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SCIE
SCOPUS
불완전한 병기결정 수술 후 발견된 난소암의 치료 = Pattern of care: epithelial ovarian cancer in case of incomplete previous surge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SCIE,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95-200(6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Objective: A significant number of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are referred to tertiary center after inadequate staging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act of pattern of care, including restaging operation or chemotherapy in these patients.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n=29) or borderline tumor (n=15) who were inadequately staged elsewhere at the time of initial surgery between April 1996 and March 2006. Results: In the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restaging operation was performed in 65.5% (19/29), and primary chemotherapy in 24.1% (7/29). Older age and higher parity was noted in the restaged group, however, i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the restaged group, 26.3% (5/19) were upstaged due to residual tumors. Presence of residual tumor was not associated with histologic type and grade of tumor. Six patients (31.6%) without residual tumor escaped adjuvant chemotherapy. During median 50 months follow up, 13.8% (4/29) of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recurr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currence rate according to whether a restaging operation was performed. However, residual tumor statu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currence rate (60% vs 0%). Restaging operation was undergone in 46.7% (7/15) of patients with borderline tumors and there were no recurrence or residual tumor in patients with borderline tumors.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restaging operation could reveal residual tumors which are important prognostic factor in predicting recurrence. Nonetheless, Restaging operation seems to have no impact on the prognosis of ovarian cancer.
더보기목적: 일부의 난소암 환자는 부적절한 병기결정 수술 후 추가치료를 위하여 3차 병원으로 의뢰된다. 본 연구는
이들 환자에 있어 병기결정을 위한 재수술 또는 항암화학요법 등의 치료 방법의 선택이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6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외부병원에서 수술 후 상피성 난소암 환자(n=29) 또는 경계성 종양
환자(n=15)로 판명되어 전원 된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상피성 난소암 환자 중 병기결정을 위한 재수술은 65.5%(19/29)에서 시행되었고 항암화학요법은 24.1%
(7/29)에서 시행되었으며 3명의 환자에는 추가치료가 시행되지 않았다. 분화도와 조직형에 따른 재수술 시행율
은 차이가 없었다. 재수술을 시행한 환자군의 연령이 높고 임신력이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
었다. 재수술 시행한 환자 중 26.3%(5/19)에서 잔존병소가 발견되었고 분화도와 조직형은 잔존병소의 유무와 관
련성이 없었다. 재수술을 시행한 환자 중 68.4%의 환자에서만 항암화학요법이 시행되었다. 50개월의 추적 관찰
중 13.8%(4/29)의 환자에서 재발하였다. 재수술 시행여부에 따른 재발률의 차이는 없었으나 재수술 시행 후 잔
존 병소가 있는 환자에서 유의하게 재발률이 높았다(60% vs 0%). 경계성 종양 환자에서 재수술은 46.7%(7/15)에
서 시행 되었고 모든 환자에서 잔존병소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재발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는 재수술을 시행하면 많은 잔존병소를 발견하게 되고 이는 재발여부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지표
가 되며 불필요한 항암화학요법을 피하게 하지만 재수술 자체가 임상적으로 초기인 난소암 환자에서 크게 예후
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음을 제시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2-07-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한부인종양콜포스코피학회 -> 대한부인종양학회영문명 : Korean Society of Gynecologic Oncology and Colposcopy -> Korean Society of Gynecologic Oncology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6-2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부인종양 ->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9-1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부인종양.콜포스코피학회지 -> 부인종양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18 | 0.12 | 1.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3 | 0.9 | 0.732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