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류분석과 인간중심 상담의 이론 비교 = Comparison of theory of exchange analysis and anthropocentric counseli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주제어
KDC
4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9-155(17쪽)
제공처
Exchange analysis and human-centered counseling theory start with a positive perception of humans. In an increasingly complex society, individual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importance of the two theories can be felt in terms of counseling as the method proposed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the two theories in seven aspects. First, the two theories’ view of humanity is rooted in an optimistic and non-deterministic view of humanity and has very similarities in terms of acknowledging human values and dignity. Second, the counseling goal of the two theories is to escape from one’s state and to be aware of one’s state. Third, the main concepts of the two theories mainly use concepts that analyze self and personality. Fourth, the counseling techniques of the two theories use a clarification technique that can provide an acceptable atmosphere, support it, and specify problems. Fifth, in both theories, counselors play a role in helping clients demonstrate their abilities, discover problems, and solve themselves rather than their own abilities. Sixth, when comparing the contribution of the two theorie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allows everyone to understand and utilize counseling, which has become a monopoly only for experts. Seventh, it was found that the two theories received opposite criticism points. This summary of Korean literature is prepared to include the general contents of the paper.
더보기교류 분석과 인간중심 상담이론은 인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점점 복잡해지는 사회 속에서 개인은 다른 사람들과 맺는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방법이 상담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두 이론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다5. 본 연구에서는 두 이론을 7가지 측면에서 비교하고자 하였다. 첫째 두 이론의 인간관은 낙관적이고 비결정론적인 인간관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을 인정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두 이론의 상담 목표는 자신의 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하고 있으며 자신의 상태를 자각하는 것으로 삼고 있다. 셋째, 두 이론의 주요 개념은 자아와 성격을 분석하는 개념을 주요하게 사용하고 있다. 넷째, 두 이론의 상담기법은 허용적인 분위기를 제공하고, 지지해주며 문제를 구체화할 수 있는 명료화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다섯째, 두 이론에서 상담자는 자신의 능력보다는 내담자로 하여금 능력을 발휘하고 문제를 발견하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여섯째, 두 이론의 공헌도를 비교하면, 전문가만의 독점물이 되었던 상담을 모든 사람이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일곱 번째, 두 이론은 서로 반대되는 비판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