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SCIE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에서 세포자멸사에 대한 연구 = Apoptosis in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Background:Apoptosis is one of the major histopathologic features of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ADPKD) and may be causally related to the cystogenesis and the progressive deterioration of the renal function in this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Smad2/3 signal pathway, antiapoptotic Bcl-2 proteins are involved in apoptotic pathway in the pathogenesis of ADPKD.
Methods:Human polycystic kidneys were collected from four ADPKD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who were taken renal transplantation. We evaluated TdT-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 (TUNEL) assay to detect apoptotic DNA fragmentation in polycystic kidneys compared to normal kidneys. Expression of TGF-β1, Smad2/3 and Bcl-2 proteins was also detected by immunohistochemistry.
Results:The number of apoptotic nuclei in polycystic kidneys was marked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normal kidneys. Apoptotic cells in tubule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otal tubular cells within 10 random high power fields (×400)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DPKD group than in normal group (9.01±1.85%, 0.36±0.10%, p=0.020). Apoptotic nuclei were detected not only in cells lining the expanded cystic wall but also in the noncystic tubular epithelial cells. Apoptotic nuclei were also demonstrated in the interstitium occasionally but rarely observed in the glomeruli.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of polycystic kidneys showed increased expression of TGF-β1 proteins and Smad2/3 proteins, and decreased expression of Bcl-2 proteins in cystic and noncystic tubular epitheial cells as opposed to other parts of the kidney, as compared with normal kidneys.
Conclusion:Upregulation of TGF-β1-Smad2/3 signal pathway and decreased anti-apoptotic Bcl-2 protein seem to be involved in apoptotic pathway of ADPKD. (Korean J Nephrol 2005;24(3):366-374)
목 적:상염색체 우성 다낭신에서 세포자멸사는 주된 조직병리학적 소견의 하나로 이 환자군에서 낭종 형성 및 신기능의 지속적 감소에 관여한다고 여겨지나 그 기전은 명확하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 환자의 신장 조직에서 세포자멸사 정도와 다양한 기능을 하는 사이토카인으로 세포자멸사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1과 그 신호중간물인 Smad2/3, 세포자멸사 억제인자인 Bcl-2 단백질의 발현을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말기신부전에 이르러 신이식을 시행하는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 환자 (n=4)의 신장 조직을 얻어 TdT-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 (TUNEL) 방법으로 세포자멸사 정도를 판정하고, TGF-β1, Smad2/3, Bcl-2 단백질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정상군(n=4)과 비교하였다.
결 과:세뇨관 세포의 세포자멸사는 정상군 (0.36±0.10%)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군 (9.01±1.85%)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p=0.020).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군에서의 세포자멸사는 낭종에 배열한 상피세포에서 뿐만 아니라, 비낭종성 세뇨관에서도 관찰되었으며, 일부 간질조직에서도 관찰되었으나, 사구체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으로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군에서는 정상군에서 보다 낭종성 및 비낭종성 세뇨관 상피세포에서 TGF-β1, Smad2/3 단백질의 과발현이 관찰되었으며, Bcl-2 단백질의 발현은 감소되었다.
결 론:상염체 우성 다낭신의 병인이나 진행과정에 세포자멸사가 관여하며, 여기에는 활성화된 TGF-β1-Smad2/3 신호체계와 감소된 Bcl-2가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1-11-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외국어명 : 미등록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2-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 KCI등재 |
2007-02-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1 | 0.21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4 | 0.1 | 0.422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