擇과 代替機能 = 303
    • (5) 設備保全機能 = 303
    • (6) 作業方法과 標準設定機能 = 304
    • (7) 品質管理 및 檢査機能 = 304
    • (8) 在庫管理의 機能 = 304
    • (9) 原價管理機能 = 305
    • 第3節 工程管理 = 305
    • 1. 工程管理의 意義 = 305
    • 2. 工程管理의 機能 = 306
    • (1) 工程計劃 = 306
    • (2) 日程計劃 = 306
    • (3) 作業分配 = 307
    • (4) 進行統制 = 307
    • 3. 工程間의 均衡 = 308
    • 第4節 PERT技法에 의한 工程計劃 = 309
    • 1. PERT의 意義와 發展 = 309
    • (1) PERT의 意義 = 309
    • (2) PERT의 發展 = 310
    • 2. Network Diagram의 構成原理 = 310
    • 3. PERT의 種類 = 311
    • 第5節 品質管理 = 312
    • 1. 品質管理의 發展 = 312
    • (1) 統計的 品質管理의 發展 = 312
    • (2) 統合的 品質管理의 發展 = 313
    • (3) 品質管理서클 = 313
    • 2. 品質管理의 意義와 本質 = 314
    • (1) 品質의 意義 = 314
    • (2) 品質管理의 本質 = 315
    • 3. 管理圖法 = 317
    • (1) 管理圖法의 性格 = 317
    • (2) 管理圖法의 種類 = 317
    • 第13章 마케팅 機能
    • 第1節 마케팅의 意義와 特性 = 319
    • 1. 마케팅의 重要性 = 319
    • 2. 마케팅의 意義 = 320
    • 3. 現代마케팅의 特性 = 321
    • 第2節 마케팅環境 = 322
    • 1. 하워드의 마케팅環境論 = 322
    • 2. 맥카시의 마케팅環境論 = 323
    • 第3節 마케팅의 諸機能 = 324
    • 1. 市場調査 = 325
    • (1) 市場調査의 一般的 特性 = 325
    • (2) 市場調査의 內容 = 325
    • 2. 販賣 = 327
    • (1) 販賣의 一般的 性格 = 327
    • (2) 販賣政策의 樹立 = 328
    • 3. 製品 = 330
    • (1) 製品의 一般的 特性 = 330
    • (2) 製品政策의 內容 = 331
    • 4. 價格 = 333
    • (1) 價格決定의 目標 = 333
    • (2) 價格決定의 方式 = 333
    • (가) 原價加算 價格決定法 = 333
    • (나) 需要中心 價格決定法 = 333
    • (다) 競爭中心 價格決定法 = 333
    • (3) 價格政策의 樹立과 그 戰略要因 = 334
    • (가) 디스카운트 = 334
    • (나) 地域的 價格政策 = 334
    • 5. 마케팅經路 = 336
    • (1) 마케팅經路의 一般的 性格 = 336
    • (2) 마케팅經路의 政策 = 337
    • (3) 販賣系列化 = 338
    • 第4節 製品差別化와 市場細分化 = 339
    • 第5節 消費者의 購買行動과 動機 = 340
    • 第6節 컨슈머리즘과 社會指向的 마케팅 = 342
    • 1. 컨슈머리즘의 意義 = 342
    • 2. 컨슈머리즘이 發生되는 理由 = 342
    • (1) 消費者不滿에 대한 反應 = 343
    • (2) 消費者와 消費者團體의 反應 = 343
    • (3) 政府의 反應 = 343
    • (4) 企業의 反應 = 344
    • 第4部 練習問題 = 345
    • 第5部 經營過程論
    • 第14章 管理過程論
    • 第1節 管理過程의 意義와 內容 = 349
    • 1. 管理過程의 意義 = 349
    • 2. 管理過程의 構成 = 350
    • 3. 管理過程의 內容 = 352
    • (1) 計劃 = 352
