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20년대 경상북도 영일지역의 청년운동 = Yeongil Youth Movement in Gyeongsangbuk-do in the 1920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39-282(4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경상북도 영일지역은 1895년 지방관제 개편으로 연일군, 흥해군, 청하군, 장기군으로 개편되었다가, 1914년 일제에 의한 지방관제 조정으로 통합되어 영일군이 되었다. 3․1운동이후 영일지역의 청년들도 각 면지역을 중심으로 청년단체를 설립하였다. 포항면의 영일청년회, 청하면의 청하청년회, 송라면의 송라청년회, 흥해면의 흥해청년회 등을 설립하였고, 이러한 청년단체들은 이후 영일지역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을 주도하였다.
1920년대부터 사회주의 사상의 유입으로 전국의 청년단체들이 혁신을 통해 조직체를 변경한다. 전국적 청년단체의 혁신은 영일지역의 청년회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혁신과 더불어 지역 청년단체 연합체 구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영일지역에서는 10 여 개의 청년단체들이 모여 영일청년연맹을 설립한다.
이후 영일청년연맹은 1927년, 청년운동이 민족주의․사회주의 양 진영의 통일전선체 구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면서 또 다른 변화를 겪게 된다. 민족통일전선운동으로 방향전환 한 청년회들은 더욱 더 조직화 되어 一郡 一靑年會라는 목적아래 각 府․郡에 있는 청년회 및 청년연맹을 자진 해체하고, 대신 각 府․郡 청년동맹을, 그리고 각 面에는 동맹지회를 결성하여 나갔다. 영일청년연맹 역시 이러한 통일전선체 구성을 통해 영일청년동맹으로 변화․발전하게 된다. 또한 정학선․이재우 등이 주도하여 설립한 사상단체 ‘四月會’를 해체하고, 신간회 영일(포항)지회 설립하였다.
영일지역의 청년들은 영일청년동맹 활동과 신간회 영일(포항)지회와의 연대활동을 통해 민족의 이익 옹호 활동을 하였다. 하지만 1929년 말에서 1930년대 초까지 일어난 조선공산당사건, 조선공산당 재건위 사건은 신간회 각 지회와 청년단체에 있어서 큰 타격이 되었다. 이 사건들로 인해 신간회 각 지회 간부들이 대거 연행이 되고, 이들이 속한 단체들은 강제 해산되거나, 활동에 많은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영일지역에서도 조선공산당사건은 지역의 청년운동이 위축되는 계기가 되었다.
경상북도 영일지역의 민족운동과 청년운동은 사회주의 계열의 청년들과 포항교회 출신의 기독교인들이 주도하였다. 하지만 이들을 제외한 새로운 민중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이끌어 내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특히, 지역 운동을 주도하였던 사회주의 계열 청년들이 일제에 의해 검거된 이후, 청년단체 뿐만아니라 노동조합, 형평사, 어업조합 등의 활동이 크게 위축되거나 와해되면서 지역적 민족운동의 한계를 드러내었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영일지역 청년운동은 많은 청년들을 지역의 민족운동의 선도자적 위치로 이끌었다. 또한 사회주의자들과 기독교계열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의 이념적․사상적 분화를 뛰어 넘어, 영일청년연맹․신간회영일(포항)지회․영일청년동맹 등 단일한 민족운동 세력을 형성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이러한 점은 영일지역에서도 청년들이 1920~30년대 청년회 활동과 해방 이전까지 일제에 대해 끊임없이 항거하고 전민족적 활동을 이어왔다는데 그 의의와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Yeongil-gun, Yeonil-gun, Heunghae-gun, Cheongha-gun, and Janggi-gun were reorganized into Yeonil-gun, Heunghae-gun, Cheongha-gun, and Janggi-gun due to local control reorganization in 1895.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young people from the Yeongil area also established youth groups centered on each Myeon area. Yeongil Youth Association in Pohang-myeon, Cheongha Youth Association in Cheongha-myeon, Songra Youth Association in Songra-myeon, and Heunghae Youth Association in Heunghae-myeon were established.
At that time, socialism was also spread in the Yeongil area by Jeong Hak-seon and others. After that, each youth organization changes its organization through innovation. After the change in the Youth Association, youth organizations in the Yeongil region sought a coalition of local youth organizations. At a time when each youth organization was changing, it was also necessary to unite local youth organizations and unify the youth movement. Due to this need, the Yeongil Youth Federation is established with more than 10 youth organizations in the Yeongil area.
Since then, the Young-Japanese Youth Federation has undergone another change in 1927 when the youth movement discussed the composition of a unified front between the two camps of nationalism and socialism. The youth associations, which changed their direction to the National Unification Front Movement, were further organized and voluntarily disbanded youth associations and youth federations in each department and county, and formed alliance branches in each side. The Young-Japanese Youth Federation will also be transformed and developed into the Young-Japanese Youth Alliance through the formation of such a unified front. In addition, the ideological organization “Sawolhoe”, led by Jeong Hak-seon and Lee Jae-woo, was disbanded and the Yeongil (Pohang) branch of the Singanhoe was established.
Young people in the Yeongil region engaged in activities to defend the interests of the people through joint activities with the Yeongil Youth Alliance and the Yeongil (Pohang) branch of the Singanhoe. However, the Joseon Communist Party incident and the Joseon Communist Party Reconstruction Committee incident, which took place from the end of 1929 to the early 1930s, were a major blow to each branch and youth organization of the Singanhoe. Due to these cases, a large number of executives of each branch of the Singanhoe were arrested, and the organizations to which they belonged were forced to be dissolved or subject to many restrictions on their activities. Even in the Yeongil region, the Joseon Communist Party incident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local youth movement to shrink.
The national and youth movements in Yeongil, Gyeongsangbuk-do, were led by young socialist people and Christians from Pohang Church. However,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it could not actively attract the participation of new people except them. In particular, after the arrest of socialist youth who led the local movement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activities such as labor unions, equity firms, and fishing associations as well as youth groups were greatly reduced or collapsed, revealing the limitations of the local national movement. However,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Yeongil Youth Movement led many young people to a leading position in the local national movement. In addition, they constantly tried to form a single national movement force, such as the Youngil Youth Federation, the New Korean Hoeyeongil Branch, and the Youngil Youth Alliance, beyond the ideological and ideological differentiation of socialist and Christian uncompromising nationalists.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the significance and impact of young people in the Yeongil region constantly protested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and continued national activities before liberation in the 1920s and 30s are great.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5 | 0.54 | 1.276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