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농촌지역 다문화 이주민의 건강권 보호를 위한 실태와 과제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for Protecting the Health Rights of Multicultural Immigrants in Rural Areas
저자
김보나 (세한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9-54(6쪽)
제공처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농촌지역 다문화 이주민의 건강권에 대한 실태를 고찰하고 분석하여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안하는 종설연구이다. 현재 한국 사회는 농촌지역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이주민 노동력이 매우 필요하다. 2023년 기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 수는 226만 명으로 총인구 대비 4.4%에 이른다. 2022년에 비해 12만 3,679명으로 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은 과밀하고 열악한 주거환경, 비위생적인 근무지역, 취득하기 어려운 의료보험제도와 다문화 외국인 차별 등으로 농촌지역 다문화 이주민의 건강권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농촌지역 이주민들이 일하는 장소인 논밭에는 손을 씻고 용변을 볼 수 있는 위생시설이 전무하다. 열악한 주거환경 안에서 준비한 음식을 들고 위생시설이 없는 노동 장소에서 제한된 시간 내에 식사를 하고 적절한 휴식 없이 노동을 지속하고 있다. 이주민의 건강권과 국제인권기준에서 모든 사람이 국적, 채류 자격 등과는 무관하게 가능한 최상의 건강을 누릴 권리가 있으며 국가는 모든 사람이 보건의료서비스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질병 예방을 위한 방안으로 보건진료소의 활용과 지자체 공공위생시설 확충이라는 크게 두 가지의 측면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건강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고, 궁극적으로 건강한 지역사회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더보기This study is a review study that examine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 right to health of multicultural immigrants in rural areas,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proposes solutions accordingly. Currently, Korean society is in great need of immigrant labor due to aging and population decline in rural areas. As of 2023,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living in Korea is 2.26 million, or 4.4% of the total population. Compared to 2022, the number increased by 5.8% to 123,679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3). However, the health rights of multicultural immigrants in rural areas are not protected due to overcrowding and poor living conditions, unsanitary work areas, difficult-to-obtain medical insurance systems, and discrimination against multicultural immigrants. Additionally, there are no sanitary facilities for washing hands and toileting in the rice fields where migrants in rural areas work. In poor living conditions, they eat prepared food within a limited period of time in a work area without sanitary facilities, and continue to work without proper rest. According to migrants' right to health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everyone has the right to enjoy the best possible health regardless of nationality, residency status, etc., and the state ensures that everyone has equal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and takes measures to prevent disease. We would like to present two major aspects: utilization of health clinics and expansion of local government public sanitation facilities.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help resolve health inequality issues and ultimately create a healthy communit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