    • (2) 組織 = 353
    • (3) 充員 = 353
    • (4) 指揮 = 354
    • (5) 統制 = 354
    • 4. 管理의 過程과 經營層 = 355
    • 第2節 經營管理의 內容 = 355
    • 第15章 計劃過程論
    • 第1節 經營計劃의 槪念 = 357
    • 1. 經營計劃의 意義 = 357
    • 2. 經營計劃의 性格 = 359
    • (1) 目標寄與性 = 359
    • (2) 計劃優位性 = 359
    • (3) 計劃의 普遍性 = 360
    • (4) 計劃의 能率性 = 360
    • 3. 經營計劃의 樹立段階 = 360
    • (1) 一般的인 見解에 따른 단계 = 360
    • (가) 目標의 선정 = 361
    • (나) 目標의 상호주지 = 361
    • (다) 前提의 확인 = 362
    • (라) 資源의 調査 = 363
    • (마) 方針의 수립 = 363
    • (바) 代案의 選擇과 實行 = 364
    • (사) 節次와 規則의 制定 = 364
    • (아) 豫算의 編成 = 365
    • (자) 時間表의 作成 = 366
    • (차) 標準의 設定 = 366
    • (2) 具體的인 見解에 따른 단계 = 367
    • (가) 組織의 召命과 目標를 수립한다 = 367
    • (나) 目標達成을 위한 전략과 방침의 수립 = 368
    • (다) 中短基計劃의 수립 = 369
    • (라) 개개 計劃의 수행을 위한 상세한 節次를 記述 = 369
    • 4. 經營計劃의 種類 = 370
    • (1) 個別計劃과 期間計劃 = 371
    • (2) 計劃의 幅에 따른 類型 = 371
    • (가) 目標 = 371
    • (나) 方針 = 371
    • (다) 節次 = 372
    • (라) 規程 = 372
    • (마) 實行計劃 = 373
    • (바) 豫算 = 373
    • (사) 戰略 = 373
    • 5. 結果를 얻을 수 있는 活動計劃의 樹立 = 374
    • (1) 經營者와 活動計劃의 樹立 = 374
    • (2) 活動計劃의 具體化方案 = 375
    • 6. 失敗의 10가지 理由 = 376
    • 7. 計劃과 管理의 階層 = 377
    • 第2節 長期經營計劃 = 379
    • 1. 長期經營計劃의 意義 = 379
    • 2. 長期經營計劃의 內容 = 379
    • (1) 長期的 目標의 수립 = 379
    • (2) 長期經營計劃樹立을 위한 기본전제 = 380
    • (3) 長期計劃의 실행을 위한 部分計劃 = 380
    • (4) 長期의 個別計劃 = 381
    • 3. 長期經營計劃의 樹立段階 = 381
    • (1) 會社의 現狀에 대한 分析 = 381
    • (2) 外部環境에 대한 豫測 = 381
    • (3) 戰略的 要因의 分析 = 382
    • (4) 長期計劃의 目標와 方針樹立 = 382
    • (5) 新規事業計劃 = 382
    • (6) 基本計劃 = 382
    • (7) 生産要素의 計劃 = 382
    • (8) 利益計劃과 綜合調整 = 383
    • (9) 實行計劃 = 383
    • 4. 長期經營計劃과 戰略的 計劃 = 383
    • 第3節 組織目標와 目標管理 = 384
    • 1. 組織目標의 管理 = 384
    • (1) 組織目標의 一般的 性格 = 384
    • (2) 組織目標의 重要性 = 384
    • (3) 組織에 있어서의 目標의 類型 = 385
    • (4) 組織目標의 具體的 內容 = 386
    • (5) 組織目標의 樹立 = 387
    • (6) 組織目標設定時의 基本指針 = 390
    • (7) 組織目標成就의 基本節次 = 390
    • 2. 目標管理 = 391
    • (1) 目標管理의 두 가지 側面 = 391
    • (가) 利益管理的 側面 = 391
