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2000년대 이후 일본에서 나타난 두 번의 젠더 백래시 = Two Gender Backlashes in Japan Since the 2000s
저자
신기영 (お茶の水女子大學)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3-72(20쪽)
제공처
이 논문은 2000년대 이후 일본에서 발생한 두 번의 “젠더 백래시” 현상을 고찰하고 각각의 논점과 상이점을 살펴본다. 젠더 백래시 첫 번째 사례가 2000년대 초중반에 “젠더프리 교육(ジェンダーフリー教育)”과 지방자치단체의 남녀공동참획사회(男女共同参画社会)조례 제정에 대한 격렬한 공격과 반동의 움직임이고, 두 번째가 201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현재도 진행 중인 트랜스젠더 여성에 대한 혐오발언과 여성성의 부정이다. 트랜스젠더에 대한 백래시는 국립 오차노미즈 여자대학이 트랜스젠더 여성의 입학을 허가한다고 발표한 것을 계기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이 논문은 이 두 반동적 움직임을 개별적인 현상으로 보지 않고, 보수적인 젠더/성역할 질서가 무너질 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에 대한 ‘젠더 보수파’의 저항이라는 공통점을 가진 “젠더 백래쉬”로 규정하고, 이 두 번의 현상을 비교 분석하여 일본에서 나타난 젠더 백래시의 특징을 규명하고 지난 20여 년 동안 일본에서 젠더 평등 및 페미니즘에 대한 논의가 정체되다시피 했던 배경을 밝히고자 한다. 더불어 백래시에 대한 일본 내 페미니즘의 대항 전략과 담론도 간략히 살펴보고 그 공과를 평가해 본다.
This article examines two “gender backlash” phenomena that have occurred in Japan since the 2000s, and explores the argument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first example of gender backlash is the fierce attacks on “gender-free education” and the enactment of local government’s ordinances for the creation of society where women and men participate equally in the early to mid-2000s, and the second is the hate speech and denial of femininity against transgender women that began in the late 2010s, which is still ongoing. The backlash against transgender women began when National Ochanomizu Women's University announced that it would admit transgender women, and has since spread rapidly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Rather than viewing these two reactionary movements as separate phenomena, this article identifies them as gender backlashes that share a common thread of resistance by “gender conservatives” to the threat of the collapse of the conservative gender/sexual role order.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phenomena, it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der backlash in Japan and sheds light on the background of the stagnation of the debate on gender equality and feminism in Japan over the past two decades. It also briefly examines the strategies and discourses of feminism in Japan to counter the backlash.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