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천초판평가물어(天草版平家物語)』에 나타나는 「む,ん,う」의 표기 및 의미용법의 특징 = 『天草版平家物語』における「む · ん · う」の表記及び意味用法の特徵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주제어
KDC
8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55-370(1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本稿は『天草版平家物語』を對象にし、「む · ん · う」の表記及び意味用法の特徵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表記上、全體の683の用例中「む」の使用例は一つも見られず、「ん」は21例(3.1%)、「う」は662例(96.9%)であった。また、室町時代の後期に表れるとされる「よう」の用例は一つもなく、「しょう」や「みょう」のような「う」と「よう」の中間的な形態が見られた。このことから、『天草版平家物語』が編纂された時期にすでに口語體では「う」が使われており、さらに「う」から「よう」へと形態の分化が進んでいったと考えられる。意味用法の場合、先行硏究によると「意志 · 決意 · 希望」と「推量 · 想像 · 予想」が主な用法とされているが、本分析結果でも「意志 · 決意 · 希望」の用法が最も多く(341例、49.9%)、次に「推量 · 想像 · 予想」(168例、24.6%)、「婉曲 · 假定」(151例,22.1%)、「勸誘 · 期待 · 命令」(23例、3.47%)の順で使用率が高かった。「婉曲 · 假定」の意味用法の場合、高い使用頻度を示しているにもかかわらず、現代語の意味用法には殘っておらず、これについては今後詳しく調べる必要があると考える。また、推量の助動詞全體の用例を調べた結果、「ん」·「う」が683例(51.8%)、「うず」が533例(40.4%)、「べし」が29例(2.2%)見られた。これらの助動詞は「推量」以外にも「意志」の意味用法を持つ助動詞である。したがって、「推量」を主な意味用法とし、使用上の制限がある他の助動詞に比べて、「意志」の意味用法を持つという点で活用價値が高いため、多く使用されたと考えられる。そして、このような流れから「む(ん)·う」と「べし」は現代語に「う·よう·だろう」と「べき · べからず」の形態で殘るに至ったと推測される。今後は、同じ時期の中世の口語資料や近世の資料をもとに表記と意味用法の特徵を調査する予定である。表記では、「む」が「う」·「よう」に移行する樣相と「よう」が表れる時期を調べたいと思う。意味用法においては、まず、主な意味用法の調査を行った上で、特に他の資料においても「婉曲 · 假定」の意味用法の使用率が高いのかに注目し、調査を行うつもりである。假に「婉曲 · 假定」の意味用法の使用が多く認められるとしたら、同用法が消滅に至った理由やその背景についても考察を行いたい。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33 | 0.596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