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간문화 전통지식의 현대적 활용에 대한 소고 = Modern Applic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on Korean Culture of Eco Toilet, "Dwit Gan"
저자
윤유석 ( Yu Seok Yun ) ; 강방훈 ( Bang Hun Kang ) ; 김미희 ( Mi Heui Kim ) ; 이상영 ( Sang Young Rhee )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20.9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7-72(26쪽)
제공처
전통지식은 특정인이나 지역사회를 배경으로 형성되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해 끊임없이 진화하면서 대대로 전승되어 오는, 즉 전통을 토대로 산업적, 과학적, 생태적, 문화적, 예술적 분야에서 지식활동의 결과를 생성된 기술 또는 창조물에 내재하는 지식체계이다. 오늘날 한국의 뒷간문화는 환경생태산업 분야와 문화예술 분야에서 현대의 생활환경에 적응해 새롭게 적용·활용되고 있다. 뒷간문화의 대표적인 전통지식으로는 환경생태를 보전하는 생활기술과 농사를 위한 비료를 만드는 생업기술을 들 수 있다. 여기에는 생태적인 자원순환원리와 발효과학이 내재되어 있다. 환경오염과 식품안정성이 현대사회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뒷간문화에 담긴 전통지식은 어느때 보다 그 활용 가치가 높은 자원이다. 뒷간문화에는 똥을 퇴비로 만들어 농사에 활용하는 생업기술과 음식물쓰레기, 농업부산물, 인간과 가축 분뇨를 재활용해 환경오염을 막는 생활기술이 담겨져 있다. 이러한 전통지식자원을 활용해 생태·산업 분야에서는 이미 2000년대 초부터 자연발효식 화장실이 개발돼 농촌에 보급되었으며, 최근에는 바이오플랜트와 같은 생태산업과 순환농법 기술에 활용되고 있다. 문화·예술 분야에서는 출판물과 전시물에서 뒷간문화의 전통지식이 이야기되고 있다. 이 글은 뒷간문화의 전통지식을 산업자원의 측면을 살펴보고, 그것이 오늘날 생태산업적, 문화예술적으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뒷간이 과거에 존재했던 화장실이라는 유물이 아니라 그 속에 담긴 선조들의 인식, 생활·생업지식을 도출하고 그것이 오늘날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보기Traditional knowledge is defined as system that is formed with an identical person or regional society for a background, and then handing down generation to generation with continuously developing and adaptation to its transit circumstances; namely, knowledge system that is inherent in the technology and creature, based on tradition, generated as a result of human knowledge activity in the fields of industry, science, ecology, literature, and art, and so on. Recently traditional knowledge on korean culture of outer toilet, called ``Dwit Gan``, have had been applicated to the eco-technological and cultural creative industry. Fermenting technology in culture of korean toilet have developed from their eco-oriented lifestyle and organic agriculture. So the traditional knowledge on korean toilet culture have been considered a measure taken agains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food safety. Though it discontinued, korean people had recycled the excrement to manure mixing ashes and agricultural byproducts in the toilet. Applying the knowledge environment-friendly toilet and Bio energy plant have built in the field of eco-technological industry. Over there it has used on contents of books, exhibitions and even a garden item. In this paper considering the korean toilet culture a traditional knowledge, we have seen how it applied for eco-technological and cultural creative industry. This study aims at estimating the korean toilet culture as traditional knowledge for applying moren organic agriculture, eco life and industr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