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ESG 기반 기독교대학 교양교육의 방향성 모색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Liberal Arts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Christian University Based on ES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7-256(30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concept of ESG, which emphasizes environmental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governa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attracting atten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rapid climate change. In this context, this study first analyzed ESG-based university education. It classified it into two types— one type focuses on forming organizations or committees for innovation and offering related subjects and the other focuses on providing ESG management consulting through business or research agreements with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corpor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a direction for developing liberal arts courses in Christian universities related to the concept of ESG. For this, it is urged that "God," "the world," and "me" should be deeply considered as core elements in learn-ing and practicing ESG. Based on this, a 4-year curriculum related to ESG in a Christian university was propos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God's creation and the integrated self-identification in the 1st and 2nd grades, the 3rd graders were asked to analyze problematic circumstances related to ESG and seek solutions. In the 4th year, PBL (Project/Problem-based Learning) and capstone design learning could be applied to observe ESG problems in companies or organizations and propose improvement plans. Through this 4-year process, the 3C (Creation, Collaboration, Contribution) competency and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are expected to be developed. It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n implicit curriculum in which university members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ESG and practice.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과 급격한 기후 변화를 겪으며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환경적 책임,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의책임을 강조하는 ESG라는 개념이 시선을 끌면서 공공기관을 비롯하여 초·중·고·대학의 교육과정, 그리고 대학평가에 이르기까지 적용방안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이렇듯 ESG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추이에따라, 본 연구는 먼저 ESG 기반 대학 교육의 현황 자료를 검색하여 두 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고등교육혁신기구 또는 위원회를 만들고 교과 개설에 중점을 둔 유형과 지방자치단체, 공기업등과 업무협약, 또는 연구협약을 맺어 ESG 경영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산학협력에 중점을 둔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다음 단계로 아직 대학에서 환경, 조세, 경영 등 ESG와 직접적관련이 있는 전공들을 중심으로 교과가 개설되고 있는 단계지만, 관련 학과 간 융복합연구 및 교양 교과 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 ESG에 대한 기독교신앙적 해석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여 ESG를 주제로 기독교대학 교양과목 개발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기독교교육과정을 구성하는 핵심적 요소인 “하나님”과 “세상”, 그리고 “나”의 관점에서 ESG를조망함으로써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1학년부터 4학년까지 연계성을 고려하여 1학년에서는 하나님과 창조세계에 대한 이해를, 2학년에서는 나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3학년에서는 세상과 나의 본질에 대한 이해에 근거한 ESG 실천을, 4학년에서는 ESG를 통한 사회적 참여가 이뤄지도록 제언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공적 차이를 뛰어넘어 ESG라는 주제를 가지고‘창조주 하나님’, ‘자연과 세상’, 그리고 ‘책임 있는 자아로서 나’ 에 대한 관점을 재해석하고 정립하는 공동의 경험을 가지도록 하였다.
1~2학년에서 하나님의 창조세계와 통합적 자아에 대한 이해를바탕으로 3학년에서 ESG와 관련한 문제 상황을 분석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도록 하였는데, 개인적 혹은 팀별로 국제 청소년성취 포상제도(The Duke of Edinburgh’s Award)에 참여하거나, 그 취지를 살려 학생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도록 하였다.
4학년에서는 캡스톤 디자인 러닝을 도입하여 기업 혹은 기관을정해 ESG 관련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주도적 참여와 학습이 이뤄지도록 PBL(Project/Problem Based Learning)로 진행하여 졸업 후 마주할 수 있는 현실적인문제에 대한 해결 능력과 더불어 3C(Creation, Collaboration, Contribution)의 역량을 키우도록 제안하였다. 이러한 명시적 교양수업 개설 방향을 제언함과 동시에 대학구성원들이 ESG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ESG가 실천될 수 있는 여건과 문화를 조성함으로써 ESG가 교육될 수 있는 잠재적 환경을 조성할 것을 촉구하였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