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방소멸 시대, 지역 활성화 가능성- 지역성과 로컬크리에이터 역량을 중심으로 - = Possibilities of Regional Revitalization in the Era of Local Extinction : Focusing on Locality and the Competence of Local Creators
저자
박창용 (한양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7-126(20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지역 공동화 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지역사회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새로운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로컬크리에이터의 창의적 역량과 지역성(locality)에 집중하여, 이들이 지역 활성화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당사자 중심의 지역 자산 활용,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행정과 민간의 지원체계로 구성된 ABS(Actor–Business–Support) 모델을 연구 분석 틀로 설정하고, 사례분석과 실증분석을 병행하는 혼합연구 방식을 채택, 로컬크리에이터의 활동들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로컬크리에이터는 고유한 지역 자산을 창의적으로 해석하며, 공동체 기반의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 다양하고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였다. 이들의 활동은 경제적 효과를 넘어 지역 공동체에 있어 사회, 문화적 차원의 결속력을 강화하고, 지역에 대한 자긍심을 회복시켰다. 따라서 로컬크리에이터를 지역 자산과 창의적 역량 중심의 정책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지역 활성화 정책 수립과 실천적 실행에 본 연구는 기여하고자 한다.
더보기As the phenomenon of regional depopulation intensifies, local communities are being called upon to develop new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s on the creative capabilities and locality of local creators to analyze how they contribute to regional revitalization. Specifically, the study adopted the ABS (Actor–Business–Support) model, which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actor-centered utilization of local assets (A), business sustainability (B), and public and private support systems (S), as an analytical framework. A mixed-method research approach combining qualitative case analysis and quantitative empirical analysis was employed to comprehensively verify the impact of local creators' activities on local communit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local creators creatively reinterpret the region's unique assets and induce various positive changes in the local community through community-based activities. Their activities go beyond mere economic effects, strengthening the cohesion of local communities and restoring pride in the region at the socio-cultural level. This study deriv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licy design based on a regional asset-based approach and creative capacity-centered strategies, aiming to contribute to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future regional polici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