    • (나) 人力管理的 側面 = 393
    • (2) MBO의 過程 = 395
    • (가) 豫備目標의 樹立 = 395
    • (나) 組織構成單位別 役割의 明示 = 395
    • (다) 下位目標의 樹立 = 395
    • (라) 目標와 資源 = 396
    • (마) 實行 및 評價 = 396
    • (바) 再循環過程 = 396
    • (3) 目標樹立을 위한 具體的 配慮事項 = 396
    • (4) MBO의 障碍要因 = 397
    • (5) MBO의 活性化方案 = 397
    • (6) MBO의 效果와 限界 = 398
    • (가) 效果 = 398
    • (나) 限界 = 398
    • 第16章 意思決定 및 經營戰略論
    • 第1節 意思決定論 = 399
    • 1. 意思決定의 重要性 = 399
    • 2. 意思決定의 意義와 過程 = 400
    • (1) 意義 = 400
    • (2) 過程 = 400
    • (3) 意思決定의 特性 = 402
    • 3. 意思決定을 위한 理論模型 = 403
    • (1) 合理模型 = 403
    • (2) 滿足水準의 模型 = 404
    • (3) 增分模型 = 404
    • (4) 最適模型 = 404
    • (5) 結合機會追求型模型 = 404
    • 4. 意思決定行爲의 合理性 = 404
    • 5. 經營意思決定의 形態 = 405
    • (1) 基本的 意思決定과 日常的 意思決定 = 406
    • (2) 定型的 意思決定과 非定型的 意思決定 = 406
    • (3) 確實性下, 危險性下의 意思決定과 不確實性下의 意思決定 = 406
    • (4) 業務的·管理的·戰略的 意思決定 = 407
    • (가) 業務的 意思決定 = 407
    • (나) 管理的 意思決定 = 408
    • (다) 戰略的 意思決定 = 409
    • 6. 經營意思決定의 技法 = 409
    • (1) 傳統的 經營意思決定技法 = 409
    • (2) 近代의 計量的 意思決定技法 = 410
    • (가) 數學的 意思決定技法 = 411
    • (나) OR 意思決定技法 = 412
    • (다) 豫想되는 새로운 意思決定技法 = 415
    • 7. 行動科學的 意思決定論 = 417
    • (1) 複雜性 = 417
    • (2) 意思決定의 오픈 시스템 모델 = 418
    • (3) 個人的 意思決定 = 419
    • (4) 集團的 意思決定 = 420
    • 第2節 經營戰略 = 422
    • 1. 現代經營과 戰略槪念의 必要性 = 422
    • 2. 經營戰略의 意義 = 423
    • 3. 經營戰略의 基本前提 = 425
    • (1) 特定의 製品市場範圍 = 425
    • (2) 成長벡터 = 425
    • (가) 市場浸透 = 426
    • (나) 市場開拓 = 426
    • (다) 製品開發 = 426
    • (라) 多角化 = 426
    • 4. 經營戰略의 樹立과 情報 = 428
    • (1) 머딕과 로스에 의한 戰略樹立의 管理 = 428
    • (2) 캐샤프에 의한 戰略樹立의 管理 = 428
    • (3) 앤토니에 의한 戰略樹立의 管理 = 429
    • 第17章 利益 및 豫算管理
    • 第1節 利益管理 = 430
    • 1. 利益管理의 意義 = 430
    • 2. 利益計劃 = 431
    • 3. 目標利益 = 432
    • (1) 經營資本利益率에 의한 方法 = 433
    • (2) 配當性向·配當率에 의한 方法 = 433
    • (3) 內部留保額에 의한 方法 = 435
    • 第2節 豫算管理 = 435
    • 1. 豫算管理의 意義 = 435
    • 2. 豫算管理의 體系 = 436
    • 3. 豫算管理의 節次 = 437
    • 4. 豫算管理의 效果와 限界 = 438
    • 第18章 組織過程論
    • 第1節 組織의 意義와 重要性 = 441
