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SCIE
SCOPUS
난소 과립막 세포종의 임상병리학적 특징의 고찰 = Clinicopathologic prognostic factors of granulosa cell tumor of the ova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SCIE,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72-179(8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국문초록-
목적: 과립막 세포종의 임상병리학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4년 6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수술후 과립막세포종으로 확진된 1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
든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비교 검토하여 초기 증상, 나이, 종괴의 크기, FIGO 병기, 치료 방법 등을
조사하였으며, 병리학적 소견으로 유사분열지수(MI)를 조사하였다.
결과: 진단 시 중간 연령은 47세(범위는 22-78세) 이었고, FIGO 병기에 따른 환자의 분포는 병기 1기 80%
(12/15), 병기 3기 20%(3/15)로 조사되었다. 5명의 환자에서 완전한 병기 결정수술을 받았으며, 나머지 환자들
은 종양 제거술로써 전자궁 적출술 및 부속기 절제술 혹은 부속기 절제술만 시행받았다. 수술 후 6명의 환자에
서 항암화학요법이 시행되었다. 3예의 환자에서 재발이 확인되었다. 2예는 병기 3기 였으며, 1예는 병기 1기이
나 종양의 크기가 20cm로 크기가 큰 경우였다. 재발 환자의 유사분열 지수는 13, 11이었다. 8년 생존율은
62.5%였다.
결론: FIGO 병기가 III기 이상으로 높은 경우와 병기는 I기 이지만 종양의 크기가 20cm이상으로 큰 경우에 재
발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병리 소견상 유사분열지수가 높을수록 고병기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병기 I에서 종양의 크기나 유사분열지수가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지에 관한 다기관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
다.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prognostic factors of granulosa cell tumors(GCTs) of the ovary.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of 15 patients of GCT who confirmed GCT pathologically after surgery from June, 1994 to December, 2006. Initial symptom, age, size of tumors, FIGO stage, treamtment modality and mitotic index were investigated from medical records.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ere 47(range 22-78). Distribution of patients by FIGO stage were stage I 80%(12/15), stage III 20%(3/15). Complete surgical staging was performed in 5 patients. Other patients were performed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bilateral or unilateral salpingo- ophorectomy, bilateral or unilateral salpingo-ophorectomy 5 patients were given adjuvant chemotherapy. Recurrence were founded in 3 patients. Two patients were FIGO sage III and one was stage I with large tumor size. The mitotic index was 13, 11 and one patients was not described about that. Eight year survial rate of all patients was 62.5%. Conclusion: There was recurrence in high FIGO stage. Mitotic index was related with FIGO stage. Mitotic index and tumor size are the probable prognostic factors and need to study the relationship with recurrence in stage I.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2-07-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한부인종양콜포스코피학회 -> 대한부인종양학회영문명 : Korean Society of Gynecologic Oncology and Colposcopy -> Korean Society of Gynecologic Oncology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6-2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부인종양 ->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9-1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부인종양.콜포스코피학회지 -> 부인종양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18 | 0.12 | 1.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3 | 0.9 | 0.732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