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상위권 대학 학생들의 반복적 학사경고 경험에 관한 연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연구는 상위권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반복적 학사경고 경험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권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반복적 학사경고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상위권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반복적 학사경고 경험 과정과 관련되는 요소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위권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중 학사경고를 2회 이상 받은 자원자를 모집하여, 13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학사경고 횟수는 2회에서 5회로 다양하였으며(2회: 8명, 3회: 2명, 4회: 2명, 5회: 1명), 학사경고 누적으로 제적 경험이 있는 학생 3명이 포함되었다. 참여자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 접근방법(Strauss & Corbin, 199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코딩(open coding) 과정을 거쳐 면접 자료를 범주화한 결과, 95개의 개념, 44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상위권 대학 학생들의 학사경고 반복 경험의 핵심 범주는 ‘자신의 긍지를 지키기 위한 마지막 선택으로서 현실에서 눈을 가리고 달아나기’이다. 학사경고 반복 경험은 똑똑한 학생이라는 긍지를 무너뜨리고, 수치스러움을 느끼게 하는 경험이고, 뼈아픈 경험을 견디다 못해 현실에서 도망가는 과정이었다.
    셋째,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중심 현상(Central Phenomenon)은 ‘반복된 학사경고 : 긍지가 무너지고 수치가 되다’로 나타났다.
    넷째, 인과적 조건(Causal conditions)은 ‘모두가 꿈꾸는 명문대를 지원하다’, ‘입학 직후 자유로움과 무너진 기대 사이에서 혼란을 느끼다’, ‘더 이상 전력투구해야 할 의미의 상실’, ‘1번째 학사경고 : 긍지에 상처 입는 날벼락 같은 경험’, ‘상처 난 긍지를 회복할 수 있는 돌파구를 찾다’로 나타났다.
    다섯째, 현상에 영향을 미치면서 패러다임 전체의 배경이 되는 맥락(Context)은 ‘대학 기관의 인식과 지원’으로 나타났으며, 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적 조건(Intervening conditions)은 ‘개인 내적 특성’, ‘가족과의 관계’, ‘다른 사람과 관계 맺는 방식’, ‘대학 입학 전 학습 양식’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학사경고를 반복해서 경험하는 상위권 학생들의 작용/상호작용 전략(Action/Interaction Strategies)은 ‘무력하고 수치스러운 나를 절감하다’, ‘누적된 좌절에 희망을 잃다’, ‘눈을 가리고 달아나다’, ‘혼자 절망에 잠기다’, ‘용기 내어 내보이다’, ‘현실에 다시 눈뜨다’로 나타났다.
    일곱째, 이와 같은 과정의 결과(Consequences)는 ‘주저앉아 포기하다’, ‘변화하고 적응하다’로 나타났다.
    여덟째, 도출된 범주들을 연결하여 분석해본 결과, 상위권 대학 학생들의 반복적 학사경고 경험 유형은 ‘학사경고 회피하기 유형’, ‘학사경고 드러내기 유형’, ‘학사경고 직면하기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학사경고 드러내기 유형’은 다시 ‘타인으로부터 소외받는 유형’과 ‘타인에게 수용 받는 유형’으로 나눠지며, ‘학사경고 직면하기 유형’은 ‘유능감 획득 유형’과 ‘재도전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아홉째, 반복적 학사경고에 대처하는 과정을 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학사경고 회피하기 유형’의 경험 과정은 1번째 학사경고를 경험하고 돌파구를 찾는 단계, 2번째 학사경고 받는 단계, 비관 단계, 회피 단계, 절망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포기 단계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학사경고 드러내기 유형’은 비관 단계에서 회피 단계가 아닌 드러내기 단계로 나아간다. 반복적 학사경고로 인한 심리적 고통을 계속 혼자서 견디기보다는 주변에 도움을 청하는 것이다. 드러내기 단계 후 주변의 도움을 받는가의 여부에 따라 소외 단계와 절망단계를 경험하는 ‘타인으로부터 소외받는 유형’과 ‘수용과 직면 단계, 변화 단계로 나아가는 ’타인에게 수용 받는 유형‘으로 구분된다. ‘학사경고 직면하기 유형’은 학사경고를 직면해내는 유형이다. 즉, 타인의 도움이 상대적으로 덜 의미 있게 작용하였다는 점에서 ‘학사경고 드러내기 유형’과 구분된다. 또한 학사경고를 반복해서 받는 현실을 인정하고 직면하며, 변화로 나아간다는 측면에서 ‘학사경고 회피하기 유형’과 차별성을 띤다. ‘학사경고 직면하기 유형’은 반복적 학사경고 후 직면 단계, 변화단계로 나아가게 된다. 각 유형별로 반복적 학사경고에 대처하는 속성에서 차이가 달리 나타나는데, 영향요인을 기준으로 각 유형별 특성을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분석된 내용을 기반으로 개인 내적 측면과 상호작용 측면이라는 두 가지 영역에 대한 가설적 관계를 진술문으로 정리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핵심범주, 상위권 대학생의 학사경고 반복 경험 과정, 그리고 경험과정과 관련되는 요소에 대해 논의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중, 고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는 대학 내 학업 저성취자, 특히 상위권 대학에서 학사경고를 반복해서 경험하는 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학업 실패 경험이 적은 상위권 대학교 학생들이 학사경고를 반복해서 경험하는 심리내적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초기 이론을 구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학사경고를 받은 후 학생들의 대처과정을 이해함으로서, 학사경고 학생들을 돕는 상담 전략 개발과, 더 나아가서 학사경고를 받은 학생들의 적응과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데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 문제
