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효율적 관리모형 및 통합적 평가척도 개발 = Developing Efficient Management and Integrated Measur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Iity in B2B Relationships
저자
김종근(Kim, Jong-Keun) ; 김성진(Kim, Seongjin) ; 이은의(Lee, Eun Eui) 연구자관계분석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주제어
KDC
32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3-60(1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연구목적: 최근 실무 및 학계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기업들이 그에 대한 대비가 소홀한 상황이다. 이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리모형을 제안하고, 이에 근거하여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설계 및 방법론: 기존 B2C 상황에서 개발된 척도에 기반하여 B2B 상황에서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한국 및 미국에서 다양한 평가대상, 평가주체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을 수행하여 척도를 정제하였다.
분석 및 연구 결과: 국가 간 차이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만 공통적으로 CSR 활동에 있어서 차원 간 구분이 없었으나, CSR 성과에 있어서는 차원 간 구분이 이루어졌다. 응답대상 및 주체 별로 최종 항목들을 비교한 경우, CSR 활동에 대해서는 응답대상 및 주체와 상관없이 단일 차원으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나머지 차원에 대해서는 국가 별로 다양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CSR에 대한 차원적 접근에 대한 추가적인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관리모형에 근거함으로써 보다 경영적 관점에서 평가 척도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관리모형에 대한 보다 명확한 근거의 제시가 필요하다.
향후 연구방향: 먼저 국가 간 또는 응답집단 간 CSR 평가의 차이의 원인을 파악하며, 차이에 근거하여 기업성과 및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개별 CSR 차원들의 성과에 대한 영향력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CSR 하위 차원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공헌점: CSR 활동으로 인해 기업 간 거래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비용이 줄어들 수도 있고, 관계에 더 잘 몰입하고 정보를 숨김없이 공유하거나 상대방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는 등 관계성과가 향상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CSR로 인해 기업 간 거래가 어떻게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의 초석을 제공하였다.
Purpose: In recent decad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 (adhere, CSR) management has not been paid proper attention,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CSR management to increase CSR efficiency was increased more and more in practice as well as in academic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SR activities, a new CSR management model is needed. In this study, a CSR management model is proposed and a new scale for the CSR management model is developed.
Design/methodology/approach: A new scale for the CSR management model is developed on the B2B relationship. The new scale came from the previous scale developed on the B2C condition To confirm the generalization of the new scale, many samples are collected from various groups in Korea and the U.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are tested.
Results/findings: Various comparison analyses are conducted to find significant findings among groups by country and subjec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analysis on CSR activitie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n samples and the U.S. sampl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CSR activities have the same dimension regardless of the response subject and country. However, CSR motivation and performance is different by country.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This study, it is provides additional bases for the dimensional approach on CSR as well as new scale for the CSR management model. The new scale is useful to increase CSR efficiency in a managerial perspective. Howeve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SR management model should be confirmed in real conditions.
Future work/research: At first, a future study has to find the reason of difference in the country and response groups. Additionally, the effect of the individual CSR dimension on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SR's sub-construct need to be researched.
Originality/value: CSR activity is useful to improve the relationship performance by reducing unnecessary cost, developing trust and commitment and sharing knowledge in the B2B relationship. This study provides the cornerstone of research on how the CSR management model increas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B2B transaction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