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김남천 소설의 인물과 이야기 정체성- 지식인–소시민–청년 인물을 중심으로 = Kim Namcheon’s Characters and their Narrative Identities -Mainly on Intelligent/Petit-bourgeois/Young men characters
저자
조익상 (연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29-471(43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In the history of research on Kim Namcheon, interpretation of intelligent/petit-bourgeois/young men characters including Kim Kwangho has been regarded important. This research present a way to understand Kim Namcheon and his literature before and after 1940s, by separately reading identities such as narrative identity(identité narrative), sameness(identité-idem) and selfhood (identité-ipse) of Paul Ricoeur characterized and re-presented in between Kim and his characters. This can be thought as to elaborate two ways of current interpretation: to interpret Kim mainly on ‘what’ considered of him such as a convert or a socialist and again interpret his characters from that understanding on the one hand, to interpret his characters with the author’s perspective or viewpoint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a different approach can be tried with this research to where researches barely go beyond two polars: novels to be read as autobiographical novels or the “I” stories on the one side, novels written with socialistic/realistic method on the other side. With this awareness, the research tries to confirm a new standpoint to explain ‘whom’ Kim attempted to draw, ‘who’ Kim was and the appropriacy of the standpoint presented.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look through Kim’s literary review and essays thoroughly, and to compare Kim’s autobiographic facts and his created characters in both sameness and selfhood. Thus, after reviewing his critical essays in time and his self-description about his “lifetime of literary method”, the research could confirm that ‘self’ and ‘accusation’, his two keywords for earlier method, had been maintained as sublated- thus-enhanced. This method in the process of formation affected character making of Kim, and the author’s introspection/reflection on his characters again affected formation of the method in reverse. 1940s was a terminus ad quem where those dialectic method met Balzacian realism, and this method of fission can be summarized as ‘Kim-like character’s un-Kim-like activity.’This characterization was tried firstly because they can be deep and easily embodied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similar to Kim ‘himself’ and to ‘the (his) experienced’. Secondly when this characters of sameness act completely different from him, accusation from ‘the observed’ of society and the era through the characters. Because the characters were the fruit of the then society, so it was an accusation against the human nature made from the current era. For the last reason to be discussed, it was necessary for Kim himself to fission with character, for the character to cover the life Kim did not want to, demanded to or tempted to live. It is a very private way to make himself to live a life that he want or that he must continue.
김남천 연구사에서 김광호를 비롯한 지식인–소시민–청년 인물들에 대한 해석은 김남천과 그의 문학 이해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점해왔다. 본고는 폴 리쾨르의 이야기 정체성 이론을 바탕으로 이 인물들과 김남천 사이에서 발견되는 동일–정체성과 소설 속에서 구현되는 인물 각각의 자기–정체성을 구별하여 해석함으로써, 1940년대를 전후한 시기의 김남천과 그의 문학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사회주의자, 전향자 등의 ‘무엇’을 중심으로 포착되고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그의 인물을 해석했던 한쪽의 경향과 김남천의 인물에 대한 시선을 중심으로 한 다른 쪽의 해석 경향 모두에 정교함을 더할 수 있는 길이라 생각된다. 또한 사소설적 독법을 요구하는 소설과 사회주의적/리얼리즘적 소설 작법으로 씌어진 소설이라는 두 극점 사이를 좀처럼 벗어나지 못했던 김남천 소설 문학에 대한 다른 접근도 시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김남천이 그의 인물들을 ‘누구’로 그리려 했고 김남천 그 자신이 ‘누구’였는지를 해명하는 새 시점과 그것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이를 위해서는 김남천의 비평 전반을 확인하고 그의 자전적 사실과 인물들의 자기성과 동일성을 비교하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시간 흐름에 따라 비평 전반을 살피고 김남천의 “문학적 행정”에 대한 자기기술을 살펴본 바, 그의 초기 문학적 방법론의 열쇳말인 ‘자기’ ‘고발’이 모두 지양된 형태로 유지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론의 전개 속에서 형성 중인 방법론은 김남천의 인물화에 영향을 미쳤고 또한 형성된 인물에 대한 작가적 성찰은 다시금 방법론의 수정에 영향을 미쳤다. 그런 과정 끝에 1940년대를 전후하여 발자크 리얼리즘의 요목과 함께 시도된 것이, 김남천적 인물의 비김남천적 행동으로 요약되는 분열의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주로 지식인–소시민–청년 남성 인물에서 구현된 이러한 인물화가 시도되었던 이유로는, 김남천 ‘자기’와 ‘체험적인 것’이 닿아있는 면에서 성격 형성이 용이했다는 점을 먼저 들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동일성을 지닌 인물이 전혀 별개의 행동을 하게 될 때, ‘관찰적인 것’의 사회 고발은 더욱 증폭될 수 있었다. 그것은 시대와 사회가 낳은 인간성에 대한 고발의 방식이었다. 마지막으로, 김남천 그 자신의 작가로서의 삶과 생활인으로서의 삶 모두에 있어 그러한 인물의 구현은 필요한 과정이었다. 그 자신이 걷고 싶지 않지만 걷기를 강요당하거나 유혹당하는 길을, ‘자기’를 닮은 소설 속의 인물이 걷게 만드는 것은, 자신이 걷고 싶고 걸어야 하는 길로만 걷도록 정련하고 채찍질하는 하나의 방법일 수 있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5-1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Studies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2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0.9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5 | 0.9 | 1.801 | 0.2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