    • Ⅱ. 문헌 고찰
    • 1. 학사경고제도
    • 2. 학사경고제도 관련 선행 연구
    • 1) 학사경고자의 특성 및 원인 관련 연구
    • 2) 학사경고 학생 대상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연구
    • 3) 학사경고 학생 대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4) 학사경고자 예측 관련 연구
    • 5) 학사경고 극복 요인 관련 연구
    • 6) 학사경고제도의 효과 관련 연구
    • 7) 학사경고 학생의 경험 연구
    • Ⅲ. 연구 방법과 절차
    • 1. 근거이론 방법
    • 2. 연구 참여자
    • 1) 참여자 선정 기준
    • 2) 참여자 모집 방법
    • 3. 연구 절차
    • 1) 연구의 주요 절차
    • 2) 참여자 선정 과정
    • 3) 반구조화된 면담 질문 제작
    • 4) 연구 참여자 면담 및 기타 자료 수집
    • 5) 자료 분석
    • Ⅳ. 연구 결과
    • 1. 참여자의 특성
    • 2. 반복적 학사경고 경험 과정
    • 1) 핵심 범주
    • 2) 인과적 조건
    • 3) 중심현상
    • 4) 작용, 상호작용 전략
    • 5) 맥락적 조건
    • 6) 중재적 조건
    • 7) 결과
    • 3. 이야기 개요
    • 4. 반복적 학사경고 경험 과정의 주요 단계 및 유형
    • 1) 반복적 학사경고 경험 과정의 주요 단계
    • 2) 반복적 학사경고 경험에 대한 대처 유형
    • 3) 반복적 학사경고 경험에 대한 각 유형별 대처 단계
    • 4) 반복적 학사경고 경험에 대처하는 각 유형 분류
    • 5. 가설적 관계 진술
    • 1) 개인 내적인 측면
    • 2) 상호작용 측면
    • 6. 연구의 타당성 평가
    • Ⅴ. 논의
    • 1. 핵심범주
    • 2. 상위권 대학생의 반복적 학사경고 경험 과정
    • 1) 중심현상 전 단계 : 대학교 입학 시기
    • 2) 비관 단계
    • 3) 회피 단계
    • 4) 절망 혹은 드러내기 단계
    • 5) 소외 혹은 직면 단계
    • 3. 상위권 대학생의 학사경고 반복 경험과 관련되는 요소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 부록 1 > 연구 참여자용 설명서 및 동의서
    • < 부록 2 > 연구 참여자 모집 글
    • < 부록 3 > 면담 질문지
    • < 부록 4 > 면담 일시, 횟수, 시간
    • Abstract
    더보기
    • 1 김동일, "학습부진아 교육체계 발전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연구, 9(1), 226-250, 2001
    • 2 최귀순, "Strauss와 Glaser의 근거이론방법론 비교", 정신간호학회지, 14(1), 82-90, 2005
    • 3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기본통계포스터",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2016
    • 4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2015
    • 5 김동일, 황애경, 신을진, "메타분석을 통한 학습전략의 효과연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 교육연구, 3(2), 71-93, 2002
    • 6 김종두, "학사경고 학생들의 면담과 학업성취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 학회논문지, 10(3), 253-265, 2016
    • 7 김창대, "대상관계이론의 인성교육에 대한 시사점",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3(1), 109-130, 2002
    • 8 김계현, 민경화, "대학생활적응도 테스트 개발. 미발표자료",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01
    • 9 현채승(Hyon, Chae Seung), "대학생의 학사경고 반복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한국기독교상담학 회지, 27(3), 167-192, 2016
    • 10 남영옥, 이대형, "학사경고 원인 탐색을 위한 검사도구 개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8(3), 131-151, 2016
    • 11 유정이(柳定利), 김진희(金鎭熙), 홍지영(洪芝英), "학교상담자가 지각한 학교상담의 효과요인",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아 시아교육연구, 16(3), 57-85, 2015
    • 12 김진영(Jin-Yeong Kim), "수학능력 시험 실시 10년간 대학의 서열 변화",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공공경제, 11(1), 121-153, 2006
    • 13 윤혜란, "학습우수아와 부진아의 시험불안과 성격특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교육논총, 5, 15-25, 1994
    • 14 김계현, 황매향, "대학입시 의사결정 과정에 나타나는 타협유형",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4(1), 19-36, 2003
