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AHCI
SCOPUS
1950~1970년대 무의촌(無醫村) 문제의 ‘한국적’ 타개와 징병제의 착종 = The 'Korean' Resolution of the Doctorless Village Crisis and the Entanglement with the Conscription System in South Korea in the 1950s-70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AHCI,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43-1073(31쪽)
제공처
소장기관
본 논문은 1950~1970년대 한국의 무의촌 문제가 징병제와 밀착하는 흐름 속에서 대안을 모색한 양상을 검토하였다. 20세기 후반 한국의 보건의료는 식민지의 유제로 남겨진 인력 부족, 도시 편재의 문제에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하여 점증한 군의관 대거 징집의 흐름이 더해지며 이중의 난관을 마주하였다. ‘무의촌’은 그러한 역사적 맥락에서 비롯된 문제적 기표로, 그 자체로 지방 농어촌의 만성적인 의료 위기를 상징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징병제의 제약을 역으로 활용하여 무의촌 위기의 타개책으로 삼는 방안을 타진했다. 군의관을 무의촌에 고정 배치하여 보건의료망의 사각을 메꾼 움직임이 그 첫 걸음이었으며, 이는 의사를 무의촌에 투입하는 대신 병역을 면제하는 구상으로 발전하였다. 마침내 의료계는 5.16 쿠데타 이후 단행된 네 차례의 의사 동원을 결정적 계기로 하여 보건의료-병역 대체 논의를 공론화하며 그 논리를 확충하였다. 이는 1970년대에 이르러 지금의 공중보건의사 제도 수립로 귀결되었다. 여건의 측면에서는 타 부문의 병역 대체 도입이, 동력의 측면에서는 정부와 의료계를 아우른 외연 확장이 그를 뒷받침했다. 이로써 사반세기에 걸친 한국의 무의촌 위기는 징병제를 제도적 기반으로 삼아 타개의 국면에 진입하였다. 징병제와의 착종을 고유의 특징으로 내재한 한국적 보건의료의 일면이었다. 단, 최소 재정의, 동원 기반의 지방의료를 고착화한 점에 주목하면, 한국 보건의료의 또다른 한계를 주조해온 측면도 함께 사유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This article reviews how the crisis of doctorless villages in South Korea in the 1950s-70s was closely linked to the conscription system.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public health system of South Korea faced a double challenge: one was the colonial legacy of a medical shortage and urban concentration, the other was a massive conscription of military doctors after the Korean War. The term ‘doctorless village’ was a problematic signifier that reflected these historical contexts. It itself symbolized the chronic medical crisis in rural areas. However, behind the crisis, the idea of reversing the constraints from conscription and using it as a solution of doctorless villages was germinating. At first,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planned two alternative conceptions to fill the gaps in the public health network. One was to station military doctor in doctorless villages and the other was to dispatch civilian doctors in doctorless villages and exempt them from military service. After a series of doctor mobilizations since the May 16 coup, the medical community generally agreed with the conception and publicized it themselves. They developed arguments of alternative services by public health work and strengthened its logics. By the 1970s, the conception culmina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ent Public Health Doctor system. In terms of condition and momentum, not only the introduction of alternative service in other sectors, but also the extension of the consensus among the government and medical community accelerated this trend. As a result, the doctorless village crisis in South Korea, which had been a critical issue for a quarter of a century, entered a phase of resolution by utilizing the conscription system as its institutional foundation. It was an aspect of the ‘Korean’ public health system characterized by the entanglement with conscription.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at it has imposed another limitation on medical care in rural areas by institutionalizing the public health system relying on mobilization and minimum budget, though.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