    • 1. 組織의 重要性 = 441
    • 2. 組織의 意義 = 442
    • 第2節 組織의 要素와 原則 = 443
    • 1. 組織의 要素 = 443
    • (1) 部門化 = 443
    • (2) 職務의 割當 = 444
    • (3) 權限의 割當 = 444
    • (4) 責任의 確定 = 444
    • (5) 職位 = 444
    • 2. 組織形成의 原則 = 444
    • (1) 專門化의 原則 = 444
    • (2) 責任과 權限의 原則 = 445
    • (3) 監督限界의 原則 = 445
    • (4) 職能化의 原則 = 446
    • (5) 命令一元化의 原則 = 446
    • (6) 權限委讓의 原則 = 447
    • (7) 調整의 原則 = 447
    • 第3節 經營管理機能과 經營管理階層 = 448
    • 1. 經營管理機能-라인과 스탭 = 448
    • 2. 經營管理階層 = 449
    • (1) 經營層의 構成 = 449
    • (2) 最高經營層의 構成과 機能 = 450
    • (가) 受託經營層 = 450
    • (나) 總括經營層 = 451
    • (다) 部門管理層 = 451
    • 第4節 組織構造의 形態 = 451
    • (1) 라인 組織 = 451
    • (2) 職能式組職 = 452
    • (3) 라인 앤드 스탭組織 = 452
    • (4) 委員會組織 = 453
    • (5) 프로젝트組織 = 453
    • (6) 事業部制組織 = 454
    • (7) 매트릭스組織 = 454
    • (8) 管理者不在組織 = 455
    • 第5節 效果的인 組織化의 요체 = 455
    • 第19章 充員過程論
    • 第1節 充員의 意義와 機能 = 457
    • 1. 充員의 意義 = 457
    • 2. 充員의 機能 = 458
    • 第2節 職務特性의 分析 = 458
    • 1. 職務分析 = 458
    • (1) 職務分析의 意義 = 458
    • (2) 職務分析의 目的 = 459
    • (3) 職務分析의 內容 = 459
    • (4) 職務分析의 方法 = 459
    • (가) 觀察法 = 459
    • (나) 面接法 = 459
    • (다) 質問紙法 = 460
    • (라) 從前의 職務記述書 檢討 = 460
    • (마) 作業資料의 檢討 = 460
    • (바) 經驗法 = 460
    • (사) 臨床的 方法 = 460
    • (아) 硏究證據의 活用 = 460
    • 2. 職務記述書와 職務明細書의 作成 = 460
    • 3. 職務評價 = 461
    • (1) 職務評價의 意義 = 461
    • (2) 職務評價의 方法 = 461
    • (가) 序列法 = 461
    • (나) 分類法 = 461
    • (다) 點數法 = 461
    • (라) 要素比較法 = 462
    • 第3節 從業員特性의 分析 = 462
    • 1. 心理테스트 = 462
    • 2. 職業適性테스트 = 463
    • (1) 速度테스트 = 463
    • (2) 힘 테스트 = 463
    • (3) 紙筆테스트 = 463
    • (4) 業績테스트 = 464
    • (5) 適性檢査 = 464
    • (6) 成就테스트 = 464
    • 第4節 採用管理의 節次 = 464
    • 1. 採用基準의 合理的 設定 = 465
    • 2. 從業員의 合理的 選拔 = 466
    • (1) 經驗的 方法 = 466
    • (2) 科學的인 方法 = 466
    • (3) 折哀的 方法 = 466
    • 第5節 人事考課 = 466
    • 1. 人事考課의 意義 = 466
    • 2. 人事考課의 方法 = 467
    • (1) 序列法 = 467
    • (2) 對照리스트法 = 467
    • (3) 評定尺度法 = 467