    • 15 리세리, 한관순, 최성철, 서원철, "학사정보를 활용한 학사경고자 예측 모델 개발", 한국경영과학회,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4), 4699-4715, 2017
    • 16 임종섭(Jeong-Sub Lim), 김명준(Myung Jun Kim), "근거이론방법의 고찰과 언론학 연구에 주는 함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 언론학보, 59(2), 427-452, 2015
    • 17 오영재(Oh Young-Jae),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 구, 25, 141-164, 2006
    • 18 권해수 ( Hae Soo Kweon ),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학사경고 결정 요인 분석",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인간연구, 37(2), 29-46, 2016
    • 19 김인숙, "근거이론의 분기: Glaser와 Strauss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 복지연구, 42(2), 351-379, 2011
    • 20 김형수, "대학생의 학업성취 수준과 대학생활 인식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21 선혜연, 하창순, "지방 중위권 대학의 대학생활적응도검사 개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교 육연구논총, 34(1), 209-226, 2013
    • 22 이정례, 조민경, "학사경고 반복 대학생의 학업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전국대학교학생생활상담센터협의회, 대학생활연구, 22(1), 25-45, 2016
    • 23 김복미, 장은주, 이종연, "학사경고자 대학생을 위한 자기탐색 프로그램 개 발", 상담학연구, 14(1), 359-384, 2013
    • 24 박상민, 김동일, 정은혜, 고은영, 오헌석, 송영숙, "대학교수가 바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10(2), 195-214, 2009
    • 25 김동진, 정동영, "학업우수아와 저성취아의 사고양식과 학습양식 비교",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특수교육요과교육연구, 2(1), 71-91, 2009
    • 26 김명찬,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의 적응과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27 양지웅, 장애경, "대학생의 학사경고 경험과 극복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4(2), 995-1013, 2013
    • 28 손원경, 이경화, "학업우수집단에 대한 예측요인으로서의 학습기술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교육방법연구, 17(1), 1-20, 2005
    • 29 박승민, "온라인게임 과다사용 청소년의 게임행동 조절과정 분석", 서울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30 황갑진, "5. 31 교육개혁 이후 대학서열화 연구들에 관한 내용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사회 과교육연구, 12(2), 335-354, 2005
    • 31 김창대, 박승민, "온라인게임 과다사용 청소년의 게임행동 조절유형 분 석",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9(4), 999-1022, 2005
    • 32 이지희, 신효정, "대학 입학 성적우수 학생들의 학사경고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웰니스학회, 한국웰니스학회지, 12(1), 183-201, 2017
    • 33 임이랑, "학업 저성취 대학생의 특성탐색 검사문항개발 및 타당 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34 이진숙, 조아미, "근거이론으로 접근한 학교폭력 피해학생의 학교 적응과정",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청소년복지연구, 14(1), 333-358, 2012
    • 35 권해수, 송수진, "남․녀 대학생의 학사경고 극복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 구", 청소년시설환경, 14(3), 63-72, 2016
    • 36 김정훈, 신성만, "대학생 학사경고자들을 위한 동기강화 집단상담 프로그램", 전국대학교학생생활상담센터협의회, 대학생활연구, 18(1), 75-109, 2012
    • 37 문병상,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간의 종단적 인관관계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교 육심리연구, 27(2), 329-343, 2013
    • 38 김희정, "학사경고자 대상 학습코칭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수 산해양교육연구, 28(4), 971-983, 2016
    • 39 이훈희, "학습분석학을 이용한 학사경고자 예측에 관한 실증적 연구", 가 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 40 이은경, 조경원, 양난미, 강순화, "학사경고생의 실태와 학업지원 프로그램 개 발을 위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학생상담센터, 학생생활연구, 34, 51-97, 2000
    • 41 이용진, 양현정, 조성희, "학사경고생의 특성 변인과 교육적 개입 필요성에 대한 탐색", 한국교육방법학회, 교육방법연구, 29(1), 161-184, 2017
    • 42 김광웅, "“자아존중감 및 자기수용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한 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83-999, 2007
