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독일어 통사적 특징으로서의 원거리 구조- 괄호구조 개념에 대한 비판적 접근 = Distanzstrukturen als typische Strukturmerkmale im Deutsche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독어학(Dokohak(Zeitschrift der Koreanischen Gesellschaft fue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1-74(24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die für das Deutsche als typisch geltenden Strukturmerkmale, nämlich sog. Klammerkonstruktionen, ausgehend von sprachlichen Phänomenen, die sowohl bei L2-Lernenden als auch bei Muttersprachlern in der Produktion in ähnlicher Weise zu beobachten sind, neu interpretiert. Angestrebt wird hierbei ein Modell, das Aspekte der menschlichen Sprachverarbeitung reflektiert.
Zugrunde liegt dem Modell Spannungen, die bei der analytischen Realisierung bestimmter sprachlicher Konzepte lexikalischer (im Falle von sog. trennbaren Verben) oder grammatischer Art (z.B. Tempus, Passiv, Modalität, Subjekt usw.) im Verarbeitungsprozess entstehen. Die an einer analytischen Realisierung beteiligten Elemente hängen konzeptuell (lexikalisch oder grammatisch) zusammen, werden aber in der Serialisierung voneinander getrennt und in eine Distanzstruktur gebracht.
Aus dieser Sicht sind die für das Deutsche typischen Strukturmermale vor allem Distanzstrukturen, die in Hauptsätzen aus dem finiten Hilfs- bzw. Modalverb und dem Vollverb bestehen und in Nebensätzen - bezüglich des SV-Kongruenz-Phänomens - aus dem Subjekt und dem finiten Verb.
본고는 독어학계에서 독일어 문장구조의 특징으로 간주되는 괄호구조 개념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 출발하여 독일어 문장구조의 특징을 형태·통사, 정보구조, 언어처리의 다각적 측면에서 타당하게 기술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는 논문이다. 이러한 논의에서는 독일어가 다른 여타 유럽어들과 구분되는 특징을 특정 문법 및 어휘적 개념이 분석적으로 실현될 때 이에 관여하는 문장구성요소들이 원거리에 놓이는 점에 두고 있다. 이러한 원거리는 원칙적으로 최대한의 확장을 요하지만 정보구조의 측면에서 경우에 따라 축소될 수있다. 또한 원거리구조의 개념을 통해 학습자 및 모국어화자의 언어처리에서 관찰되는 현상들은 형태·통 사·개념적 긴장의 장의 형성으로 적절히 설명될 수 있다. 본고의 연구를 통한 이러한 인식은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교수와 관련해 적절한 교수방안 개발을 위한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26 | 0.752 | 0.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