    • 3. 人事考課의 限界 = 469
    • (1) 後光效果 = 469
    • (2) 中心化傾向 = 470
    • (3) 寬大化傾向 = 470
    • 第6節 人事異動과 敎育 = 470
    • 1. 人事異動의 目的과 形態 = 470
    • (1) 人事異動의 目的 = 470
    • (2) 人事異動의 形態 = 471
    • (가) 生産에 따른 異動 = 471
    • (나) 配置轉換을 위한 異動 = 471
    • (다) 萬能工 養成을 위한 異動 = 471
    • (라) 交代勤務를 위한 異動 = 471
    • (마) 救濟的 異動 = 471
    • 2. 敎育訓練의 意義와 方法 = 471
    • (1) 敎育訓練의 意義 = 471
    • (2) 敎育訓練의 方法 = 472
    • (가) 講義式方法 = 472
    • (나) 會義式方法 = 472
    • (다) 事例硏究法 = 472
    • (라) 實演 = 472
    • (마) 役割演技法 = 472
    • (바) 感受性訓練 = 472
    • (사) 브레인스토오밍 = 473
    • 第7節 賃金管理 = 473
    • 1. 賃金管理의 目標와 重要性 = 473
    • (1) 賃金管理의 重要性 = 473
    • (2) 賃金管理의 目標 = 474
    • 2. 賃金水準과 構造 = 475
    • (1) 全般的 賃金水準 = 475
    • (가) 全般的 賃金水準의 意義 = 475
    • (나) 全般的 賃金水準의 決定要因 = 475
    • (2) 垂直的 賃金構造 = 475
    • 3. 賃金인센티브 = 476
    • (1) 單純成果給制 = 476
    • (2) 時間標準給制 = 476
    • (3) 集團奬勵給制 = 476
    • 4. 公共政策과 報償 = 476
    • (1) 公正勞動基準法 = 477
    • (2) 데이비스-베이컨法 = 477
    • (3) 월쉬-힐리法 = 477
    • 第8節 勞使關係管理 = 477
    • 1. 勞使關係의 意義 = 477
    • 2. 勞動組合 = 478
    • (1) 勞動組合의 意義 = 478
    • (2) 勞動組合의 種類 = 478
    • (가) 職業別 勞動組合 = 478
    • (나) 産業別 勞動組合 = 478
    • (다) 一般勞動組合 = 478
    • 3. 勞動組合에의 加入方法 = 478
    • (1) 클로즈드숍制 = 478
    • (2) 오픈숍制 = 479
    • (3) 유니온숍制 = 479
    • 4. 勞使協議制度 = 479
    • (1) 從業員 經營參加制度 = 479
    • (가) 共同決定法 = 480
    • (나) 經營組織法 = 480
    • (2) 經營協議制度 = 480
    • (가) 英國의 Whitely委員會 = 480
    • (나) 美國의 從業員代表制 = 481
    • 第20章 指揮過程論
    • 第1節 指揮의 意義 = 482
    • 第2節 모티베이션 = 483
    • 1. 從業員의 行動誘發과 動機賦與 = 483
    • 2. 모티베이션의 要因 = 484
    • 3. 모티베이션의 理論 = 484
    • (1) 매슬로우의 欲求階層理論 = 485
    • (2) 허즈버어크의 모티베이션에 관한 兩要因理論 = 485
    • (3) 포터와 로울러의 모티베이션 모델 = 487
    • 第3節 커뮤니케이션 = 488
    • 1. 커뮤니케이션의 意義 = 488
    • 2. 커뮤니케이션의 原則 = 488
    • 3. 커뮤니케이션의 네트윅 = 489
    • 4. 커뮤니케이션의 種類 = 490
    • (1) 톱-다운型 = 490
    • (2) 보톰-업型 = 490
    • (3) 사이드워드型 = 491
    • 5. 커뮤니케이션의 障害要因 = 491
    • 6. 커뮤니케이션의 改善方案 = 492
    • 第4節 리이더쉽 = 493