    • 43 이경혜, "학습우수아와 학습부진아의 스트레스 수준 및 학교생활 적응",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44 김동진, 황매향, 김영빈, 정애경, 선혜연, "성적 하락을 경험한 학업우수 학생들의 학업실패 과정과 반응",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10(3), 191-212, 2009
    • 45 강승희, 전보라, 윤소정, "학사경고 경험 대학생의 학업적 특성과 집단 학습컨설팅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9), 137-160, 2015
    • 46 임수영, "서울지역 상위권 대학 학생들의 대학입학 타협유형과 적응도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47 정순모 ( Soon Mo Jung ), 조규남 ( Kyu Nam Cho ), 양우석 ( Woo Seok Yang ), 정보현 ( Bo Hyun Chung ), 장인식 ( In Sik Jang ), 최경미 ( Kyung Mee Choi ), "중위권 대학 신입생의 수학적 배경과 대학수학 성취도 사이의 관계", 한국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 46(1), 53-67, 2007
    • 48 김나미, 박완성, 김효원, "학사경고 대학생을 위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과 동료 멘토링의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22(1), 391-412, 2014
    • 49 고옥희, "실패량 및 귀인조작을 통한 과제 수행에서의 반발효과와 무력 감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 50 황매향, "진로의사결정에서 나타나는 타협과정: 대학 및 학과 선택을 중심으 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51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전통 (조흥식, 정선욱, 김 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원출판년도 1998), 2005
    • 52 박진원, 백현덕, "교수학습법: 중위권 공과대학에서 학생 과제물 수행에 대한 문제점 분석", 공학교육연구, 12(3), 129-136, 2009
    • 53 김안나, "대학입학 수능 성적 분포의 변화추이를 통해 본 고등교육의 서열화 구조",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13(3), 65-84, 2003
    • 54 김영빈, "학업우수 고등학생의 학업서열 변화와 자아개념, 정서, 실패내 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55 남상은, 유기웅, "대학생 학사경고자를 위한 코칭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교양교육연구, 11(1), 281-311, 2017
    • 56 김상호, "대학수학능력시험 및 고등학교 내신 성적과 대학학업성적과의 상관관계 연구",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연구, 10, 91-111, 1995
    • 57 송영명, 천경희, "의과대학생의 학업적 실패내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49(3), 183-211, 2011
    • 58 이선영, 박종향, 이효정, "대학에서의 학업실패 예방과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학사경고자의 경험과 어려움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25(1), 191-211, 2017
    • 59 김나미, 김효원, "대학중도탈락자 예방을 위한 동료멘토링 활용 자기주도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 15(12), 875-900, 2015
    • 60 박분희, 육진경, 김누리, "영재아의 학업적 실패내성과 자기결정성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성취도의 차이", 한국영재교육학회, 영재와 영재교육, 12, 49-67, null
    • 61 장광원, "진로의사결정 타협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 대학생 활적응도의 차이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62 구자경, 박희인, "적성 불일치로 인해 전공만족도가 낮은 대학생들의 진 로문제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진로교육연구, 24(4), 173-190, 2011
    • 63 강순화, 이은경, 양난미, "학업우수 및 학업부진 학생의 학업실태 분석을 통 한 대학에서의 학업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2), 221-242, 2000
    • 64 김나미, 김신섭,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4(2), 1125-1144, 2013
    • 65 김영혜, 황선희, 주영아, 정희진, "학업 저성취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및 스 트레스 대처전략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 13(2), 85-115, 2013
    • 66 김영혜, 주영아, 원수경, "학사경고 여대생의 학업성취 실패 및 지속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청소년복지연 구, 14(4), 47-69, 2012
    • 67 조지은, "학습부진아, 정상 성취아, 학습 우수아 집단 간의 학습 성패 귀 인 성향과 학문적 자아개념의 차이에 관한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