    • 1. 리이더쉽의 意義 = 493
    • 2. 리이더쉽의 主要理論 = 494
    • (1) 맥그레거의 X·Y理論 = 494
    • (2) 아지리스의 成熟-未成熟理論 = 494
    • (3) 리커트의 管理시스템理論 = 495
    • 3. 리이더쉽의 패턴 = 496
    • 第5節 集團管理 = 501
    • 1. 集團管理의 重要性과 課題 = 501
    • 2. 高度로 效率的인 集團의 特徵 = 503
    • 第21章 統制過程論
    • 第1節 統制의 意義와 過程 = 506
    • 1. 統制의 意義 = 506
    • 2. 基本的인 統制過程 = 507
    • (1) 標準의 設定 = 507
    • (2) 成果의 測定 = 507
    • (3) 偏差의 是正 = 507
    • (4) 사이버네틱스 시스템으로서의 統制 = 508
    • 第2節 統制의 要件 = 509
    • 1. 統制의 諸要件 = 509
    • (1) 職務特性을 반영하는 統制 = 509
    • (2) 偏差를 신속히 報告해 줄 수 있는 統制 = 509
    • (3) 未來指向的인 統制 = 510
    • (4) 例外의 點을 체크할 수 있는 統制 = 510
    • (5) 目標指向的인 統制 = 510
    • (6) 流動的인 統制 = 510
    • (7) 經濟的인 統制 = 510
    • (8) 理解가 可能한 統制 = 511
    • (9) 정확한 是正措置가 可能한 統制 = 511
    • 2. 未來를 豫測하는 統制의 過程 = 511
    • (1) 統制過程의 사이클링化 = 511
    • (2) 有效한 統制를 저해하는 要因 = 512
    • (3) 有效한 統制의 主要技法 = 512
    • 第3節 統制機構로서의 豫算 = 513
    • 1. 豫算統制의 意義 = 513
    • 2. 主要한 標準의 類型 = 514
    • (1) 物的인 標準 = 514
    • (2) 原價標準 = 514
    • (3) 資本標準 = 514
    • (4) 收入標準 = 514
    • (5) 計劃標準 = 515
    • 3. 豫算의 編成 = 515
    • 4. 豫算의 執行 = 515
    • 5. 豫算差異分析 = 516
    • 6. 豫算統制의 利點과 限界 = 517
    • (1) 豫算統制의 利點 = 517
    • (2) 豫算統制의 限界 = 517
    • 第4節 非豫算統制 = 518
    • 1. 損益分岐點分析 = 518
    • 2. 損益分岐點의 算出方法 = 519
    • (1) 公式法 = 519
    • (2) 圖表法 = 521
    • (3) 內部監査 = 522
    • 第22章 情報管理論
    • 第1節 情報管理의 諸特性 = 524
    • 1. 情報의 本質 = 524
    • (1) 情報의 適切性 = 525
    • (2) 情報의 質 = 526
    • (3) 情報의 時宜性 = 526
    • (4) 情報의 量 = 526
    • 第2節 情報活用과 컴퓨터 = 527
    • 1. 컴퓨터의 意義와 價値 = 527
    • 2. 컴퓨터의 主要機能 = 527
    • (1) 投入機能 = 528
    • (2) 貯藏機能 = 528
    • (3) 處理의 機能 = 528
    • (4) 統制의 機能 = 528
    • (5) 産出機能 = 528
    • 第3節 經營情報시스템 = 529
    • 1. MIS의 意義 = 529
    • 2. MIS의 運營 = 529
    • 3. MIS의 改善 = 530
    • 第5部 練習問題 = 531
    • 第6部 國際經營과 企業의 未來
    • 第23章 企業의 國際化와 多國籍企業
    • 第1節 企業의 國際化段階 = 535
    • 1. 商品輸出 = 536
    • 2. 技術輸出 = 536
    • (1) 노우 하우와 特許의 區別 = 538
    • (2) 노우 하우의 契約事項과 노우 하우料의 受納方法 = 538
    • 3. 資本輸出 = 539
    • (1) 合作投資의 意義 = 539
    • (2) 合作投資의 特徵 = 540
    • 4. 플랜트輸出 = 541
    • (1) 플랜트輸出의 意義 = 541
    • (2) 플랜트輸出의 特徵 = 541
    • 5. 企業輸出 = 542
    • (1) 企業輸出의 意義 = 542
    • (2) 企業輸出의 目的 = 542
    • 第2節 多國籍企業 = 543
    • 1. 多國籍企業의 意義와 特性 = 543
    • (1) 多國籍企業의 意義 = 543
    • (2) 多國籍企業의 特性 = 544
    • 2. 多國籍企業과 開發途上國 = 544
    • 第24章 國際經營論
    • 第1節 國際마케팅 = 546
    • 1. 國際마케팅의 意義와 特徵 = 546
    • (1) 國際마케팅의 意義 = 546
    • (2) 國際마케팅의 特徵 = 547
    • 2. 國際마케팅의 體系 = 548
    • (1) 輸出市場調査 = 548
    • (가) 輸出市場調査의 槪念 = 548
    • (나) 輸出市場調査의 內容 = 548
    • (다) 輸出市場調査의 方法 = 549
    • (2) 輸出販路政策 = 549
    • (가) 輸出販路政策의 意義 = 549
    • (나) 直接輸出과 間接輸出 = 549
    • (다) 海外販賣루우트의 種類 = 550
    • (라) 輸出販賣秩序와 系列化 = 550
    • (3) 輸出製品政策 = 550
    • (가) 輸出製品政策의 意義 = 550
    • (나) 輸出品種, 輸出品質, 輸出價格政策 = 551
    • (다) 輸出디자인政策 = 551
    • (라) 輸出包裝政策 = 552
    • (마) 輸出輸送政策 = 552
    • (4) 輸出販賣政策 = 552
    • (가) 輸出販賣政策의 意義 = 552
    • (나) 輸出販賣計劃과 豫測 = 552
    • (다) 輸出販賣促進政策 = 553
    • (라) 輸出廣告政策 = 553
    • (마) 輸出展示政策 = 554
    • (바) 輸出販賣서비스政策 = 554
    • 第2節 國際經營組織 = 554
    • 1. 國際經營組織의 意義 = 554
    • 2. 國際經營組織의 構造問題 = 555
    • (1) 國際會社의 設置 = 555
    • (2) 海外經營機構의 利用 = 555
    • (3) 海外支社, 海外子會社, 海外其他會社의 設置 = 556
    • 3. 國際經營組織의 運營問題 = 556
    • 第25章 企業의 未來
    • 第1節 經營의 발자취 = 558
    • 1. 戰前密林犧牲者 = 558
    • 2. 마키아벨리적 조작자 = 559
    • 3. 1950年代의 利潤追求人 = 559
    • 4. 1960年代의 狀況專門家 = 560
    • 5. 1970年代의 시스템調整者 = 560
    • 6. 1980年代의 狀況附隨性 調整者 = 561
    • 第2節 未來的 展望 = 561
    • 1. 허만칸의 展望 = 561
    • (1) 人口統計的 추세 = 561
    • (2) 敎育과 個人 = 562
    • (3) 都市問題의 골칫거리 = 562
    • (4) 변모되는 勞動力의 特性 = 562
    • (5) 經營과 일에 대한 態度의 變化 = 563
    • (6) 給與와 福祉恩給 = 563
    • 2. 크리스토퍼의 展望 = 564
    • 3. 經濟社會에 대한 展望 = 565
    • 4. 企業經營에 대한 展望 = 565
    • 第3節 未來指向的 經營者의 要件 = 567
    • 1. 脫傳統的 經營者와 그의 機能 = 567
    • 2. 未來의 經營과 世界는 하나 = 569
    • 第6部 練習問題 = 572
    • 事項索引 = 5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